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1번지] 국회법 개정안 자동폐기 수순…향후 정국은?
<출연 : 홍익대 정군기 교수ㆍ건국대 송승호 특임교수ㆍ동국대 김철근 겸임교수>
유승민 원내대표가 친박계의 오늘 중 사퇴표명 요구를 사실상 거부했습니다.
시간을 갖고 조금 더 거취 문제를 고민하겠다는 뜻으로 보이는데요.
정군기 홍익대 교수, 송승호 건국대 특임교수, 김철근 동국대 겸임교수와 향후 정국 진단해 보겠습니다.
<질문 1> 대통령이 거부권을 행사한 국회법 개정안이 오늘 본회의서 여당의 표결 거부로 자동 폐기 수순을 밟게 됐습니다. 향후 대치 정국, 어떻게 전망하시나요?
<질문 2> 사퇴논란의 중심부인 새누리당 유승민 원내대표가 자신의 거취와 관련한 입장 표명은 오늘 하지 않겠다고 밝혔습니다. 유 원내대표 잘하고 있는 것인가요?
<질문 2-1> 유 원내대표, 추경 이후에 사퇴할지 아니면 직무를 계속 수행하면서 사퇴 거부 쪽으로 갈까요?
<질문 3> 친박계가 집단행동을 보일 태세입니다. 후속 대응 전략은 무엇일까요?
<질문 4> 친박계의 유승민 사퇴 요구를 여당 내 권력 다툼의 관점에서 본다면 어떻게 분석할 수 있나요?
<질문4-1 > 유승민 원내대표가 사퇴한다면 친박계가 당을 장악할 수 있나요?
<질문 5> 친박계 최고위원들이 집단으로 당무를 거부하거나 사퇴 카드로 김무성 대표를 압박할 가능성도 있지 않나요. 김무성 대표의 선택은 무엇입니까?
<질문 6> 이런 가운데 원조 친박 한선교 의원은 SNS에 친박계에 자성을 요구하는 글을 올렸는데 어떤 의미로 봐야 하나요?
<질문 7> '배신의 정치' 발언 이후 박근혜 대통령은 계속 침묵하고 있는데 대통령의 침묵, 의중은 무엇이라고 보시나요?
<질문 8> 대통령의 국정수행 지지도가 한 2주 답보상태에서 머물다가 이번 주에 소폭 상승했습니다. 거부권 정국과 관련이 있다고 보세요? 여론의 흐름은 어떻게 분석하나요?
<질문 9> 지난 3일 박근혜 대통령은 광주 하계 유니버시아드 대회 개회식에 참석했습니다.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도 함께했지만 분위기가 상당히 냉랭했었다고 하는데 이런 모습은 어떻게 봐야 할까요?
연합뉴스TV 제보:02-398-4409, yjebo@yna.co.kr
(끝)
<출연 : 홍익대 정군기 교수ㆍ건국대 송승호 특임교수ㆍ동국대 김철근 겸임교수>
유승민 원내대표가 친박계의 오늘 중 사퇴표명 요구를 사실상 거부했습니다.
시간을 갖고 조금 더 거취 문제를 고민하겠다는 뜻으로 보이는데요.
정군기 홍익대 교수, 송승호 건국대 특임교수, 김철근 동국대 겸임교수와 향후 정국 진단해 보겠습니다.
<질문 1> 대통령이 거부권을 행사한 국회법 개정안이 오늘 본회의서 여당의 표결 거부로 자동 폐기 수순을 밟게 됐습니다. 향후 대치 정국, 어떻게 전망하시나요?
<질문 2> 사퇴논란의 중심부인 새누리당 유승민 원내대표가 자신의 거취와 관련한 입장 표명은 오늘 하지 않겠다고 밝혔습니다. 유 원내대표 잘하고 있는 것인가요?
<질문 2-1> 유 원내대표, 추경 이후에 사퇴할지 아니면 직무를 계속 수행하면서 사퇴 거부 쪽으로 갈까요?
<질문 3> 친박계가 집단행동을 보일 태세입니다. 후속 대응 전략은 무엇일까요?
<질문 4> 친박계의 유승민 사퇴 요구를 여당 내 권력 다툼의 관점에서 본다면 어떻게 분석할 수 있나요?
<질문4-1 > 유승민 원내대표가 사퇴한다면 친박계가 당을 장악할 수 있나요?
<질문 5> 친박계 최고위원들이 집단으로 당무를 거부하거나 사퇴 카드로 김무성 대표를 압박할 가능성도 있지 않나요. 김무성 대표의 선택은 무엇입니까?
<질문 6> 이런 가운데 원조 친박 한선교 의원은 SNS에 친박계에 자성을 요구하는 글을 올렸는데 어떤 의미로 봐야 하나요?
<질문 7> '배신의 정치' 발언 이후 박근혜 대통령은 계속 침묵하고 있는데 대통령의 침묵, 의중은 무엇이라고 보시나요?
<질문 8> 대통령의 국정수행 지지도가 한 2주 답보상태에서 머물다가 이번 주에 소폭 상승했습니다. 거부권 정국과 관련이 있다고 보세요? 여론의 흐름은 어떻게 분석하나요?
<질문 9> 지난 3일 박근혜 대통령은 광주 하계 유니버시아드 대회 개회식에 참석했습니다.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도 함께했지만 분위기가 상당히 냉랭했었다고 하는데 이런 모습은 어떻게 봐야 할까요?
연합뉴스TV 제보:02-398-4409, yjebo@yna.co.kr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