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1번지] 북한, 개성공단 둘러싼 일방적 요구…왜?

<출연 : 북한자유연맹 김주성 이사·한국산업은행 통일사업부 북한경제팀장 김영희>

방금 전 오후 4시, 출경했던 개성공단 입주기업 대표단이 입국했습니다.

개성공단을 둘러싼 남북 간 갈등이 향후 어떻게 전개될지 관심입니다.

이 외에도 북한의 이모저모를 김주성 북한자유연맹 이사·김영희 한국 산업은행 통일사업부 북한경제팀장과 자세한 얘기 나눠봅니다.

<질문 1> 방금 전 개성공단 기업회장들이 입국했습니다. 과연 북측이 개성공단 입주기업 대표단의 요청대로 임금 인상을 철회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됐었는데 이런 결과. 어떻게 보셨습니까?

<질문 2> 북한이 개성공단을 둘러싸고 (이토록 무리하게) 일방적 요구를 하는 배경은 무엇입니까?

<질문 3> 사실상 대북 정책 방향과 직결된 중요 현안인 대북전단 살포와 개성공단 문제가 표면 위로 올라왔습니다. 홍용표 신임 통일부 장관 취임 직후 중요한 두 가지 사안을 어떻게 처리할지, 그 방향에도 관심이죠?

<질문 4> 이대로 가다간 자칫 2년 전 공단가동 중단사태가 재연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는데요. 2년 전 같은 상황이 발생했을 때 우리 정부가 완전 폐쇄를 적극 검토한 것으로 드러나 파문이 일고 있다고요? 당시 정부가 기업에 대한 배상문제 검토를 마쳤던 것으로 전해진 만큼, 만약 북한에서 개성공단 잠정폐쇄라는 강수를 들고 나오면 개성공단 완전 폐쇄론에 또다시 힘이 실릴 수도 있다고 봐야 할까요?

<질문 5> 지난달 김정은이 직설적으로 북한산 색조 화장품의 낮은 품질을 질타한 사실이 알려져 눈길입니다. 김정은은 당시 은하수 화장품의 품질 향상을 주문했는데 북한에서 생산되는 화장품의 품질, 어떠합니까? 우리의 경우, 피부보호 노화방지에 효과적인 것들로 매번 트렌드에 맞게 화장품 소재가 각양각색으로 바뀌는데 최근 북한 여성들 사이에서는 주로 어떤 소재로 만들어진 화장품들이 인기인가요?

<질문 6> 그런데 김일성-김정일의 경우 사회주의 무결점만을 선전하지 않았습니까. 이와 달리 김정은이 북한 화장품의 낮은 품질을 질타하며 구사한 화법도 화제입니다. 김정은 특유의 화법, 어떻게 보셨나요? 김정은의 이런 행동이나 말의 배경이 단순히 어린 나이 탓일지 의문입니다. 지도력 공백을 보완하기 위한 전략적인 수단으로 이용되는 건 아니겠냐는 분석도 제기되고 있는데요?

<질문 71> 김정은 특유의 화법에 북한 주민들은 어떤 반응을 보이고 있는 지도 관심입니다. 김정은은 이번 화장품 공장 시찰뿐 아니라 과거에도 직설적인 화법으로 화제를 모으지 않았습니까?

<질문 8> 오늘자 조선중앙통신의 보도에 따르면, 김정은은 새로 건설된 인민군 어구종합공장을 시찰한 것으로 전해졌는데 화장품 공장 시찰에 이어 또다시 품질향상을 강조했습니다. 김정은이 최근 유독 각 분야의 품질향상을 강조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질문 9> 그런가 하면 최근 포털사이트에서 북한의 패스트푸드와 길거리 음식을 공개한 영상이 화제입니다. 북한의 패스트푸드점, 우리 패스트푸드점과 다를 바 없는 메뉴와 매장의 디자인이 눈에 띄는데요? 과거 평양의 문수 물놀이장 패스트푸드 바에서 햄버거가 일반적인 북한 노동자 월급의 3~5배에 해당하는 가격이지만 상당한 인기를 끌었다 알려졌는데요. 북한에서 패스트푸드, 여전히 고급 음식인가요? 영상 속 판매원은 왜 음식을 촬영 하냐고 묻는데 북한에서는 카메라 보급률이 어느 정도인지도 의문입니다. 북한 주민들 사이에선 스스로를 촬영하는 셀카 (셀피) 문화가 아직 보급되지 않았나요?

<질문 10> 영상 속 두 남녀가 길거리 음식을 먹고 있을 때 깨끗하면서도 인적이 드물고 한산한 거리 풍경이 눈에 들어옵니다. 평양 거리에서 군것질을 즐겨 먹는 모습은 흔치 않은 풍경인가요?

연합뉴스TV 제보:02-398-4409, yjebo@yna.co.kr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