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1번지] 한일 수교 50주년…동북아 3국의 미래는?
<출연 : 중국 동화대 우수근 교수>
한국과 일본의 국교정상화가 이뤄진 지 내일로 정확히 50년을 맞습니다.
이런 가운데 북한 김정은의 9월 방중설이 나오면서 동북아 정세는 더욱 복잡해 질 것으로 예상되는데요.
중국 동화대 우수근 교수 모시고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어서 오세요.
<질문 1> 메르스 사태가 한 달 넘게 지속되고 있어서요. 이 부분을 짚어볼까 하는데요. 현재 한국을 보는 중국의 시각 변화는 어떻게 읽고 계십니까?
<질문 2> 중국에 한국인 메르스 감염자 입국하면서 중국 내 혐한 움직임이 있지 않을지 우려의 시각도 있는데요. 현재 상황은 어떻습니까?
<질문 3> 북한 김정은의 금고지기로 잘 알려진 리수용 외무상이 중국을 방문했습니다. 김정은 제1 위원장의 중국 방문을 준비하기 위한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는데요, 가능성이 있는 이야기인가요?
<질문 4> 내일 일본과 수교 50주년을 맞습니다. 동북아 정세 속에서 중일관계가 어떻게 전개될 지도 상당히 중요한 부분인데요. 중국과 일본이 관계가 개선될 것으로 보십니까?
<질문 5> 한일 수교 50주년 관련해서 중국이 "한일 양측의 추이"를 매우 궁금해한다고 들었는데요. 그 이유는 무엇이고 어떤 시각으로 접근하고 있습니까?
<질문 6> 윤병세 외교부 장관은 한중관계가 '제로 섬' 관계가 아니며 조화롭게 발전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그럼 이 시점에서 우리는 어떠한 외교정책을 펴야 할까요?
연합뉴스TV 제보:02-398-4409, yjebo@yna.co.kr
(끝)
<출연 : 중국 동화대 우수근 교수>
한국과 일본의 국교정상화가 이뤄진 지 내일로 정확히 50년을 맞습니다.
이런 가운데 북한 김정은의 9월 방중설이 나오면서 동북아 정세는 더욱 복잡해 질 것으로 예상되는데요.
중국 동화대 우수근 교수 모시고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어서 오세요.
<질문 1> 메르스 사태가 한 달 넘게 지속되고 있어서요. 이 부분을 짚어볼까 하는데요. 현재 한국을 보는 중국의 시각 변화는 어떻게 읽고 계십니까?
<질문 2> 중국에 한국인 메르스 감염자 입국하면서 중국 내 혐한 움직임이 있지 않을지 우려의 시각도 있는데요. 현재 상황은 어떻습니까?
<질문 3> 북한 김정은의 금고지기로 잘 알려진 리수용 외무상이 중국을 방문했습니다. 김정은 제1 위원장의 중국 방문을 준비하기 위한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는데요, 가능성이 있는 이야기인가요?
<질문 4> 내일 일본과 수교 50주년을 맞습니다. 동북아 정세 속에서 중일관계가 어떻게 전개될 지도 상당히 중요한 부분인데요. 중국과 일본이 관계가 개선될 것으로 보십니까?
<질문 5> 한일 수교 50주년 관련해서 중국이 "한일 양측의 추이"를 매우 궁금해한다고 들었는데요. 그 이유는 무엇이고 어떤 시각으로 접근하고 있습니까?
<질문 6> 윤병세 외교부 장관은 한중관계가 '제로 섬' 관계가 아니며 조화롭게 발전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그럼 이 시점에서 우리는 어떠한 외교정책을 펴야 할까요?
연합뉴스TV 제보:02-398-4409, yjebo@yna.co.kr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