[뉴스포커스] 한미 UFG 시작…북한 대응은?

<출연: 장광일 전 국방부 정책실장ㆍ안찬일 세계북한연구센터 소장>

오늘부터 28일까지 을지프리덤가디언 한미 합동 연습이 시작됩니다.

DMZ 지뢰도발로 고조된 남북 긴장감이 절정에 이를 것으로 보입니다,

그런가하면 북한이 일방적으로 표준시까지 변경하면서 남북 간 이질성은 더욱 심화되고 있는데요.

장광일 전 국방부 정책실장, 안찬일 세계북한연구센터 소장과 함께 이와 관련된 자세한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질문 1> 오늘부터 28일까지 12일간 한미연합 훈련인 을지프리덤가디언이 실시됩니다. 역시나 북한이 강력하게 반발하고 있죠?

<질문 2> 북한이 한미연합 훈련과 대북확성기 방송을 중단하지 않으면 무차별 타격을 가하겠다고 위협했는데요, 추가 도발 가능성 있을까요?

<질문 3> 북한의 광복절 주요 행사에 북한군의 작전과 대남공작을 총괄하는 최고위급 인사들이 불참했어요, 지난달 27일 참배에는 군 서열 3위 리영길 총참모장이 불참했는데 그 배경은 뭘까요?

<질문 4> 우리군도 북한이 어떤 식으로 도발을 걸어오더라도 강력하게 응징하겠다고 밝혔는데요. 그렇다면 무력으로 맞서겠다는 것인가요. 대북심리전을 강화하겠다는 것인가요?

<질문 5> 이 훈련 기간에 북한이 무력 도발을 하지 않고 넘어간다고 해도 9월과 10월 일정을 보면 9월에는 건국기념일이 있고 10월에는 노동당 창건일이 있어서 도발 가능성이 높아질 것이라는 전망도 많이 나오고 있던데요?

<질문 6> 북한이 지뢰도발에 대해서 공식적으로 "우리는 이번 사건과 무관하다"며 부인하면서 동영상을 제시하라고 주장하고 있는데요, 예상된 반응이죠? 이 반응에 우리는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요?

<질문 7> 북한이 지뢰도발을 부인하자 국내 SNS를 통해서는 "목함지뢰 참사는 아군 지뢰 때문에 발생한 것으로 자작극이다"라는 주장까지 나오고 있는데요. 이런 글들이 신빙성이 있는 것입니까?

<질문 8> 신빙성이 떨어져 보이는데 이 같은 괴담이 왜 자꾸 유포되는 것일까요?

<질문 9> 북한은 천안함 피격 사건 때도 상당 기간 침묵을 지키다가 침몰 22일 만에 "우리는 무관하다"는 입장을 내놨고, 이후 침몰 원인으로 북한 어뢰 공격을 지목하자 즉각 "날조극"이라고 반발했는데요. 여러모로 천안함 사건일 때와 비슷해 보이는데요?

<질문 10> 새정치연합이 북한의 비무장지대 지뢰도발과 관련해서 김관진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에게 책임론을 제기한 데 대해서 새누리당은 북한의 남남갈등 술책에 말리는 것이라고 반박했는데요. 진짜 그럴까요?

<질문 11> 북한이 광복절부터 기존보다 30분 늦은 평양시를 사용하고 있는데요. 남북문제에도 평양시를 적용하겠다고 통보했는데 남북 관계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질문 12> 박근혜 대통령이 지난 15일 광복절 경축사에서 이산가족 상봉 문제 등을 제안했지만 북한은 큰 대가 치를 것이라며 거부했는데요. 꽉 막힌 남북 관계 앞으로 어떻게 풀어야 할까요?

네. 여기까지 듣겠습니다.

지금까지 장광일 전 국방부 정책실장, 안찬일 세계북한연구센터 소장였습니다.

고맙습니다.

연합뉴스TV 제보:02-398-4409, yjebo@yna.co.kr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