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포커스] 박 대통령, 거부권행사와 진노…배경은?
<출연 : 국가디자인연구소 허성우 이사장ㆍ유용화 정치평론가>
박근혜 대통령이 "배신의 정치, 국민이 심판해달라"면서 정치권을 강력히 비판하고 나서자 국회가 사실상 올스톱 됐습니다.
야당은 '숙박 투쟁'에 돌입했습니다.
새누리당은 국회법 개정안을 자동 폐기하는 것으로 거부권을 행사한 박근혜 대통령의 체면을 세워주면서 동시에 유승민 원내대표를 지켜 여당으로서의 자존심도 지켰습니다.
당청관계가 일단 한 고비는 넘겼는데 앞으로는 어떻게 흘러갈까요?
허성우 국가디자인연구소 이사장, 유용화 정치평론가 두 분 모시고 자세한 말씀 나눠보겠습니다.
어서오세요.
<질문 1> 어제 평소 박 대통령답지 않게 굉장히 격정적인 발언이었습니다.거부권 행사 자체보다 그 내용이 더 충격적이었다고 하죠. 대통령의 발언 중에 제일 셌던 것 같은데 대통령은 무엇 때문에 이렇게 화가 났을까요?
<질문 2> 이번 거부권 행사는 결국 '유승민 죽이기'라는 평가가 나옵니다. 원조친박으로 찰떡궁합이었던 대통령과 유 원내대표가 어쩌다 이런 사이가 됐을까요?
<질문 3> 박근혜 대통령이 유승민 원내대표에 대한 강한 불신을 드러내자,친박계가 거센 책임론을 쏟아냈습니다. 그런데 유승민 원내대표는 사퇴거부 입장을 내놨죠? 정면충돌 피한 유승민 "당청관계 개선"으로 출구 모색하려 하는데 버티는 힘은 또 어디서 나오는 것일까요?
<질문 4> 새누리당은 국회법 개정안을 폐기하는 것으로 거부권을 행사한 박대통령의 체면을 세워주면서 동시에 유승민 원내대표을 재신임하면서 여당으로서의 자존심도 지켰습니다. 당청관계가 일단 한 고비는 넘겼는데 앞으로는 어떻게 될까요?
<질문 5> 유승민 사퇴 놓고 친박-비박 갈등하는 양상인데요. 서청원 최고위원 같은 경우 자신도 과거에 책임진 적 있다면서 사퇴를 압박했어요. 이대로 친박이 물러설까요?
<질문 6> 박근혜 대통령의 초강수에 정치권 일각에선 '탈당 가능성 시사'를 거론합니다. 어제 대통령이 "정치적 도덕적 공허함"이란 표현을 한 까닭인데 신당 창당이나 정계 재편까지 다양한 해석이 나오던데 어떻게 보세요?
<질문 7> 박 대통령이 어제 거부권 행사와 정치권에 대한 강한 메시지 전달한 것은 흔들리는 지지도 속에 강한 리더십 보여주려는 정치적 의도가 깔렸다는 분석인데요. 충격 요법이 먹힐까요?
<질문 7-1> 박근혜 대통령의 거부권 행사가 유승민 원내대표 죽이기 아니냐는 말까지 나오는 가운데 내홍으로 위기에 몰리고 있던 새정치연합 문재인 대표는 한숨 돌리고 정신 차릴 시간을 갖게 됐습니다. 이종걸 원내대표도 복귀를 했던데요?
<질문 8> 야당은 박대통령의 거부권 행사에 대해 국회에 대한, 국민에 대한 거부라며 강하게 비판했습니다. 이종걸 원내대표는 어젯 밤부터 국회에서 24시간 개인 농성에 들어가는 한편 문재인 대표는 오늘 거부권 행사를 비판하는 내용의 대국민담화를 발표할 예정이죠? 대야관계가 어려워지는데요?
<질문 9> '국회법 거부권 쓰나미'에 정치 일정 전면중단 위기에 처하게 됐는데요. 앞으로 있을 결산·예산 심의 과정서 행정부와 신경전도 예상됩니다.
<질문 10> 정치권이 급속히 냉랭해지는 와중에도 야당에선 여전히 당직 인선 후폭풍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비노계 반발이 점차 노골화되자 보다못한 혁신위가 공천 심사에서 사무총장을 배제하겠다고 밝혔던데요? 사무총장이 공천에 관여하지 않으면 또 다른 누군가가 하겠죠?
<질문 11> 계파에 'ㄱ'자도 나오지 않게 하겠다던 문 대표 체제 이후 친노 비노 계파갈등이 더 심해졌는데 이는 문 대표한테도 책임이 있는 것 아닐까요?
지금까지 허성우 국가디자인연구소 이사장, 유용화 정치평론가 였습니다.
연합뉴스TV 제보:02-398-4409, yjebo@yna.co.kr
(끝)
<출연 : 국가디자인연구소 허성우 이사장ㆍ유용화 정치평론가>
박근혜 대통령이 "배신의 정치, 국민이 심판해달라"면서 정치권을 강력히 비판하고 나서자 국회가 사실상 올스톱 됐습니다.
야당은 '숙박 투쟁'에 돌입했습니다.
새누리당은 국회법 개정안을 자동 폐기하는 것으로 거부권을 행사한 박근혜 대통령의 체면을 세워주면서 동시에 유승민 원내대표를 지켜 여당으로서의 자존심도 지켰습니다.
당청관계가 일단 한 고비는 넘겼는데 앞으로는 어떻게 흘러갈까요?
허성우 국가디자인연구소 이사장, 유용화 정치평론가 두 분 모시고 자세한 말씀 나눠보겠습니다.
어서오세요.
<질문 1> 어제 평소 박 대통령답지 않게 굉장히 격정적인 발언이었습니다.거부권 행사 자체보다 그 내용이 더 충격적이었다고 하죠. 대통령의 발언 중에 제일 셌던 것 같은데 대통령은 무엇 때문에 이렇게 화가 났을까요?
<질문 2> 이번 거부권 행사는 결국 '유승민 죽이기'라는 평가가 나옵니다. 원조친박으로 찰떡궁합이었던 대통령과 유 원내대표가 어쩌다 이런 사이가 됐을까요?
<질문 3> 박근혜 대통령이 유승민 원내대표에 대한 강한 불신을 드러내자,친박계가 거센 책임론을 쏟아냈습니다. 그런데 유승민 원내대표는 사퇴거부 입장을 내놨죠? 정면충돌 피한 유승민 "당청관계 개선"으로 출구 모색하려 하는데 버티는 힘은 또 어디서 나오는 것일까요?
<질문 4> 새누리당은 국회법 개정안을 폐기하는 것으로 거부권을 행사한 박대통령의 체면을 세워주면서 동시에 유승민 원내대표을 재신임하면서 여당으로서의 자존심도 지켰습니다. 당청관계가 일단 한 고비는 넘겼는데 앞으로는 어떻게 될까요?
<질문 5> 유승민 사퇴 놓고 친박-비박 갈등하는 양상인데요. 서청원 최고위원 같은 경우 자신도 과거에 책임진 적 있다면서 사퇴를 압박했어요. 이대로 친박이 물러설까요?
<질문 6> 박근혜 대통령의 초강수에 정치권 일각에선 '탈당 가능성 시사'를 거론합니다. 어제 대통령이 "정치적 도덕적 공허함"이란 표현을 한 까닭인데 신당 창당이나 정계 재편까지 다양한 해석이 나오던데 어떻게 보세요?
<질문 7> 박 대통령이 어제 거부권 행사와 정치권에 대한 강한 메시지 전달한 것은 흔들리는 지지도 속에 강한 리더십 보여주려는 정치적 의도가 깔렸다는 분석인데요. 충격 요법이 먹힐까요?
<질문 7-1> 박근혜 대통령의 거부권 행사가 유승민 원내대표 죽이기 아니냐는 말까지 나오는 가운데 내홍으로 위기에 몰리고 있던 새정치연합 문재인 대표는 한숨 돌리고 정신 차릴 시간을 갖게 됐습니다. 이종걸 원내대표도 복귀를 했던데요?
<질문 8> 야당은 박대통령의 거부권 행사에 대해 국회에 대한, 국민에 대한 거부라며 강하게 비판했습니다. 이종걸 원내대표는 어젯 밤부터 국회에서 24시간 개인 농성에 들어가는 한편 문재인 대표는 오늘 거부권 행사를 비판하는 내용의 대국민담화를 발표할 예정이죠? 대야관계가 어려워지는데요?
<질문 9> '국회법 거부권 쓰나미'에 정치 일정 전면중단 위기에 처하게 됐는데요. 앞으로 있을 결산·예산 심의 과정서 행정부와 신경전도 예상됩니다.
<질문 10> 정치권이 급속히 냉랭해지는 와중에도 야당에선 여전히 당직 인선 후폭풍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비노계 반발이 점차 노골화되자 보다못한 혁신위가 공천 심사에서 사무총장을 배제하겠다고 밝혔던데요? 사무총장이 공천에 관여하지 않으면 또 다른 누군가가 하겠죠?
<질문 11> 계파에 'ㄱ'자도 나오지 않게 하겠다던 문 대표 체제 이후 친노 비노 계파갈등이 더 심해졌는데 이는 문 대표한테도 책임이 있는 것 아닐까요?
지금까지 허성우 국가디자인연구소 이사장, 유용화 정치평론가 였습니다.
연합뉴스TV 제보:02-398-4409, yjebo@yna.co.kr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