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1번지] 야권 권력지형도 출렁…기업인 가석방 논란
<출연 : 공간과미디어연구소 박상헌 소장·한국정치아카데미 김만흠 원장>
새정치민주연합의 당권주자였던 정세균 의원이 전당대회 불출마를 선언했습니다.
이른바 빅3의 대결장이 될 것으로 여겨졌던 선거판이 박지원·문재인 양강구도로 압축되는 모양샙니다.
기업인 가석방 문제도 논란이 뜨거운데요, 공간과미디어연구소 박상헌 소장, 한국정치아카데미 김만흠 원장 두 분 모시고 최근 정치권 이슈 살펴보겠습니다.
<질문 1> 빅 3로 진행됐던 새정치민주연합의 전당대회, 그러나 정세균 의원의 불출마로 문재인, 박지원 의원의 2파전이 됐습니다. 정세균 의원의 불출마에 대해 어떤 평가십니까? 당내 의견을 어느 정도 수용했다, 이렇게 봐야 할까요?
<질문 2> 문재인, 박지원 의원에 대해 당내 의원 30여 명은 여전히 당내 계파 갈등이 심화된다는 이유로 불출마를 요구하고 있는 상황인데요. 그러나 문재인, 박지원 의원은 출마 방침을 굳힌 것으로 알려져 있죠. 어떻게 봐야 할까요?
<질문 3> 새정치민주연합의 당대표 경쟁 구도는 이제 문재인과 박지원 의원의 양강대결로 재편됐습니다. 양강대결, 누구에게 승산이 있다고 보십니까?
<질문 4> 새정치민주연합의 전당대회 진행 상황을 보는 (일각에선) 전당대회가 끝나고 후폭풍을 예상하는 분들이 꽤 있어 여쭤보겠습니다. 두 분께선 어떤 의견이십니까? 문재인 의원과 박지원 의원의 대결에서 누가 이기고 지느냐 따라 당의 행보 또한 달라질 것을 얘기 하던데요?
<질문 5> 문재인 의원이 '국제시장'과 '님아'를 두고 어떤 영화를 볼지 막판까지 고심한 것을 놓고 정치적 해석이 난무한데요. 영화를 본 것을 두고 왜 이런 해석들이 나오고 있다 보십니까?
<질문 6> 박지원 의원, 통일부의 방북 불허 결정과 관련해 "옹졸한 결정"이라고 비판하고 나섰는데요. 정부, 지금까지 두 차례 승인했다가 이번에 방북을 불허한 이유를 어떻게 봐야 할까요?
<질문 7> 새정치민주연합 정동영 상임고문이 재야 진보 진영에서 추진하는 신당 합류에 적극 검토에 나서면서 통합진보당 해산 이후 불거진 진보진영 재편론에 힘이 실리고 있는 모습입니다. 이러한 정 고문의 행보, 어떤 평가십니까?
<질문 8> 정동영 고문은 신당 창당과 관련해 "최근 나뿐만 아니라 당 안팎에 있는 분들에게 함께하자고 제안했다"고 밝히기도 했는데요. 새정치민주연합의 분위기를 어떻게 봐야 할까요?
<질문 9> 정동영 고문, 거취에 대해 조만간 최종 결론을 내겠다는 입장인데요. 정 고문의 입장 정리가 신당으로 간다면, 어떤 파급 효과를 기대해 볼 수 있을까요? 또 새정치민주연합에 불어 닥칠 후폭풍도 한번 생각해 봐야 할 것 같은데요?
<질문 10> 정동영 고문이 원외 인물이긴 하나 대선 후보를 지낸 인지도 있는 인사죠. 이러한 정 고문이 신당 창당 움직임에 합류한다면, 현재 정치권 비주류 인사들 위주로 흘러가는 진보 진영 개편 움직임이 본격화할 것으로 보입니다. 어떤 점을 눈 여겨 봐야 하겠습니까?
<질문 11> 경제인 가석방을 두고 찬반론으로 엇갈리는 있는 분위깁니다. 경제 활성화를 위한 가석방, 이유가 좀 궁색해 보인다는 얘기도 있어요. 경제인 가석방이 경제 활성화에 도움이 될까요? 어떤 의견이십니까?
<질문 12> 경제인 가석방에 대해 청와대는 "법무부 장관의 고유 권한"이라는 원칙론을 고수하면서 여론의 동향을 지켜보는 것 같은데요. 법무부 또한 "요건이 갖춰질 경우 누구나 가석방 대상이 될 수 있다는 원칙대로 해나가겠다"고 밝혔죠. 가석방을 추진하겠다는 것으로 봐야 할까요?
연합뉴스TV 제보:02-398-4409, yjebo@yna.co.kr
(끝)
<출연 : 공간과미디어연구소 박상헌 소장·한국정치아카데미 김만흠 원장>
새정치민주연합의 당권주자였던 정세균 의원이 전당대회 불출마를 선언했습니다.
이른바 빅3의 대결장이 될 것으로 여겨졌던 선거판이 박지원·문재인 양강구도로 압축되는 모양샙니다.
기업인 가석방 문제도 논란이 뜨거운데요, 공간과미디어연구소 박상헌 소장, 한국정치아카데미 김만흠 원장 두 분 모시고 최근 정치권 이슈 살펴보겠습니다.
<질문 1> 빅 3로 진행됐던 새정치민주연합의 전당대회, 그러나 정세균 의원의 불출마로 문재인, 박지원 의원의 2파전이 됐습니다. 정세균 의원의 불출마에 대해 어떤 평가십니까? 당내 의견을 어느 정도 수용했다, 이렇게 봐야 할까요?
<질문 2> 문재인, 박지원 의원에 대해 당내 의원 30여 명은 여전히 당내 계파 갈등이 심화된다는 이유로 불출마를 요구하고 있는 상황인데요. 그러나 문재인, 박지원 의원은 출마 방침을 굳힌 것으로 알려져 있죠. 어떻게 봐야 할까요?
<질문 3> 새정치민주연합의 당대표 경쟁 구도는 이제 문재인과 박지원 의원의 양강대결로 재편됐습니다. 양강대결, 누구에게 승산이 있다고 보십니까?
<질문 4> 새정치민주연합의 전당대회 진행 상황을 보는 (일각에선) 전당대회가 끝나고 후폭풍을 예상하는 분들이 꽤 있어 여쭤보겠습니다. 두 분께선 어떤 의견이십니까? 문재인 의원과 박지원 의원의 대결에서 누가 이기고 지느냐 따라 당의 행보 또한 달라질 것을 얘기 하던데요?
<질문 5> 문재인 의원이 '국제시장'과 '님아'를 두고 어떤 영화를 볼지 막판까지 고심한 것을 놓고 정치적 해석이 난무한데요. 영화를 본 것을 두고 왜 이런 해석들이 나오고 있다 보십니까?
<질문 6> 박지원 의원, 통일부의 방북 불허 결정과 관련해 "옹졸한 결정"이라고 비판하고 나섰는데요. 정부, 지금까지 두 차례 승인했다가 이번에 방북을 불허한 이유를 어떻게 봐야 할까요?
<질문 7> 새정치민주연합 정동영 상임고문이 재야 진보 진영에서 추진하는 신당 합류에 적극 검토에 나서면서 통합진보당 해산 이후 불거진 진보진영 재편론에 힘이 실리고 있는 모습입니다. 이러한 정 고문의 행보, 어떤 평가십니까?
<질문 8> 정동영 고문은 신당 창당과 관련해 "최근 나뿐만 아니라 당 안팎에 있는 분들에게 함께하자고 제안했다"고 밝히기도 했는데요. 새정치민주연합의 분위기를 어떻게 봐야 할까요?
<질문 9> 정동영 고문, 거취에 대해 조만간 최종 결론을 내겠다는 입장인데요. 정 고문의 입장 정리가 신당으로 간다면, 어떤 파급 효과를 기대해 볼 수 있을까요? 또 새정치민주연합에 불어 닥칠 후폭풍도 한번 생각해 봐야 할 것 같은데요?
<질문 10> 정동영 고문이 원외 인물이긴 하나 대선 후보를 지낸 인지도 있는 인사죠. 이러한 정 고문이 신당 창당 움직임에 합류한다면, 현재 정치권 비주류 인사들 위주로 흘러가는 진보 진영 개편 움직임이 본격화할 것으로 보입니다. 어떤 점을 눈 여겨 봐야 하겠습니까?
<질문 11> 경제인 가석방을 두고 찬반론으로 엇갈리는 있는 분위깁니다. 경제 활성화를 위한 가석방, 이유가 좀 궁색해 보인다는 얘기도 있어요. 경제인 가석방이 경제 활성화에 도움이 될까요? 어떤 의견이십니까?
<질문 12> 경제인 가석방에 대해 청와대는 "법무부 장관의 고유 권한"이라는 원칙론을 고수하면서 여론의 동향을 지켜보는 것 같은데요. 법무부 또한 "요건이 갖춰질 경우 누구나 가석방 대상이 될 수 있다는 원칙대로 해나가겠다"고 밝혔죠. 가석방을 추진하겠다는 것으로 봐야 할까요?
연합뉴스TV 제보:02-398-4409, yjebo@yna.co.kr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