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1번지] '비박 투톱' 靑 압박…국정운영 변화 올까?

<출연 : 시사평론가 박상병·한국국정연구원 이치수 원장>

새누리당이 원내대표 경선 이후 당의 비주류가 지도부를 장악하면서 소강상태를 보였던 친박-친이계 간 갈등이 재연될 조짐을 보이고 있습니다.

박상병 시사평론가·이치수 한국국정연구원 원장과 말씀 나눠 보죠.

<질문 1>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가 "증세 없는 복지는 불가능 하다"며 박근혜 대통령에게 직격탄을 날려놓고 하루 만에 다시 박근혜 대통령과 청와대를 겨냥한 게 아니라고 해명했습니다. 앞으로 박근혜 대통령과 대립각을 세우겠다는 뜻으로 해석됐었는데, 그게 아니란 말인가요?

<질문 2> 김무성 대표는 그동안 오랜 정치경륜에 걸맞지 않게 논란이 된 발언을 적이 꽤 있었습니다. 대표적으로 증세발언 같은 경우가 그랬고요, 발언 직후에 해명을 하는 패턴을 보여왔는데요, 이런 것도 고도의 정치적 셈법이 깔려있는 겁니까?

<질문 3> 한편 유승민 신임 원내대표는 김기춘 비서실장하고 비서관 몇 명만 갖고 인적 쇄신이라 생각하지 않는다며 과감한 인적쇄신도 주문했습니다. 원내대표로 당선된 지 하루 만에 이런 발언이 나왔는데요. 당정청 관계 변화를 예고하는 신호탄으로 보십니까?

<질문 4> 그런데 박 대통령이 어제 국무회의에서 김무성 대표와 유승민 신임 원내대표의 인적쇄신 요구와 증세없는 복지 재검토 요구에는 관련된 언급이 없었어요. 이 부분은 어떻게 해석하십니까?

<질문 5> 한편에서는 박근혜 대통령이 보낸 유승민 원내대표 취임 축하난을 두고 뒷말이 나옵니다. 난을 조윤선 수석이 아니고, 신동철 정무 비서관이 전달했습니다. 정치권에서는 '화분 소통'이란 말도 있듯이, 지난 최경환 당시 원내대표 취임 축하난 때와는 사뭇 다른 분위기 때문에 박 대통령이 화분으로 박심을 표현한 게 아니냐는 얘기도 나오는데, 어떻습니까?

<질문 6> 김무성-유승민 투톱체제가 완성되면서 여권 내 힘의 균형추가 당으로 기울기 시작했다는 말이 나오고 있는만큼 박 대통령의 국정운영 스타일이 바뀔지도 궁금한데요?

<질문 7> 일각에서는 유승민 의원의 당선으로 서청원 의원의 역할론이 더 부각됐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아무래도 현재 기류를 볼 때 김무성 -유승민 체제로는 당청관계의 소통창구가 필요할 테니까요.. 창구의 역할을 서청원 최고위원이 하지 않을까 싶은데요?

<질문 8> 이완구 총리 후보자와 정홍원 총리가 최근 회동을 갖고 부분 개각과 관련한 각료 제청 문제를 논의했습니다. 이 후보자와 정 총리가 이미 각료 제청에 대한 협의를 마치고 박 대통령에게 제청권을 행사했을 가능성이 높아지는 건데요, 늦어지고 있는 후속 개각, 박 대통령이 과연 어떤 결심을 하리라 보십니까?

<질문 9> 이명박 전 대통령의 회고록 파장이 계속 이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새누리당 정두언 의원이 오늘 회고록에 대해 "왜 이 시점에 냈는지 이해가 안 간다"며 "모든 사람을 향해 뺨을 한대씩 때린 격으로 결국 매를 번 것"이라고 직격탄을 날렸습니다. 대표적인 친이계 정두언 의원의 작심 발언, 어떤 파장을 불러올까요?

<질문 10> 새정치민주연합 전당대회 막판에 경선 룰 문제가 불거졌습니다. 일반 여론조사의 유효표 인정 방식이 문재인 의원의 요구대로 결정됐기 때문인데요, 결과적으로 새정치 연합에서 문 의원의 손을 들어줬다고 보십니까?

<질문 11> 박지원 후보는 "친노가 이 당을 지배하고 있다"는 발언까지 했죠. 상황이 이렇게 되면 누가 당대표가 되더라도 후폭풍이 상당하지 않을까요?

연합뉴스TV 제보:02-398-4409, yjebo@yna.co.kr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