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포커스] 한일 수교 50주년, 한일 관계 현주소는?

<출연 : 국민대 국제학부 이원덕 교수ㆍ세종대 교양학부 호사카유지 교수>

냉각됐던 한일관계에 해빙 분위기가 조성되고 있습니다.

오늘 도쿄와 서울에서 열리는 한일국교 정상화 50주년 기념행사에 한일정상이 교차 참석도 하게 되면서 한일 양국의 관계가 개선될지 주목되는데요.

이원덕 국민대 국제학부 교수, 호사카유지 세종대 교수 모시고 자세한말씀 나눠보겠습니다. 어서오세요.

<질문 1> 1965년 우리나라와 일본이 처음으로 정식 수교를 맺었습니다. 반 세기가 지난 지금 한일 관계의 현 주소 어떻게 평가해볼 수 있을까요?

<질문 2> 역대 한일 관계 중 지금이 최악이라는 얘기가 나옵니다. 이처럼 악화된 요인이 있을 것 같은데요. 일본에 전적으로 책임이 있다고 보시는지요?

<질문 3> 한일 관계가 한걸음도 나아가지 못하는데는 우리 정부도 책임이 있다고 보는데요?

<질문 4> 한일수교 50주년 리셉션에 양국 정상이 교차 참석해 기념사를 하기로 했습니다. 어제 한일 외교장관 회담에서 전격 결정된 것 같은데 의미가 있죠? 꼬인 실타래를 푸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을까요?

<질문 5> 양국 관계 최대 현안이 많습니다. 그 중에서도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이 시급합니다. 우리는 일본의 법적 책임과 사과 및 피해자 보상을 요구하고 있는데요. 박 대통령이 최근 외신과 인터뷰에서 위안부 문제 협상에 진전이 있고 심지어 마지막 단계다 이렇게까지 밝혔지 않습니까? 진전이 있을까요?

<질문 6> 일본은 청구권 협정으로 이미 법적 책임이 끝났다고 주장하고 있죠. 또 사과도 개인 차원의 사과면 족하다는 건데요? 일본이 과거사 문제 특히 위안부 문제 인정하지 못하는 이유, 어디에 있을까요?

<질문 7> 정부에 등록된 238명의 위안부 피해 할머니 가운데 188분이 돌아가셨고 이제 생존자는 50분에 불과합니다.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은 일본 정부의 공식사죄와 법적 배상 등 7가지 사항을 일본 측에 요구하고 있는데 할머님들 평균연세가 89세로 이제 주어진 시간이 많지 않은데요?

<질문 8> 8월로 예정된 아베 총리의 담화가 한일관계 개선의 중요 변수가 될 것이라는 분석이 많습니다. 과거사 사죄를 넣지는 않을 듯 합니다. 최근 홍콩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반성은 포함될 것이라고 했는데 어떻게 전망하세요?

<질문 9> 박근혜 정부 들어서 대일 원칙론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정부 3년차까지 한일 정상회담은 단 한 차례도 열리지 않았는데 일각에선 실리 외교를 펼쳐야 한다는 목소리도 있거든요? 남은 임기, 대일 외교정책 어떻게 펼쳐야 한다고 보십니까?

지금까지 이원덕 국민대 국제학부 교수, 호사카유지 세종대 교수 였습니다.

연합뉴스TV 제보:02-398-4409, yjebo@yna.co.kr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