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1번지] 북한 금융시스템 새로운 변화 바람부나?

<출연 : 경민대 강명도 교수>

북한이 예금 상품을 개발하고 주민들의 신용카드 이용을 추진할 것으로 보입니다.

김정은 체제 이후 금융시스템의 큰 변화가 예상되는데요.

강명도 경민대 교수와 말씀 나눠 보죠.

<질문 1> 북한이 각종 예금 상품을 개발하고 있다고 합니다. 또 주민들의 신용카드 이용을 추진한다고 하는데요, 금융시스템에 새로운 변화를 도입하는 이유는 뭐라고 보십니까?

<질문 2> 신용카드를 사용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주민들이 보편적으로 사용하기에는 시스템을 구축하기에 다소 시간이 걸리지 않겠습니까?

<질문 2-1> 그렇다면 지금 북한에서는 주민들이 신용카드를 이용하고 있나요?

<질문 3> 한편 주민들이 돈을 은행에 예치할 수 있도록 다양한 예적금 상품을 개발한다고 하는데요, 주민들이 소유한 자금이 현실적으로 예금까지 할 수 있을 정도로 넉넉하다고 보시는지요?

<질문 3-1> 북한에서 가장 인기있는 예금상품은 뭐가 있나요?

<질문 4> 조선중앙은행은 어떻게 관리운영되고 있습니까? 우리의 한국은행과 비슷한 건가요?

<질문 5> 북한이 어제 남한 언론에서 다룬 북한 공군 조종사들의 모형전투기 도보비행훈련을 논평에 대해 격분했습니다. 동족대결에 미친 '미친개'라는 표현까지 썼는데요, 대남 수위를 이렇게까지 높이는 이유는 뭘까요?

<질문 5-1> 북측은 "도보비행훈련을 비방하는 것도 모자라 '최고존엄'까지 비방했다"고 주장하고 있거든요? 이렇게까지 비난하는 이유가 뭘까요?

<질문 6> 도보비행훈련이라는 게 조종사들의 행동 일치를 위해 세계 어느 나라 공군도 다 진행하는 훈련 방식이라고 주장하고 있는데요, 그렇다면 교수님께서는 북한 공군의 도보비행훈련에 대해 어떻게 평가하시는지요?

<질문 7> 이런 가운데 북한 최고권력기관인 국방위원회가 미국과 '대화 거부' 입장을 밝혔습니다. 무력시위 쪽으로 방향을 전환하겠다는 뜻일까요? 북한의 입장에는 어떤 속내가 들어있다고 보세요?

<질문 8> 북한 금강산에서 2015년 올해 국제아마추어골프대회가 열린다고 합니다. 북한에도 평양에 태성골프장이 유명하다고 들었어요. 골프장 규모는 어느정도고 골프를 치는 사람들은 얼마나 많이 있나요?

<질문 9> 북한에 외국인이나 고위관리들만 갈 수 있는 묘향산의 룡성골프장이 있다고 하는데요, 여기는 어떤 곳인가요? 어떤 사람들이 근무하는지 궁금하고요, 또 골프 비용은 얼마나 비싼가요?

<질문 10> 북한에서 사용하는 골프 용어도 우리와 많이 다르다고 합니다. 예를 들어 벙커는 '모래방해물'이라고 한다는데, 우리는 대부분 영어로 된 용어를 쓰는데, 북한은 다른 스포츠 분야에서도 그렇지만, 본인들만의 용어를 사용하는 이유가 있겠죠?

연합뉴스TV 제보:02-398-4409, yjebo@yna.co.kr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