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1번지] 미국 중간선거, 오바마 지원 vs 오바마 심판론
<출연 : 김창준 전 미국 연방하원의원>
미국 정치의 중대한 분수령이 될 중간선거가 코앞으로 다가왔습니다.
현지 여론조사 결과 공화당의 우세가 점쳐지고 있지만, 아직 속단은 이르다는 분석도 제기되고 있는데요.
김창준 전 미국 연방하원의원과 함께 미국 중간선거에 대해 자세한 얘기 나눠봅니다.
<질문 1> '중간 선거'라는 용어는 우리에게 다소 생소한 용어인데요. 간략하게 중간 선거란 어떤 선거인지, 미국 선거 시스템과 우리 선거 시스템의 차이에 대한 설명을 부탁드립니다.
<질문 2> 미국 중간선거의 최대 관전 포인트는 하원에 이어 상원도 야당인 공화당으로 넘어갈 것이냐인데 현재 미국 언론은 공화당의 상원 장악 가능성을 최고 94%까지 내다보는 상황입니다. 이에 대한 견해는?
<질문 3> 이번 선거에서 공화당의 강세요인, 어디에 있을까요?
<질문 4> 오바마 대통령은 특히나 가장 아쉬운 점으로 경제를 꼽을 것 같습니다. 올 3분기 미국 경제성장률이 예상치를 훨씬 웃도는 3.5%에 달하고 거시경제지표가 개선됐음에도 미국 현지에서는 경제에 대한 비판여론이 형성돼있다고요?
<질문 4-1> 오바마 대통령, 중간선거 하루 전날 옐런 연방준비제도 의장과 단독면담을 갖고 금융개혁을 논의 한다 밝혔죠. 선거 전날 이루어진 두 사람의 첫 단독 면담,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요?
<질문 5> 만약 하원에 이어 상원마저 야당인 공화당으로 넘어간다면 지난 2006년 조지 W 부시정부 시절 중간선거에서 야당인 민주당이 상, 하원 의원을 장악했던 여소야대 정국이 펼쳐지는 건데요?
<질문 5-1> 힐러리 클린턴 전 국무장관, 이미 오바마 대통령과 ‘거리두기’ 행보에 나서고 있다는 분석도 있습니다. 힐러리의 차별화 행보가 오바마 대통령의 레임덕을 부추길 거란 지적인데요?
<질문 6> 미국 현지에서는 중간 선거를 앞두고 정치적 양극화에 따른 지나친 네거티브 선거운동이 확산되면서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고요. 실제로 미국 현지의 분위기는 어떠한가요?
<질문 7-1> 정치적 양극화가 극심해진 원인은?
<질문 7-2> 양극화로 인한 후유증은 없을까요?
<질문 8> 한반도 동북아 정책에서는 크게 바뀔 것 없다는 전망이 지배적이지만 선거 후 외교안보 참모들의 대거 교체될 경우에 대해서는 지켜봐야 하지 않을까요? 오늘 말씀 여기까지 듣겠습니다.
연합뉴스TV 제보:02-398-4409, yjebo@yna.co.kr
(끝)
<출연 : 김창준 전 미국 연방하원의원>
미국 정치의 중대한 분수령이 될 중간선거가 코앞으로 다가왔습니다.
현지 여론조사 결과 공화당의 우세가 점쳐지고 있지만, 아직 속단은 이르다는 분석도 제기되고 있는데요.
김창준 전 미국 연방하원의원과 함께 미국 중간선거에 대해 자세한 얘기 나눠봅니다.
<질문 1> '중간 선거'라는 용어는 우리에게 다소 생소한 용어인데요. 간략하게 중간 선거란 어떤 선거인지, 미국 선거 시스템과 우리 선거 시스템의 차이에 대한 설명을 부탁드립니다.
<질문 2> 미국 중간선거의 최대 관전 포인트는 하원에 이어 상원도 야당인 공화당으로 넘어갈 것이냐인데 현재 미국 언론은 공화당의 상원 장악 가능성을 최고 94%까지 내다보는 상황입니다. 이에 대한 견해는?
<질문 3> 이번 선거에서 공화당의 강세요인, 어디에 있을까요?
<질문 4> 오바마 대통령은 특히나 가장 아쉬운 점으로 경제를 꼽을 것 같습니다. 올 3분기 미국 경제성장률이 예상치를 훨씬 웃도는 3.5%에 달하고 거시경제지표가 개선됐음에도 미국 현지에서는 경제에 대한 비판여론이 형성돼있다고요?
<질문 4-1> 오바마 대통령, 중간선거 하루 전날 옐런 연방준비제도 의장과 단독면담을 갖고 금융개혁을 논의 한다 밝혔죠. 선거 전날 이루어진 두 사람의 첫 단독 면담,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요?
<질문 5> 만약 하원에 이어 상원마저 야당인 공화당으로 넘어간다면 지난 2006년 조지 W 부시정부 시절 중간선거에서 야당인 민주당이 상, 하원 의원을 장악했던 여소야대 정국이 펼쳐지는 건데요?
<질문 5-1> 힐러리 클린턴 전 국무장관, 이미 오바마 대통령과 ‘거리두기’ 행보에 나서고 있다는 분석도 있습니다. 힐러리의 차별화 행보가 오바마 대통령의 레임덕을 부추길 거란 지적인데요?
<질문 6> 미국 현지에서는 중간 선거를 앞두고 정치적 양극화에 따른 지나친 네거티브 선거운동이 확산되면서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고요. 실제로 미국 현지의 분위기는 어떠한가요?
<질문 7-1> 정치적 양극화가 극심해진 원인은?
<질문 7-2> 양극화로 인한 후유증은 없을까요?
<질문 8> 한반도 동북아 정책에서는 크게 바뀔 것 없다는 전망이 지배적이지만 선거 후 외교안보 참모들의 대거 교체될 경우에 대해서는 지켜봐야 하지 않을까요? 오늘 말씀 여기까지 듣겠습니다.
연합뉴스TV 제보:02-398-4409, yjebo@yna.co.kr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