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1번지] 롯데그룹 '경영권 분쟁'…근본 원인은?
<출연 : 국회 정무위 간사 새정치민주연합 김기식 의원>
재벌개혁에 대한 야당의 입장을 국회 정무위 간사인 김기식 새정치민주연합 의원 모시고 재벌개혁에 대한 얘기 나눠보겠습니다.
<질문 1> 이번 롯데그룹의 경영권 분쟁을 바라보는 국민의 시선이 차가워 보입니다. 국내 재계 5위 기업의 복잡하고, 실체조차 명확하지 않은 지배구조가 드러나 실망감이 더욱 커 보이는데요. 이번 사태의 근본적인 문제점, 뭐라고 생각하십니까?
<질문 2> 오늘 기업의 지배구조 개선을 위한 당정회의가 열렸습니다. 이번 회의, '재벌개혁'을 이루는 역할을 할까요?
<질문 3> 같은 당의 박영선 의원 같은 분은 재벌개혁의 중심이라고 하면 소위 소수지분으로 그룹계열사들을 지배하는 순환출자의 문제점 지적하기도 했는데, 당장 시급하게 개선해야할 문제는 뭐라고 보십니까?
<질문 4> 롯데 일가가 가진 롯데그룹 지분은 2.41%에 불과하지만, 지금까지 황제경영을 할 수 있었던 것 역시, 거미줄처럼 얽혀있는 순환출자구조 때문입니다. 이런 비정상적인 대기업의 순환출자구조, 어떻게 뜯어고쳐야 할까요?
<질문 5> 문제는 롯데의 지분구조 최상위에 있는 '일본 롯데홀딩스'와 '광윤사'의 지분구조가 명확하게 드러나지 않다는데 있습니다. 그래서 공정거래위원회는 롯데그룹에 해외계열사의 지분 현황 제출을 요구했는데요. 신고하지 않은, 숨어있는 계열사가 있는지도 조사할 모양인데, 이번 조사로 롯데그룹의 지분구조를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을까요?
<질문 5-1> 만약 공정위의 이번 조사가 제대로 이뤄진다면 그 이후도 중요해 보입니다. 어디서부터 어떻게 손을 대야 할까요?
<질문 6> 비정상적인 순환출자 고리뿐 아니라 편법적 경영승계, 사외이사제도, 계열사 일감 몰아주기 등의 고질적인 문제도 개선돼야 할 텐데요. 어떤 대책이 필요하다고 보십니까?
<질문 7> 일각에서는 이런 롯데 사태를 모든 기업의 문제로 일반화할 것은 아니지 않느냐는 시각도 있는데요?
<질문 8> 지금 당청은 '노동개혁'이 우선이라는 입장인데? 무슨 우선순위가 있는 건가요?
<질문 9> 이번 사태로 한일 시민단체의 롯데 제품 불매운동까지 일어나고 있는데, 이건 어떻게 봐야 할까요?
<질문 10> 일각에서는 재계 5위인 기업이 타격을 받으면, 우리 경제가 더 흔들리는 것 아닌가 하는 우려의 시선도 있는데요?
연합뉴스TV 제보:02-398-4409, yjebo@yna.co.kr
(끝)
<출연 : 국회 정무위 간사 새정치민주연합 김기식 의원>
재벌개혁에 대한 야당의 입장을 국회 정무위 간사인 김기식 새정치민주연합 의원 모시고 재벌개혁에 대한 얘기 나눠보겠습니다.
<질문 1> 이번 롯데그룹의 경영권 분쟁을 바라보는 국민의 시선이 차가워 보입니다. 국내 재계 5위 기업의 복잡하고, 실체조차 명확하지 않은 지배구조가 드러나 실망감이 더욱 커 보이는데요. 이번 사태의 근본적인 문제점, 뭐라고 생각하십니까?
<질문 2> 오늘 기업의 지배구조 개선을 위한 당정회의가 열렸습니다. 이번 회의, '재벌개혁'을 이루는 역할을 할까요?
<질문 3> 같은 당의 박영선 의원 같은 분은 재벌개혁의 중심이라고 하면 소위 소수지분으로 그룹계열사들을 지배하는 순환출자의 문제점 지적하기도 했는데, 당장 시급하게 개선해야할 문제는 뭐라고 보십니까?
<질문 4> 롯데 일가가 가진 롯데그룹 지분은 2.41%에 불과하지만, 지금까지 황제경영을 할 수 있었던 것 역시, 거미줄처럼 얽혀있는 순환출자구조 때문입니다. 이런 비정상적인 대기업의 순환출자구조, 어떻게 뜯어고쳐야 할까요?
<질문 5> 문제는 롯데의 지분구조 최상위에 있는 '일본 롯데홀딩스'와 '광윤사'의 지분구조가 명확하게 드러나지 않다는데 있습니다. 그래서 공정거래위원회는 롯데그룹에 해외계열사의 지분 현황 제출을 요구했는데요. 신고하지 않은, 숨어있는 계열사가 있는지도 조사할 모양인데, 이번 조사로 롯데그룹의 지분구조를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을까요?
<질문 5-1> 만약 공정위의 이번 조사가 제대로 이뤄진다면 그 이후도 중요해 보입니다. 어디서부터 어떻게 손을 대야 할까요?
<질문 6> 비정상적인 순환출자 고리뿐 아니라 편법적 경영승계, 사외이사제도, 계열사 일감 몰아주기 등의 고질적인 문제도 개선돼야 할 텐데요. 어떤 대책이 필요하다고 보십니까?
<질문 7> 일각에서는 이런 롯데 사태를 모든 기업의 문제로 일반화할 것은 아니지 않느냐는 시각도 있는데요?
<질문 8> 지금 당청은 '노동개혁'이 우선이라는 입장인데? 무슨 우선순위가 있는 건가요?
<질문 9> 이번 사태로 한일 시민단체의 롯데 제품 불매운동까지 일어나고 있는데, 이건 어떻게 봐야 할까요?
<질문 10> 일각에서는 재계 5위인 기업이 타격을 받으면, 우리 경제가 더 흔들리는 것 아닌가 하는 우려의 시선도 있는데요?
연합뉴스TV 제보:02-398-4409, yjebo@yna.co.kr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