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1번지] 리퍼트 대사 피습…대미 외교 역량 시험대

<출연 : 국립외교원 김동열 교수·세종연구소 홍현익 수석연구위원>

건국 이래 최초로 발생한 주한 미국 대사 피습 사건으로 한미 관계에 금이 가는 게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습니다.

국립외교원 김동열 교수, 홍현익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과 향후 외교적 파장에 대해 말씀 나눠 보겠습니다.

<질문 1> 미국 대사가 피습을 당한 것은 사상 처음입니다. 이번 사건 어떻게 보셨습니까?

<질문 1-1> 미국 언론들도 정규 방송을 중단하고 관련 소식을 일제히 속보로 전했죠? 향후 국제사회에서 한국을 바라보는 시각에 영향이 있지 않을까요?

<질문 2> 리퍼트 대사라면 오마바 대통령의 최측근으로 알려진 인물입니다. 또 아들에게 한글 이름을 줄 정도로 한국에 대한 애정이 깊은 인물로 알려지고 있죠?

<질문 3> 미 국무부가 사건 발생 1시간 반 만에 폭력행위를 강력히 규탄한다는 논평을 내놨습니다. 일단 미국이 이번 사안을 테러가 아닌 '폭력행위'로 규정한 이유는 어떻게 봐야 할까요?

<질문 4> 미 정부가 진상 파악을 위해 한국 치안당국과 긴밀히 협조하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향후 수사 방향은 어떻게 전개될 것으로 보십니까?

<질문 5> 이번 사건, '과거사를 덮고 가자'는 취지의 셔먼 미 국무부 정무차관의 발언 이후 한미 관계에 미묘한 기류가 형성된 상황이었는데요, 혹시 관련성은 없을까요?

<질문 6> 범인인 김기종 씨가 공격하면서 "남북통일", "전쟁 훈련 반대"를 외쳤다고 합니다. 피습의 목적은 어디에 있었을까요?

<질문 7> 우리 정부가 상당히 당혹스러워하고 있어요. 극단주의자의 돌출행동이 한국 내 반미주의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는데요. 한미 동맹에 부정적 여파를 미치지는 않을까요?

<질문 8> 더구나 올여름 즈음에 박 대통령이 미국 방문을 앞두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번 피습 사건이 어떤 형태로든 동북아 정세에도 영향을 미칭 것으로 보이는데요. 이런 가운데 일본 외무성이 한국을 소개하는 홈페이지에 '기본적 가치를 공유하는 나라'라는 표현을 삭제했습니다. 어떤 배경으로 봐야 할까요?

<질문 9> 현재 한미 연합훈련 기간 중인데요. 미연합사령관이 한미연합훈련은 예정대로 진행하겠다는 입장을 밝혔죠?

<질문 10> 북한이 이번 사건에 대해서 어떤 반응을 보일지 주목되는데요. 한미연합훈련에 대해서 반발이 더욱 거세지진 않을까요?

연합뉴스TV 제보:02-398-4409, yjebo@yna.co.kr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