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1번지] 김정은, 외국 담배 '흡연 금지령' 내린 이유는?
<출연 : 전옥현 전 국정원 1차장·경민대 강명도 교수>
북한에서 수입 담배는 권력과 부의 상징으로, 북한 전역에서 상당한 양이 유통되고 있습니다.
그런데 최근 김정은 제1 위원장이 '수입담배 소비 금지령'을 내렸다고 합니다.
어떤 이유인지 궁금한데요.
전옥현 전 국정원 1차장, 강명도 경민대 교수와 얘기 나눠 보죠.
<질문 1> 가볍기도 하고 무겁기도 한 얘긴데 북한 김정은이 최근 간부들에게 외국담배 소비 금지령을 내렸다고 합니다. 애국심이 없다며 질책했다고 하는데, 외국담배가 꽤 유통되고 있나 봅니다?
<질문 2> 김정은도 10대 중반부터 담배를 피기 시작한 애연가인데, '이브생로랑' 담배를 좋아했다고 합니다. 김정일 국방위원자의 요리사를 지낸 일본인 후지모토 겐지의 증언인데, 그러면 본인도 수입담배를 좋아하는 거 아닙니까?
<질문 3> 양담배 수입이 전면 중단되도 필 사람은 필 것 같은데, 밀거래 루트가 또 있지 않겠어요? '수입담배 금지령'이 효과가 있을까요?
<질문 4> 북한에서 시판되는 담배들, <평양> <광명> <방패> 등등이 있다고 하는데 어떤 게 인기가 있고 가격은 어느 정도에 형성돼 있나요?
<질문 4-1> 그런데 북한에서는 수입담배가 부의 상징으로, 계급에 따라서 피우는 담배가 다르다고 하던데요? 정말입니까?
<질문 4-2> 일반 인민들이 피우는 담배는 너무 질이 떨어져서 차마 피울 수 없다고 하던데요?
<질문 5> 지난 2000년에 남북한 합작담배 <한마음> <잎새> 도 시판되지 않았나요? 그러다가 중단됐었는데 이유가 잘 안팔려서 였다고 하던데 맞습니까?
<질문 6> 경기도 김포 애기봉 등탑이 있던 자리에 올해 성탄절에는 성탄 트리가 세워질 것 같습니다. 남북간 등탑 점등 시비가 올해도 이어지겠죠?
<질문 7> 한국 기독교 총연합회가 애기봉에 9m 높이의 성탄 트리를 설치하게 해달라고 군에 요청했는데 말릴 명분이 없었다고 합니다. 높이가 9m 면 북한에서는 잘 보이지도 않는다고 하던데, 효과도 없이 북한에 괜한 시비의 구실만 제공하는 건 아닐까요?
<질문 8> 아무튼 트리가 불을 밝힐 동안 남북간의 신경이 곤두서게 될 텐데, 지난 2012년 당시에 북한이 전통문을 보내 "애기봉에 점등하면 즉각 타격한다"고 위협했죠. 자칫 국지 도발로 번질 위험도 있지 않을까요?
<질문 9> 북한 황병서 군 총정치국장과 김원홍 국가안전보위부장 간 갈등설이 불거졌습니다. 어떤 내용인가요?
<질문 9-1> 이 둘이 물고 뜯는 권력투쟁이 극도에 달하고 있다고 하는데, 황병서 쪽이 이길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도 나옵니다.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10> 북한 2인자였던 장성택이 숙청되고 1년이 됐는데, 아직도 북한에서는 대규모 숙청작업이 계속되고 있다고 합니다. 가능성이 있는 얘긴가요?
<질문 11> 장성택의 부인이자 김정은의 고모인 김경희 사망설이 계속 나오고 있는데요, 그만큼 가능성 높다고 봐야 할까요?
연합뉴스TV 제보:02-398-4409, yjebo@yna.co.kr
(끝)
<출연 : 전옥현 전 국정원 1차장·경민대 강명도 교수>
북한에서 수입 담배는 권력과 부의 상징으로, 북한 전역에서 상당한 양이 유통되고 있습니다.
그런데 최근 김정은 제1 위원장이 '수입담배 소비 금지령'을 내렸다고 합니다.
어떤 이유인지 궁금한데요.
전옥현 전 국정원 1차장, 강명도 경민대 교수와 얘기 나눠 보죠.
<질문 1> 가볍기도 하고 무겁기도 한 얘긴데 북한 김정은이 최근 간부들에게 외국담배 소비 금지령을 내렸다고 합니다. 애국심이 없다며 질책했다고 하는데, 외국담배가 꽤 유통되고 있나 봅니다?
<질문 2> 김정은도 10대 중반부터 담배를 피기 시작한 애연가인데, '이브생로랑' 담배를 좋아했다고 합니다. 김정일 국방위원자의 요리사를 지낸 일본인 후지모토 겐지의 증언인데, 그러면 본인도 수입담배를 좋아하는 거 아닙니까?
<질문 3> 양담배 수입이 전면 중단되도 필 사람은 필 것 같은데, 밀거래 루트가 또 있지 않겠어요? '수입담배 금지령'이 효과가 있을까요?
<질문 4> 북한에서 시판되는 담배들, <평양> <광명> <방패> 등등이 있다고 하는데 어떤 게 인기가 있고 가격은 어느 정도에 형성돼 있나요?
<질문 4-1> 그런데 북한에서는 수입담배가 부의 상징으로, 계급에 따라서 피우는 담배가 다르다고 하던데요? 정말입니까?
<질문 4-2> 일반 인민들이 피우는 담배는 너무 질이 떨어져서 차마 피울 수 없다고 하던데요?
<질문 5> 지난 2000년에 남북한 합작담배 <한마음> <잎새> 도 시판되지 않았나요? 그러다가 중단됐었는데 이유가 잘 안팔려서 였다고 하던데 맞습니까?
<질문 6> 경기도 김포 애기봉 등탑이 있던 자리에 올해 성탄절에는 성탄 트리가 세워질 것 같습니다. 남북간 등탑 점등 시비가 올해도 이어지겠죠?
<질문 7> 한국 기독교 총연합회가 애기봉에 9m 높이의 성탄 트리를 설치하게 해달라고 군에 요청했는데 말릴 명분이 없었다고 합니다. 높이가 9m 면 북한에서는 잘 보이지도 않는다고 하던데, 효과도 없이 북한에 괜한 시비의 구실만 제공하는 건 아닐까요?
<질문 8> 아무튼 트리가 불을 밝힐 동안 남북간의 신경이 곤두서게 될 텐데, 지난 2012년 당시에 북한이 전통문을 보내 "애기봉에 점등하면 즉각 타격한다"고 위협했죠. 자칫 국지 도발로 번질 위험도 있지 않을까요?
<질문 9> 북한 황병서 군 총정치국장과 김원홍 국가안전보위부장 간 갈등설이 불거졌습니다. 어떤 내용인가요?
<질문 9-1> 이 둘이 물고 뜯는 권력투쟁이 극도에 달하고 있다고 하는데, 황병서 쪽이 이길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도 나옵니다.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10> 북한 2인자였던 장성택이 숙청되고 1년이 됐는데, 아직도 북한에서는 대규모 숙청작업이 계속되고 있다고 합니다. 가능성이 있는 얘긴가요?
<질문 11> 장성택의 부인이자 김정은의 고모인 김경희 사망설이 계속 나오고 있는데요, 그만큼 가능성 높다고 봐야 할까요?
연합뉴스TV 제보:02-398-4409, yjebo@yna.co.kr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