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1번지] 박대통령, 국회법 개정안 거부권 행사
<출연 : 용인대 최창렬 교수ㆍ미래경영연구소 황장수 소장ㆍ연합뉴스TV 이경희 정치부 기자>
박근혜 대통령의 국회법 개정안 거부로 향후 정국에 대혼란이 예상됩니다. 전문가 모시고 정국 방향 진단해 보죠.
최창렬 용인대 교수, 황장수 미래경영연구소 소장, 이경희 정치부 기자, 어서 오십시오.
<질문 1> 박근혜 대통령이 국회법 개정안에 거부권을 행사했습니다. 당청관계의 갈등 양상이 뻔한데도 불구하고 박 대통령이 거부권을 선택한 이유는 뭐라고 보십니까?
<질문 2> 이기자, 대통령의 국회법 개정안 거부권 방침 이후 앞으로 국회 재의 절차는 어떻게 진행되는 건가요?
<질문 3> 박 대통령이 여당 원내대표가 뭘 했는지도 의문이라는 입장을 밝혔죠. 사실상 대통령이 유승민 원내대표의 사퇴를 요구했다고 보나?
<질문 4> 대통령의 거부권 행사로 국회에 책임을 묻고 있는데, 특히 새누리당 유승민 원내대표의 거취문제, 재신임으로 갈 것으로 보십니까?
박 대통령의 국회법 개정안 거부권 행사로 여당 내 분위기도 뒤숭숭할 것 같은데요, 새누리당 김성태 의원 전화로 연결해서 당 내 상황 좀 들어보겠습니다.
의원님 나와 계시죠.
<질문 1> 박근혜 대통령이 거부권을 행사했습니다. 대통령의 거부권 행사에 어떤 정치적 고려나 계산이 깔려있다고 보십니까?
<질문 2> 사실상 유승민 원내대표의 사퇴를 요구했다는 게 중론인데, 유 원내대표의 거취 문제에 대해서는 어떤 생각이세요? 재신임 절차가 필요하다고 보시는지요?
<질문 3> 지금 국회법이 국회로 다시 넘어오면, 재의결에 부쳐야 합니까? 아니면 자동폐기되도록 놔둬야 하나요. 여당 내 의견은 어떻게 모아지고 있습니까?
<질문 4> 향후 당청관계, 또 국회와 정부와의 관계까지 냉각될 가능성이 높아 보이는데요, 어떤 수습방안이 필요하다고 보십니까?
<질문 5> 마지막으로요. 당직개편의 핵심인 사무총장 자리에 지금 3선의 한선교 의원이 유력한 걸로 알려지고 있는데요, 분위기 어떻게 보십니까?
지금까지 김성태 새누리당 의원과 이야기 나눴습니다.
<질문 5> 김성태 의원 얘기 어떻게 들으셨나요? 이번 대통령의 거부권 행사로 여당 내 계파 간 균열이 예상되는 부분도 있는데 어떻게 보나요?
<질문 6> 거부권이 행사되면 이제 국회로 넘어오지 않습니까? 재의결이냐 자동폐기냐, 어떻게 관측하시는지요?
<질문 7> 정의화 국회의장이 대통령의 재의 요구를 헌법에 따라 본회의에 부치겠다고 밝혔는데, 어떤 시나리오들이 나올 수 있을까요?
<질문 8> 사실 김무성 대표와 '친박' 맏형 격이 서청원 최고위원이 지난 화요일 회동을 하지 않았습니까? 어느정도 수습책 마련에 공감했다고 볼 수 있을까요? 그렇다면 김 대표가 어떤 해법을 내놨을지요?
<질문 9> 한편 야당은 대통령의 거부권 행사를 선전포고로 규정하고 모든 의사일정을 전면 중단하겠다는 입장을 밝혔어요. 또한 정의화 국회의장의 경우는 재의결을 하겠다는 입장 아닙니까?
<질문 10> 국회가 오늘 본회의를 열고 메르스 피해 지원과 재발 방지를 위한 법안들을 우선 처리할 예정이었는데, 본회의 일정에 차질이 예상되고 있죠?
<질문 11> 야권으로 넘어가 보죠. 최재성 사무총장 임명 후폭풍이 심상치 않아 보이는데, 문재인 대표가 이 부분에 언급이 없이 호국행보에 나섰죠. 어떤 메시지로 보십니까?
<질문 12> 비노 진영이 강하게 반발하고 있지만, 비노계 입장에서도 뾰족한 수가 없는 상황아닌가요?
<질문 13> 이종걸 원내대표가 메르스를 포함한 모든 국회일정을 중단하겠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청와대가 거부권을 행사한 마당에 적절한 대응으로 보십니까?
연합뉴스TV 제보:02-398-4409, yjebo@yna.co.kr
(끝)
<출연 : 용인대 최창렬 교수ㆍ미래경영연구소 황장수 소장ㆍ연합뉴스TV 이경희 정치부 기자>
박근혜 대통령의 국회법 개정안 거부로 향후 정국에 대혼란이 예상됩니다. 전문가 모시고 정국 방향 진단해 보죠.
최창렬 용인대 교수, 황장수 미래경영연구소 소장, 이경희 정치부 기자, 어서 오십시오.
<질문 1> 박근혜 대통령이 국회법 개정안에 거부권을 행사했습니다. 당청관계의 갈등 양상이 뻔한데도 불구하고 박 대통령이 거부권을 선택한 이유는 뭐라고 보십니까?
<질문 2> 이기자, 대통령의 국회법 개정안 거부권 방침 이후 앞으로 국회 재의 절차는 어떻게 진행되는 건가요?
<질문 3> 박 대통령이 여당 원내대표가 뭘 했는지도 의문이라는 입장을 밝혔죠. 사실상 대통령이 유승민 원내대표의 사퇴를 요구했다고 보나?
<질문 4> 대통령의 거부권 행사로 국회에 책임을 묻고 있는데, 특히 새누리당 유승민 원내대표의 거취문제, 재신임으로 갈 것으로 보십니까?
박 대통령의 국회법 개정안 거부권 행사로 여당 내 분위기도 뒤숭숭할 것 같은데요, 새누리당 김성태 의원 전화로 연결해서 당 내 상황 좀 들어보겠습니다.
의원님 나와 계시죠.
<질문 1> 박근혜 대통령이 거부권을 행사했습니다. 대통령의 거부권 행사에 어떤 정치적 고려나 계산이 깔려있다고 보십니까?
<질문 2> 사실상 유승민 원내대표의 사퇴를 요구했다는 게 중론인데, 유 원내대표의 거취 문제에 대해서는 어떤 생각이세요? 재신임 절차가 필요하다고 보시는지요?
<질문 3> 지금 국회법이 국회로 다시 넘어오면, 재의결에 부쳐야 합니까? 아니면 자동폐기되도록 놔둬야 하나요. 여당 내 의견은 어떻게 모아지고 있습니까?
<질문 4> 향후 당청관계, 또 국회와 정부와의 관계까지 냉각될 가능성이 높아 보이는데요, 어떤 수습방안이 필요하다고 보십니까?
<질문 5> 마지막으로요. 당직개편의 핵심인 사무총장 자리에 지금 3선의 한선교 의원이 유력한 걸로 알려지고 있는데요, 분위기 어떻게 보십니까?
지금까지 김성태 새누리당 의원과 이야기 나눴습니다.
<질문 5> 김성태 의원 얘기 어떻게 들으셨나요? 이번 대통령의 거부권 행사로 여당 내 계파 간 균열이 예상되는 부분도 있는데 어떻게 보나요?
<질문 6> 거부권이 행사되면 이제 국회로 넘어오지 않습니까? 재의결이냐 자동폐기냐, 어떻게 관측하시는지요?
<질문 7> 정의화 국회의장이 대통령의 재의 요구를 헌법에 따라 본회의에 부치겠다고 밝혔는데, 어떤 시나리오들이 나올 수 있을까요?
<질문 8> 사실 김무성 대표와 '친박' 맏형 격이 서청원 최고위원이 지난 화요일 회동을 하지 않았습니까? 어느정도 수습책 마련에 공감했다고 볼 수 있을까요? 그렇다면 김 대표가 어떤 해법을 내놨을지요?
<질문 9> 한편 야당은 대통령의 거부권 행사를 선전포고로 규정하고 모든 의사일정을 전면 중단하겠다는 입장을 밝혔어요. 또한 정의화 국회의장의 경우는 재의결을 하겠다는 입장 아닙니까?
<질문 10> 국회가 오늘 본회의를 열고 메르스 피해 지원과 재발 방지를 위한 법안들을 우선 처리할 예정이었는데, 본회의 일정에 차질이 예상되고 있죠?
<질문 11> 야권으로 넘어가 보죠. 최재성 사무총장 임명 후폭풍이 심상치 않아 보이는데, 문재인 대표가 이 부분에 언급이 없이 호국행보에 나섰죠. 어떤 메시지로 보십니까?
<질문 12> 비노 진영이 강하게 반발하고 있지만, 비노계 입장에서도 뾰족한 수가 없는 상황아닌가요?
<질문 13> 이종걸 원내대표가 메르스를 포함한 모든 국회일정을 중단하겠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청와대가 거부권을 행사한 마당에 적절한 대응으로 보십니까?
연합뉴스TV 제보:02-398-4409, yjebo@yna.co.kr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