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1번지] 2명 사망·3차 감염자…메르스 현재 상황은?
<전화연결 : 인제대 서울백병원 호흡기내과 염호기 교수>
중동호흡기증후군 메르스 환자 가운데 2명이 사망했습니다.
지난 달 20일 국내 첫 확진 환자가 나온 지 불과 보름도 안 돼 사망자가 발생한 것인데요.
3차 감염자를 포함해 메르스 확진환자만 25명.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에 이어 세계에서 세 번째로 메르스 환자가 많은 나라가 됐습니다.
인제대 서울백병원 호흡기내과 염호기 교수 연결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질문 1> 경기지역의 한 초등학교가 전국에서 처음으로 휴업을 하면서 메르스에 대한 국민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사망자까지 발생하면서 현재 보건 당국이 역학조사에 들어갔는데요. 현재 상황 어떤가요?
<질문 2> 당초 정부의 예상과 다르게 메르스 환자가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3차 감염은 없다'고 자신했지만 확진환자 중에 3차 감염자도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메르스 환자가 급증하고, 3차 감염환자가 발생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질문 3> 3차 감염자들 모두 정부의 2차 감염자가 정부의 격리 대상에서 빠져있을 때 해당 병원에서 2차 감염자를 접촉했던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당국이 제때 격리 조치만 했어도 감염을 충분히 막을 수 있었던 것 아닌가요?
<질문 4> 메르스 환자는 공기를 통해서는 전염되지 않고 확진 환자와의 근거리 접촉으로 전염될 수 있다고 알려졌습니다. 하지만 추가 확진 환자들 가운데는 근거리 접촉이 없던 환자들도 있는데요. 메르스 공기 중 감염 가능성, 정말 없는 건가요?
<질문 4-1> 현재 메르스 백신과 치료제가 없다고 하는데요. 그렇다면 메르스 확산을 막기 위해선 환자를 격리하는 것 말고는 방법이 없는 건가요?
<질문 5> 현재 정부는 고 위험 대상자만 별도로 격리 조치를 하고, 메르스 환자에 대해서는 자가 격리조치를 취하고 있는데요. 자가 격리 조치만으로 감염을 막을 수 있나요?
<질문 6> 메르스 환자는 의료진이 대거 투입 돼 집중 치료를 시행해야 하기 때문에 환자가 급증할 경우 병상과 의료 인력 수급에 차질일 생길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어 보입니다. 보건당국의 격리 관찰 대상자가 최대 1천명을 초과할 수 있다는 전망까지 나왔는데요. 만약 메르스 환자가 계속 발생하면 환자 격리치료가 제대로 진행될 수 있을까요?
<질문 7> 빠르게 확산되고 사망자와 3차 감염자까지 발생한 메르스. 때문에 메르스 바이러스가 대유행하지는 않을까 우려되고 있습니다. 이미 방역망이 뚫린 상황에서 추가 감염을 얼마나 막을 수 있을까요?오히려 지역사회까지 확산되지 않을까 걱정되는데요?
<질문 8> 메르스, 무엇보다 예방이 중요한데요. 메르스 예방하기 위한 방법은 무엇이고, 어떤 증상이 나타났을 때 메르스를 의심할 수 있나요?
연합뉴스TV 제보:02-398-4409, yjebo@yna.co.kr
(끝)
<전화연결 : 인제대 서울백병원 호흡기내과 염호기 교수>
중동호흡기증후군 메르스 환자 가운데 2명이 사망했습니다.
지난 달 20일 국내 첫 확진 환자가 나온 지 불과 보름도 안 돼 사망자가 발생한 것인데요.
3차 감염자를 포함해 메르스 확진환자만 25명.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에 이어 세계에서 세 번째로 메르스 환자가 많은 나라가 됐습니다.
인제대 서울백병원 호흡기내과 염호기 교수 연결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질문 1> 경기지역의 한 초등학교가 전국에서 처음으로 휴업을 하면서 메르스에 대한 국민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사망자까지 발생하면서 현재 보건 당국이 역학조사에 들어갔는데요. 현재 상황 어떤가요?
<질문 2> 당초 정부의 예상과 다르게 메르스 환자가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3차 감염은 없다'고 자신했지만 확진환자 중에 3차 감염자도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메르스 환자가 급증하고, 3차 감염환자가 발생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질문 3> 3차 감염자들 모두 정부의 2차 감염자가 정부의 격리 대상에서 빠져있을 때 해당 병원에서 2차 감염자를 접촉했던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당국이 제때 격리 조치만 했어도 감염을 충분히 막을 수 있었던 것 아닌가요?
<질문 4> 메르스 환자는 공기를 통해서는 전염되지 않고 확진 환자와의 근거리 접촉으로 전염될 수 있다고 알려졌습니다. 하지만 추가 확진 환자들 가운데는 근거리 접촉이 없던 환자들도 있는데요. 메르스 공기 중 감염 가능성, 정말 없는 건가요?
<질문 4-1> 현재 메르스 백신과 치료제가 없다고 하는데요. 그렇다면 메르스 확산을 막기 위해선 환자를 격리하는 것 말고는 방법이 없는 건가요?
<질문 5> 현재 정부는 고 위험 대상자만 별도로 격리 조치를 하고, 메르스 환자에 대해서는 자가 격리조치를 취하고 있는데요. 자가 격리 조치만으로 감염을 막을 수 있나요?
<질문 6> 메르스 환자는 의료진이 대거 투입 돼 집중 치료를 시행해야 하기 때문에 환자가 급증할 경우 병상과 의료 인력 수급에 차질일 생길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어 보입니다. 보건당국의 격리 관찰 대상자가 최대 1천명을 초과할 수 있다는 전망까지 나왔는데요. 만약 메르스 환자가 계속 발생하면 환자 격리치료가 제대로 진행될 수 있을까요?
<질문 7> 빠르게 확산되고 사망자와 3차 감염자까지 발생한 메르스. 때문에 메르스 바이러스가 대유행하지는 않을까 우려되고 있습니다. 이미 방역망이 뚫린 상황에서 추가 감염을 얼마나 막을 수 있을까요?오히려 지역사회까지 확산되지 않을까 걱정되는데요?
<질문 8> 메르스, 무엇보다 예방이 중요한데요. 메르스 예방하기 위한 방법은 무엇이고, 어떤 증상이 나타났을 때 메르스를 의심할 수 있나요?
연합뉴스TV 제보:02-398-4409, yjebo@yna.co.kr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