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1번지] 제2롯데월드 수족관 최소 3곳서 누수
<출연 : 건국대 건축학과 안형준 교수·최영일 시사평론가>
안전성 논란이 끊이지 않았던 제2롯데월드 아쿠아리움에서 물이 새는 사실이 밝혀졌죠.
정부합동안전점검단 조사결과 최소 세 군데 이상에서 물이 샌 걸로 드러나면서 안전성 논란은 더욱 거세질 전망입니다.
안형준 건국대 건축학과 교수, 최영일 시사평론가와 함께 관련 내용에 대해 자세한 얘기 나눠봅니다.
<질문 1> 지금까지 세 군데에 아직도 물이 새고 있다는 언론 보도는 전문가로서 교수님은 현재 누수 심각성을 어느 정도로 보고 있나요?
<질문 2> 롯데 측에 따르면 수조의 아크릴과 벽면을 연결하는 실리콘, 여기에 1~2mm 크기의 틈이 생겼고 그 틈으로 물이 샌 것이며 보수공사를 해 발생한 단순한 물 맺힘 현상이라는 주장인데요?
<질문 2-1> 실리콘 접합부에 왜 균열이 생기는 건가요?
<질문 2-2> 이 같은 균열, 롯데 측 주장대로 정말 흔한 일인가요?
<질문 3> 정부합동안전점검단의 조사 결과, 애초 문제가 됐던 메인 수조뿐 아니라 대형 수조 양쪽에도 물이 샜다고 밝혀졌습니다. 점검단장 김찬오 교수는 눈에 보이지 않는 누수도 있을 수 있다고 발언에 대한 견해는?
<질문 3-1> 오늘 오전, 제2롯데월드 아쿠아리움 누수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것 같지만 제2롯데월드 때문에 물이 새는 곳이 한 군데 더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고요?
<질문 4> 롯데 측 초기대응 또다시 논란이 되고 있는데요. 누수현상이 1주일째 계속됐지만 이를 숨긴 채 영업행위를 했고 관람객들에게 누수 사실을 알리지 않았다고요?
<질문 4-1> 롯데 측의 태도는 건축법상으로도 문제없나요?
<질문 5> 아쿠아리움은 어린이 관람객이 주로 찾는 놀이시설인데요. 미세한 균열은 제2의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경고신호 아닌가요. 누수 부위를 판자로 막아놓고 고객들에게 쉬쉬하던 롯데의 자세는 어떻게 봐야하죠?
<질문 6> 국내 최대 규모의 제2 롯데월드 아쿠아리움 지하에 송파 변전소가 있죠. 대규모 누수가 발생하면 최악의 경우 심각한 재난상황이 발생할까 우려되는데요?
<질문 6-1> 이 때문에 올해 국회 국정감사에서 아쿠아리움 누수로 인한 대형 안전사고 가능성이 제기되기도 하지만 롯데, 아쿠아리움과 지하 변전소는 완전히 차단돼 있어 사고 위험성이 전혀 없다는 주장과 평가는?
<질문 7> 제 2롯데월드 인근, 싱크홀 현상이 빈발하고 석촌호수 수위 하강 원인에 대한 조사도 최종 결론이 나오지 않은 상태입니다. 이 가운데 바닥과 천장의 균열, 금속 구조물 낙하 등 문제가 계속되고 있지 않나요?
<질문 8> 제2 롯데월드, 되풀이되는 수많은 사고가 불거질 때마다 안전에는 전혀 문제가 없다는 주장만 되풀이 되고 있습니다. 갈수록 롯데 측의 주장에 신뢰도가 떨어진다는 분석인데요?
<질문 8-1> 오늘 국민안전처는 정부합동안전점검 실시 결과 제2롯데월드에 영업정지 대신 정밀안전진단 명령을 내렸는데 영업정지 없이 완벽한 보수 가능할까요?
<질문 8-2> 사고 방지를 위해 롯데와 서울시에 요구되는 대책은?
연합뉴스TV 제보:02-398-4409, yjebo@yna.co.kr
(끝)
<출연 : 건국대 건축학과 안형준 교수·최영일 시사평론가>
안전성 논란이 끊이지 않았던 제2롯데월드 아쿠아리움에서 물이 새는 사실이 밝혀졌죠.
정부합동안전점검단 조사결과 최소 세 군데 이상에서 물이 샌 걸로 드러나면서 안전성 논란은 더욱 거세질 전망입니다.
안형준 건국대 건축학과 교수, 최영일 시사평론가와 함께 관련 내용에 대해 자세한 얘기 나눠봅니다.
<질문 1> 지금까지 세 군데에 아직도 물이 새고 있다는 언론 보도는 전문가로서 교수님은 현재 누수 심각성을 어느 정도로 보고 있나요?
<질문 2> 롯데 측에 따르면 수조의 아크릴과 벽면을 연결하는 실리콘, 여기에 1~2mm 크기의 틈이 생겼고 그 틈으로 물이 샌 것이며 보수공사를 해 발생한 단순한 물 맺힘 현상이라는 주장인데요?
<질문 2-1> 실리콘 접합부에 왜 균열이 생기는 건가요?
<질문 2-2> 이 같은 균열, 롯데 측 주장대로 정말 흔한 일인가요?
<질문 3> 정부합동안전점검단의 조사 결과, 애초 문제가 됐던 메인 수조뿐 아니라 대형 수조 양쪽에도 물이 샜다고 밝혀졌습니다. 점검단장 김찬오 교수는 눈에 보이지 않는 누수도 있을 수 있다고 발언에 대한 견해는?
<질문 3-1> 오늘 오전, 제2롯데월드 아쿠아리움 누수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것 같지만 제2롯데월드 때문에 물이 새는 곳이 한 군데 더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고요?
<질문 4> 롯데 측 초기대응 또다시 논란이 되고 있는데요. 누수현상이 1주일째 계속됐지만 이를 숨긴 채 영업행위를 했고 관람객들에게 누수 사실을 알리지 않았다고요?
<질문 4-1> 롯데 측의 태도는 건축법상으로도 문제없나요?
<질문 5> 아쿠아리움은 어린이 관람객이 주로 찾는 놀이시설인데요. 미세한 균열은 제2의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경고신호 아닌가요. 누수 부위를 판자로 막아놓고 고객들에게 쉬쉬하던 롯데의 자세는 어떻게 봐야하죠?
<질문 6> 국내 최대 규모의 제2 롯데월드 아쿠아리움 지하에 송파 변전소가 있죠. 대규모 누수가 발생하면 최악의 경우 심각한 재난상황이 발생할까 우려되는데요?
<질문 6-1> 이 때문에 올해 국회 국정감사에서 아쿠아리움 누수로 인한 대형 안전사고 가능성이 제기되기도 하지만 롯데, 아쿠아리움과 지하 변전소는 완전히 차단돼 있어 사고 위험성이 전혀 없다는 주장과 평가는?
<질문 7> 제 2롯데월드 인근, 싱크홀 현상이 빈발하고 석촌호수 수위 하강 원인에 대한 조사도 최종 결론이 나오지 않은 상태입니다. 이 가운데 바닥과 천장의 균열, 금속 구조물 낙하 등 문제가 계속되고 있지 않나요?
<질문 8> 제2 롯데월드, 되풀이되는 수많은 사고가 불거질 때마다 안전에는 전혀 문제가 없다는 주장만 되풀이 되고 있습니다. 갈수록 롯데 측의 주장에 신뢰도가 떨어진다는 분석인데요?
<질문 8-1> 오늘 국민안전처는 정부합동안전점검 실시 결과 제2롯데월드에 영업정지 대신 정밀안전진단 명령을 내렸는데 영업정지 없이 완벽한 보수 가능할까요?
<질문 8-2> 사고 방지를 위해 롯데와 서울시에 요구되는 대책은?
연합뉴스TV 제보:02-398-4409, yjebo@yna.co.kr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