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포커스] 메르스, 전염속도 빠른 원인은?

<출연 : 한림대 강동성심병원 엄중식 감염내과 교수ㆍ연합뉴스TV 경제부 김지수 기자>

두명의 메르스 환자가 사망하고 6명의 추가 환자가 발생했습니다.

총 스물다섯 명이 메르스 확진 판정을 받았는데요.

이 가운데에는 3차 감염자도 포함돼있어 향후 지역사회 전파 가능성에 촉각이 곤두서고 있습니다.

엄중식 한림대 강동성심병원 감염내과 교수, 김지수 보건담당기자와 자세한 이야기 나눠봅니다.

<질문 1> 사망자 2명이 발생했는데 사망자는 어떻게 감염됐나요?

<질문 1-1> 메르스는 다른 전염성 질환보다 사망에 이르는 속도가 현저히 빠른 것 같아요? 치사율 40%라고 하는데 현재 치료 중인 환자들의 불안도 클 것 같습니다? 추가 사망자 발생 가능성은?

<질문 2> 3차 감염자도 나왔는데요. 2차 감염자와 3차 감염자, 어떤 차이가 있나요?

-그렇다면, 앞으로 추가 3차 감염자 나올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겠네요?

<질문 3> 지역 사회로의 감염 가능성은 적다고 하던데 믿어도 되나요?

<질문 3-1> 이렇게까지 사태가 커진 이유, 어디에 있다고 보세요. 초기 대응에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 많아요?

<질문 4> 현재 총 682명이 메르스 바이러스 격리 대상자입니다. 대규모로 확진 환자가 늘어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을 것 같은데요? 격리 병상 등 인프라 부족하지 않을까요?

<질문 5> 우리나라는 메르스 감염 세계3위라는 오명을 썼는데요. 한국에서만 유독 확산속도 빠른 것입니까? 그렇다면 그 원인은 어떻게 보세요?

<질문 6> 첫번째 환자가 22명을 전염시킨 것으로 알려졌는데요.'수퍼전파자'일 가능성이 제기됩니다. 일반 감염자들과 어떤 차이가 있는거죠?

<질문 7> 더불어 메르스 바이러스가 공기중 전파할 가능성에 대해선 불안감이 계속되고 있는데요? 근거가 있다고 보시는지요?

<질문 7-1> 고위험군이 존재하나요. 연세가 많은신 분들이 더 위험한가요? 만성질환자·면역기능 저하 환자는 더 조심해야 한다고 들었는데

<질문 8> 메르스 바이러스 변종 가능성까지 제기됩니다. 어떻게 보세요?

<질문 9> 메르스 확진자 밀접접촉 한국인 또 홍콩 입국했습니다. 홍콩 보건당국으로부터 격리 대상자로 선정된 한국인 남성이 한국으로 귀국한 뒤 격리되지 않은 채 1일 홍콩으로 재차 입국한 것으로 전해졌는데요. 우리 방역 체계에 문제 있는 것 아닌가요?

<질문 9-1> 잠복기가 최대 2주를 넘을 수 있다는 전문가의 견해도 있었는데요. 이 부분은 어떻게 보세요? 잠복기가 당초 학계에서 분석하고 있는 것보다 길다면 더욱 위험한 상황이 생길 수 있을 것 같은데요

<질문 10> 현재 메르스 바이러스 격리 대상자가 총 682명입니다. 지금 시청자분들 중에도 불안감을 떨치지 못하는 분들이 많을 텐데요. 정확한 증상을 한 번 더 짚어주시죠.

<질문 11> 전문가들 너무 불안해할 필요가 없다고 하는데요. 정부에 대한 신뢰가 떨어진 상황인데요. 메르스 의심시 대처는 어떻게 해야합니까? 일단 외부와의 접촉을 피해야 할텐데요?

<질문 11-1> 현재까지 명확한 감염경로는 밝혀지지 않았으나 모든 환자들이 직·간접적으로 중동지역과 연관돼 있다고 합니다. 이쯤되면 중동 여행 자제시켜야 하지 않을까요?

<질문 12> 메르스 예방법은 무엇입니까? 구체적으로 말씀을 부탁드립니다.

연합뉴스TV 제보:02-398-4409, yjebo@yna.co.kr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