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포커스] 태풍 '찬홈' 가뭄 해갈에 도움 됐나?

<출연 : 한국기상산업진흥원 김승배 홍보실장>

[앵커]

이번에 찾아온 제9호 태풍 찬홈.

오랜 가뭄 끝에 내린 비다운 비라 효자 태풍으로 기록될 것으로 보여지는데요.

그러나 태풍 찬홈이 지나가고 중형급 태풍 낭카의 북상이 예고돼 있어 긴장의 끈을 놓을 수 없는 상황입니다.

오늘 이 시간에는 한국기상산업진흥원 김승배 홍보실장님과 태풍과 무더위 얘기 해 보겠습니다.

어서오세요.

<질문 1> 제9호 태풍 찬홈의 북상으로 우리나라가 간접 영향권에 들면서 어제 전국에 많은 비가 내렸는데요. 김승배 홍보실장님, 밤사이 찬홈의 기세가 좀 꺾였습니까? 지금 현재 찬홈은 소멸됐죠?

<질문 2> 지금 서울은 약한 비바람이 몰아치고 있는데요. 비는 언제까지 내릴까요? 지금 전국 날씨는 어떻습니까?

<질문 3> 9호 태풍 찬홈의 영향으로 제주와 남부지방으로 중심으로 폭우가 쏟아졌는데요. 이번 태풍으로 우리나라는 어느 정도의 피해를 입었습니까?

<질문 4> 그동안 가뭄에 마른장마까지 더해져 농가의 피해가 극심했는데요. 이번 비로 가뭄 해갈에 많은 도움이 될까요?

<질문 5> 또, 올 들어 서울 한강은 심각한 녹조로 그야말로 몸살을 앓았는데요. 이번 태풍으로 녹조 농도 상승세가 좀 주춤해질까요?

<질문 6> 이번에 발생한 제9호 태풍 찬홈, 제10호 태풍 린파, 제11호 태풍 낭카까지 그 이름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는데요. 무슨 뜻인가요?

<질문 7> 찬홈 뿐 아니라 중형급 태풍인 낭카도 잇따라 발생한다고 하는데요. 태풍의 위력과 이동 경로는 어떻게 예측해 볼 수 있을까요?

<질문 8> 태풍이 자주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번에도 찬흠을 포함해 태풍이 한꺼번에 3개가 발생한 건 상당히 이례적인 일이라고요? 왜 그런 것인가요?

<질문 8-1> 그렇다면 엘리뇨로 인해 올해는 초강력 슈퍼 태풍이 올 가능성이 크다고 볼 수 있나요?

<질문 9> 또 장마는 어디 갔는지? 이렇게 끝나는 것인가요? 올해는 장마가 실종된 게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드는데요. 어떻게 해석해 볼 수 있을까요?

<질문 9-1> 태풍 찬홈이 지나갔는데 무더위는 좀 꺾일 것으로 보십니까?

<질문 10> 올 여름, 앞으로 태풍 몇 개 더 올 것으로 예상하십니까?

<질문 11> 끝으로 태풍이 북상했을 때 대비요령 뭐가 있을까요?

지금까지 한국기상산업진흥원 김승배 홍보실장님 이었습니다.

연합뉴스TV 제보:02-398-4409, yjebo@yna.co.kr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