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1번지] 광복 70주년…지금 북한은?
<출연 : 세계북한연구센터 안찬일 소장ㆍ탈북자 한서희>
분단 70주년과 함께 집권 4년 차를 맞는 2015년은 북한 김정은 제1 위원장에게도 상당히 중요한 한 해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이런 가운데 최근 북한에는 시장경제의 영향력이 커지면서 젊은 신흥부자들이 김정은 지지세력 가능성을 예고하고 있다고 하는데요.
안찬일 세계북한연구센터 소장ㆍ북한 소품조 출신 탈북자인 한서희 씨와 자세한 말씀 나눠 보죠.
<질문 1> 김정은 여동생 김여정이 2인자인 최룡해의 아들과 결혼했다는 뉴스가 중국의 대북소식통을 통해 전해졌습니다. 이를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2> 우리는 일단 공휴일로 지정돼 있고 또 설빔도 입고 새배도 하고 떡국도 먹고 가족들이 모이기도 하는데요, 북한의 새해맞이 풍경은 어떻습니까?
<질문 3> 김정은 체제가 들어서면서 북한이 '장마당'을 많이 활용했습니다마는 현재 북한 주민들의 생존을 책임지고 있는 '장마당'이 주민들 모습을 몰라보게 바꿔놓았다면서요? 요즘 가장 인기상품은 뭔가요?
<질문 4> '장마당' 장사로 돈을 번 신흥부자들이 고리대부업이나 음성적 주택 거래 등을 통해서 큰 부호로 등장하고 있다고 들었습니다. 이런 지방 '돈주'들은 상당히 호화로운 생활을 즐기고 있다고 하는데 정말인가요? 이런 신흥부자들은 어떻게 돈을 버는 것일까요?
<질문 5> 신흥부자들을 겨냥한 것인지도 모르겠습니다마는 김정은 집권 체제에서 건설된 고급 위락시설이 많다고 들었습니다. 주로 어떤 것들이 있나요? 그리고 현재 어떻게 사용되고 있습니까?
<질문 5-1> 특히 평양에 문수물놀이장, 해당화관, 곱등어(돌고래)관 같은 '놀이시설' 들을 많이 건설한 것으로 보이는데 특별한 이유가 있을까요?
<질문 6> 북한의 이런 신흥 부자들이 문화를 향유하고 윤택한 생활을 즐길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해 준다면 김정은 제1 위원장을 지지하는 체제 안정 요인이 될 것으로 보시는지요?
<질문 7> 어제 김정은 제1 위원장의 신년사도 짚어보겠습니다. 신년사 절반 정도를 남북관계에 대해 할애했습니다. 어떻게 해석하십니까?
<질문 8-1> 아버지인 김정일과 다르게 김정은은 3년째 내리 '육성'으로 신년사를 하고 있는데요. 배경은 어떻게 분석할 수 있을까요?
<질문 9> 김정은이 자신감은 있어 보였지만 중간 중간 숨소리가 다소 거칠게 들렸거든요. 일각에서는 폐질환이나 심장 질환이 의심된다는 관측도 있는데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10> 김정은이 신년사를 발표한 뒤 새해 첫 현지지도 장소로 고아원을 선택했죠. 여기서 또 한 번의 눈물을 흘렸다고 하죠? 작년 말부터 눈물을 자주 보이는 것 같은데 이것도 의도가 있는 것일까요?
연합뉴스TV 제보:02-398-4409, yjebo@yna.co.kr
(끝)
<출연 : 세계북한연구센터 안찬일 소장ㆍ탈북자 한서희>
분단 70주년과 함께 집권 4년 차를 맞는 2015년은 북한 김정은 제1 위원장에게도 상당히 중요한 한 해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이런 가운데 최근 북한에는 시장경제의 영향력이 커지면서 젊은 신흥부자들이 김정은 지지세력 가능성을 예고하고 있다고 하는데요.
안찬일 세계북한연구센터 소장ㆍ북한 소품조 출신 탈북자인 한서희 씨와 자세한 말씀 나눠 보죠.
<질문 1> 김정은 여동생 김여정이 2인자인 최룡해의 아들과 결혼했다는 뉴스가 중국의 대북소식통을 통해 전해졌습니다. 이를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2> 우리는 일단 공휴일로 지정돼 있고 또 설빔도 입고 새배도 하고 떡국도 먹고 가족들이 모이기도 하는데요, 북한의 새해맞이 풍경은 어떻습니까?
<질문 3> 김정은 체제가 들어서면서 북한이 '장마당'을 많이 활용했습니다마는 현재 북한 주민들의 생존을 책임지고 있는 '장마당'이 주민들 모습을 몰라보게 바꿔놓았다면서요? 요즘 가장 인기상품은 뭔가요?
<질문 4> '장마당' 장사로 돈을 번 신흥부자들이 고리대부업이나 음성적 주택 거래 등을 통해서 큰 부호로 등장하고 있다고 들었습니다. 이런 지방 '돈주'들은 상당히 호화로운 생활을 즐기고 있다고 하는데 정말인가요? 이런 신흥부자들은 어떻게 돈을 버는 것일까요?
<질문 5> 신흥부자들을 겨냥한 것인지도 모르겠습니다마는 김정은 집권 체제에서 건설된 고급 위락시설이 많다고 들었습니다. 주로 어떤 것들이 있나요? 그리고 현재 어떻게 사용되고 있습니까?
<질문 5-1> 특히 평양에 문수물놀이장, 해당화관, 곱등어(돌고래)관 같은 '놀이시설' 들을 많이 건설한 것으로 보이는데 특별한 이유가 있을까요?
<질문 6> 북한의 이런 신흥 부자들이 문화를 향유하고 윤택한 생활을 즐길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해 준다면 김정은 제1 위원장을 지지하는 체제 안정 요인이 될 것으로 보시는지요?
<질문 7> 어제 김정은 제1 위원장의 신년사도 짚어보겠습니다. 신년사 절반 정도를 남북관계에 대해 할애했습니다. 어떻게 해석하십니까?
<질문 8-1> 아버지인 김정일과 다르게 김정은은 3년째 내리 '육성'으로 신년사를 하고 있는데요. 배경은 어떻게 분석할 수 있을까요?
<질문 9> 김정은이 자신감은 있어 보였지만 중간 중간 숨소리가 다소 거칠게 들렸거든요. 일각에서는 폐질환이나 심장 질환이 의심된다는 관측도 있는데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10> 김정은이 신년사를 발표한 뒤 새해 첫 현지지도 장소로 고아원을 선택했죠. 여기서 또 한 번의 눈물을 흘렸다고 하죠? 작년 말부터 눈물을 자주 보이는 것 같은데 이것도 의도가 있는 것일까요?
연합뉴스TV 제보:02-398-4409, yjebo@yna.co.kr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