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1번지] "김정은, 러 초청에 긍정적"…첫 해외 방문?
<출연 : 세계북한연구센터 안찬일 소장·탈북자 한서희>
오는 5월 러시아에서 열리는 제2차 세계대전 승전 70주년 기념행사 참석에 김정은 제1비서가 긍정적 반응을 보내온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김정은의 첫 국제무대 데뷔가 이뤄질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가운데, 북한 축구대표팀의 아시안컵 탈락소식도 들려왔는데요.
안찬일 세계북한연구센터 소장, 북한 소품조 출신 탈북자 한서희씨와 함께 북한의 이모저모에 대해 자세한 얘기 나눠봅니다.
<질문 1> 김정은의 러시아 방문, 아직 확답 형태는 아니지만 최근 긴밀해지고 있는 북-러 관계를 감안하면 라브로프 장관의 언급이 예사롭지 않은 느낌입니다. 두 분은 김정은이 러시아를 방문할 가능성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1-1> 만약 김정은이 초청을 수락한다면 북한 최고지도자로서 처음으로 집권 이후 중국에 앞서 러시아를 먼저 방문하는 사례 아닙니까. 김정은의 파격 행보, 의미는?
<질문 2> 김정은이 러시아에 간다면 어떤 방법으로 갈지도 관심입니다. 러시아를 갈 수 있는 방법으로 비행기와 기차를 이용하는 방법이 꼽히고 있는 상황인데 그간 비행기를 선호해 온 김정은, 어떤 경로를 택할지도 관심이죠?
<질문 3> 김정일의 이복동생 김평일 폴란드대사가 최근 체코대사로 옮긴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17년만의 이동인데 김평일, 생전 김정일이 상당히 질투했던 인물이라고요. 어떤 인물입니까?
<질문 3-1> 김정일이 김평일을 질투해 벌인 사건도 있다고요?
<질문 3-2> 그렇다면 현재 북한 주민들 사이에서 김평일은 잊혀진 존재인가요?
<질문 3-3> 일각에서는 이번 이동이 단순한 이동으로만 볼 게 아니라 김정은의 정치적 의도가 숨어 있는 이동일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도 제기합니다. 김평일의 이동, 어떻게 봐야 할까요?
<질문 4> 화제를 바꿔 북한에서 최고 인기스포츠는 단연 축구라고요. 최근 세계적인 축구 선수들의 경기 스타일을 심층적으로 분석한 TV프로그램을 방송해 눈길을 끌고 있는데요?
<질문 4-1> 북한이 특정 선수의 경기 스타일을 분석한 프로그램을 내보낸 것은 매우 이례적인 일 아닙니까. 그것도 공격수나 수비수 같은 필드 플레이어가 아닌 골키퍼를 소재로 했다는 점 역시 주목할 부분 아닌가요?
<질문 5> 지난 2013년 북한은 김정은의 지시로 평양국제학교를 설립했는데 학생들 사이에서 북한 축구국가대표 선수 정대세보다도 리오넬 메시가 더 인기라고요?
<질문 6> 현재 진행 중인 아시안컵. 북한 축구대표팀의 4번째 본선 참가였지만 무승-전패라는 사상 최악의 기록으로 탈락했죠. 폐쇄적인 북한, 아시안컵 상대분석은 하고 대회에 참석한 걸까요?
<질문 6-1> 자본주의 유입을 막기 위해 원칙적으로 해외 인터넷 사이트 접속을 금지하는 북한에서 축구협회만 예외로 둔다는 말씀인데 그럼 다른 스포츠의 경우는 어떠합니까?
<질문 7> 김정은의 축구사랑은 남다른 것으로 알려졌죠. 실제로 북한은 최근 스포츠 산업에 많은 투자를 하고 있다고요. 그렇다면 북한에도 '프로 선수'라는 개념이 존재합니까?
<질문 8> 오늘 김정은은 신발 공장에 찾아가 생산을 독려했습니다. 그런데 노란 축구화를 들고 있는 김정은 뒤로 우리 아웃도어와 해외 스포츠 로고를 표방한 가짜 상품들이 보입니다. 북한은 자체적으로 개발한 제품이라 소개하고 있죠?
<질문 8-1> 김정은은 공장을 시찰하며 질이 낮은 제품은 아무리 많이 생산해도 소용이 없다면서 품질 개선을 주문했는데요. 북한에서는 상표권이나 특허에 대한 인식이 보편화 돼 있지 않습니까?
연합뉴스TV 제보:02-398-4409, yjebo@yna.co.kr
(끝)
<출연 : 세계북한연구센터 안찬일 소장·탈북자 한서희>
오는 5월 러시아에서 열리는 제2차 세계대전 승전 70주년 기념행사 참석에 김정은 제1비서가 긍정적 반응을 보내온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김정은의 첫 국제무대 데뷔가 이뤄질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가운데, 북한 축구대표팀의 아시안컵 탈락소식도 들려왔는데요.
안찬일 세계북한연구센터 소장, 북한 소품조 출신 탈북자 한서희씨와 함께 북한의 이모저모에 대해 자세한 얘기 나눠봅니다.
<질문 1> 김정은의 러시아 방문, 아직 확답 형태는 아니지만 최근 긴밀해지고 있는 북-러 관계를 감안하면 라브로프 장관의 언급이 예사롭지 않은 느낌입니다. 두 분은 김정은이 러시아를 방문할 가능성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1-1> 만약 김정은이 초청을 수락한다면 북한 최고지도자로서 처음으로 집권 이후 중국에 앞서 러시아를 먼저 방문하는 사례 아닙니까. 김정은의 파격 행보, 의미는?
<질문 2> 김정은이 러시아에 간다면 어떤 방법으로 갈지도 관심입니다. 러시아를 갈 수 있는 방법으로 비행기와 기차를 이용하는 방법이 꼽히고 있는 상황인데 그간 비행기를 선호해 온 김정은, 어떤 경로를 택할지도 관심이죠?
<질문 3> 김정일의 이복동생 김평일 폴란드대사가 최근 체코대사로 옮긴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17년만의 이동인데 김평일, 생전 김정일이 상당히 질투했던 인물이라고요. 어떤 인물입니까?
<질문 3-1> 김정일이 김평일을 질투해 벌인 사건도 있다고요?
<질문 3-2> 그렇다면 현재 북한 주민들 사이에서 김평일은 잊혀진 존재인가요?
<질문 3-3> 일각에서는 이번 이동이 단순한 이동으로만 볼 게 아니라 김정은의 정치적 의도가 숨어 있는 이동일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도 제기합니다. 김평일의 이동, 어떻게 봐야 할까요?
<질문 4> 화제를 바꿔 북한에서 최고 인기스포츠는 단연 축구라고요. 최근 세계적인 축구 선수들의 경기 스타일을 심층적으로 분석한 TV프로그램을 방송해 눈길을 끌고 있는데요?
<질문 4-1> 북한이 특정 선수의 경기 스타일을 분석한 프로그램을 내보낸 것은 매우 이례적인 일 아닙니까. 그것도 공격수나 수비수 같은 필드 플레이어가 아닌 골키퍼를 소재로 했다는 점 역시 주목할 부분 아닌가요?
<질문 5> 지난 2013년 북한은 김정은의 지시로 평양국제학교를 설립했는데 학생들 사이에서 북한 축구국가대표 선수 정대세보다도 리오넬 메시가 더 인기라고요?
<질문 6> 현재 진행 중인 아시안컵. 북한 축구대표팀의 4번째 본선 참가였지만 무승-전패라는 사상 최악의 기록으로 탈락했죠. 폐쇄적인 북한, 아시안컵 상대분석은 하고 대회에 참석한 걸까요?
<질문 6-1> 자본주의 유입을 막기 위해 원칙적으로 해외 인터넷 사이트 접속을 금지하는 북한에서 축구협회만 예외로 둔다는 말씀인데 그럼 다른 스포츠의 경우는 어떠합니까?
<질문 7> 김정은의 축구사랑은 남다른 것으로 알려졌죠. 실제로 북한은 최근 스포츠 산업에 많은 투자를 하고 있다고요. 그렇다면 북한에도 '프로 선수'라는 개념이 존재합니까?
<질문 8> 오늘 김정은은 신발 공장에 찾아가 생산을 독려했습니다. 그런데 노란 축구화를 들고 있는 김정은 뒤로 우리 아웃도어와 해외 스포츠 로고를 표방한 가짜 상품들이 보입니다. 북한은 자체적으로 개발한 제품이라 소개하고 있죠?
<질문 8-1> 김정은은 공장을 시찰하며 질이 낮은 제품은 아무리 많이 생산해도 소용이 없다면서 품질 개선을 주문했는데요. 북한에서는 상표권이나 특허에 대한 인식이 보편화 돼 있지 않습니까?
연합뉴스TV 제보:02-398-4409, yjebo@yna.co.kr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