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1번지] IOC, 복수 도시·국가 올림픽 공동개최 승인

<출연 : 스포츠 평론가 기영노>

삼수 끝에 개최권을 획득한 평창 동계올림픽이 분산 개최의 첫 번째 대상으로 지목되면서 논란이 거세지고 있는데요.

기영노 스포츠 평론가와 함께 자세한 얘기 나눠봅니다.

<질문 1> 먼저 IOC가 발표한 복수 도시 개최안, 1896년 근대 올림픽이 시작된 이후 118년간 고수해온 원칙을 무너뜨리는 안 아닙니까. IOC가 이 같은 결정을 내리게 된 배경은?

<질문 2> 2018 평창동계올림픽 썰매종목의 해외분산개최설이 언급되면서 이에 대한 국제적 압박 역시 이어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평창동계올림픽 해외분산개최, 현실화 가능성 있는 부분인가요?

<질문 3> 현재까지 IOC의 주장은 강제성 없는 단순한 권고안 성격으로 추측되지만 린드베리 조정위원장이 썰매 종목의 대체 경기장 후보지 12군데 리스트를 평창 측에 넘기겠다고 밝혔습니다. 의미는?

<질문 4> '어젠다 2020', 엄연히 2020년 이후 올림픽 개최를 기준으로 시행돼야 하는 것 아닙니까. 평창 올림픽은 2018년에 개최하는 대회인데 IOC, 왜 평창 올림픽을 분리개최의 첫 번째 대상으로 지목하는 거죠?

<질문 4> 진행 중인 시설 공사를 중단하더라도 분산개최가 경제적이라는 IOC의 주장이 더 현실적이라는 의견도 있습니다. 사후 유지비용을 감안해서 현재 진행 중인 공사를 중단하는 게 유리할 수도 있지 않나요?

<질문 5> 정부는 분산개최를 반대한다는 공식입장을 밝혔지만 IOC의 주장이 상당 기간 연구를 거친 다음 나온 것인 만큼 이에 대한 맞대응 논리를 연구할 필요도 있는 것 아닌가요?

<질문 6> 분산개최 후보군으로 거론되고 있는 일본은 제안이 오면 전향적으로 검토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만약 평창동계올림픽이 분산개최 된다면 일본이 누릴 혜택은? 그렇다면 현재 재정난 때문에 도쿄 내 경기장 건설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일본 역시 2020년 일본 도쿄올림픽을 우리와 분산개최 할 가능성도 있는 건가요?

<질문 7> 일본, 도쿄 올림픽 일부 경기 비용 절감을 위해 일본 내 다른 도시에서 치르는 방안도 급부상. 우리 역시 평창이 아닌 강원도 내에서의 분산개최설도 제기되고 있는데 평가는?

연합뉴스TV 제보:02-398-4409, yjebo@yna.co.kr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