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1번지] 애기봉 등탑 43년 만에 철거
<출연 : 자주국방네트워크 신인균 대표>
얼마 전 애기봉 등탑 철거 소식을 들은 박근혜 대통령이 격노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애기봉 등탑 철거에 대한 뒷말이 무성합니다.
신인균 자주국방네트워크 대표와 함께 애기봉 철거 논란과 북한 이슈에 대해 꼼꼼하게 짚어봅니다.
<질문 1> 1971년 박정희 대통령 때 설치된 시설물 애기봉 철탑. 처음에는 종교적 의미를 담아 설치됐지만 나중에는 우리 정부의 대북 심리전의 상징물이 되기도 했죠. 애기봉 철탑의 역사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 부탁드립니다.
<질문 2> 애기봉 철탑 철거 소식이 알려지자 청와대에는 역사적 의미도 있는데 왜 마음대로 없애느냐는 예비역들의 민원이 빗발친 것으로도 알려졌습니다. 애기봉 철탑은 우리 국민들에게도 참 특별한 의미가 있죠?
<질문 3> 박 대통령, 애기봉 등탑 철거소식을 받고 적절치 못한 조치였던 것 같다는 반응을 보였고 한민구 장관 역시 언론보도를 통해 애기봉 등탑 철거를 알았다고 밝혔죠. 애기봉 등탑 철거가 논란이 되는 이유는?
<질문 3-1> 박정희 전 대통령도 김포 애기봉에 애착이 참 많았다고 들었습니다. 실제로 박정희 대통령의 친필 휘호가 비석으로 있어 애기봉 철탑에 대한 박 대통령의 진노 배경으로 뽑히기도 했는데요?
<질문 4> 안전진단 결과 붕괴위험이 있는 시설에 대한 철거였고 규정상 아무 문제가 없었던 부분 아닙니까. 그런데 군 수뇌부는 물론 대통령의 허락까지 구한 뒤 철거를 해야 하는 건지는 다소 의문인데요?
<질문 5> 남북관계 개선 요구가 터져 나오고 대북 심리전 시설 철거를 환영하는 목소리가 나오는 상황에서 오히려 북한의 반발을 더 크게 불러올 수 있는 조치죠, 애기봉 두 배 높이 전광판을 국방부가 검토하는 상황입니다. 견해는?
<질문 5-1> 국방부는 등탑의 철거로 대북 심리전의 상징이 없어진다는 점을 고려해 새로 짓는 전망대에 전광판을 설치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 밝혔지만 김포시는 이에 대해 부정적 입장인데요?
<질문 6> 이번 애기봉 철탑 논란을 두고 정부가 대북정책과 집행 관리에 구멍이 뚫려 있다는 문제의식을 가져야 한다, 현 정부의 대북 정책 기조를 여실히 보여줬다는 비판도 있습니다.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7> 어제 박근혜 대통령도 FA-50 전력화 기념식에 참석했고 북한의 김정은 역시 비행부대를 시찰했습니다. 같은 날 전투기에 올라탄 남북 정상이 화제인데요?
<질문 7-1> 김정은이 장기간의 칩거를 깨고 등장한 후에 군사훈련을 참관한 것은 이번이 세 번째이고 비행부대를 방문한 건 지난 18일에 이어 11일만입니다. 잦은 비행부대 시찰 의미는?
<질문 8> 경기도 양주시에 남침용 땅굴을 발굴했다는 주장이 제기됐습니다. 국방부는 북한이 서울과 경기지역으로 남침 땅굴을 뚫었다는 주장은 사실무근이라며 반박했는데요?
<질문 8-1> 국방부는 북한이 땅굴을 파면 한미 정찰자산에 반드시 포착된다고 강경하게 밝혔지만 여전히 국민들은 불안감을 해소할 수 없는 상황입니다. 만약 땅굴이 실제로 존재한다면 굉장히 큰 문제 아닌가요?
연합뉴스TV 제보:02-398-4409, yjebo@yna.co.kr
(끝)
<출연 : 자주국방네트워크 신인균 대표>
얼마 전 애기봉 등탑 철거 소식을 들은 박근혜 대통령이 격노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애기봉 등탑 철거에 대한 뒷말이 무성합니다.
신인균 자주국방네트워크 대표와 함께 애기봉 철거 논란과 북한 이슈에 대해 꼼꼼하게 짚어봅니다.
<질문 1> 1971년 박정희 대통령 때 설치된 시설물 애기봉 철탑. 처음에는 종교적 의미를 담아 설치됐지만 나중에는 우리 정부의 대북 심리전의 상징물이 되기도 했죠. 애기봉 철탑의 역사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 부탁드립니다.
<질문 2> 애기봉 철탑 철거 소식이 알려지자 청와대에는 역사적 의미도 있는데 왜 마음대로 없애느냐는 예비역들의 민원이 빗발친 것으로도 알려졌습니다. 애기봉 철탑은 우리 국민들에게도 참 특별한 의미가 있죠?
<질문 3> 박 대통령, 애기봉 등탑 철거소식을 받고 적절치 못한 조치였던 것 같다는 반응을 보였고 한민구 장관 역시 언론보도를 통해 애기봉 등탑 철거를 알았다고 밝혔죠. 애기봉 등탑 철거가 논란이 되는 이유는?
<질문 3-1> 박정희 전 대통령도 김포 애기봉에 애착이 참 많았다고 들었습니다. 실제로 박정희 대통령의 친필 휘호가 비석으로 있어 애기봉 철탑에 대한 박 대통령의 진노 배경으로 뽑히기도 했는데요?
<질문 4> 안전진단 결과 붕괴위험이 있는 시설에 대한 철거였고 규정상 아무 문제가 없었던 부분 아닙니까. 그런데 군 수뇌부는 물론 대통령의 허락까지 구한 뒤 철거를 해야 하는 건지는 다소 의문인데요?
<질문 5> 남북관계 개선 요구가 터져 나오고 대북 심리전 시설 철거를 환영하는 목소리가 나오는 상황에서 오히려 북한의 반발을 더 크게 불러올 수 있는 조치죠, 애기봉 두 배 높이 전광판을 국방부가 검토하는 상황입니다. 견해는?
<질문 5-1> 국방부는 등탑의 철거로 대북 심리전의 상징이 없어진다는 점을 고려해 새로 짓는 전망대에 전광판을 설치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 밝혔지만 김포시는 이에 대해 부정적 입장인데요?
<질문 6> 이번 애기봉 철탑 논란을 두고 정부가 대북정책과 집행 관리에 구멍이 뚫려 있다는 문제의식을 가져야 한다, 현 정부의 대북 정책 기조를 여실히 보여줬다는 비판도 있습니다.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7> 어제 박근혜 대통령도 FA-50 전력화 기념식에 참석했고 북한의 김정은 역시 비행부대를 시찰했습니다. 같은 날 전투기에 올라탄 남북 정상이 화제인데요?
<질문 7-1> 김정은이 장기간의 칩거를 깨고 등장한 후에 군사훈련을 참관한 것은 이번이 세 번째이고 비행부대를 방문한 건 지난 18일에 이어 11일만입니다. 잦은 비행부대 시찰 의미는?
<질문 8> 경기도 양주시에 남침용 땅굴을 발굴했다는 주장이 제기됐습니다. 국방부는 북한이 서울과 경기지역으로 남침 땅굴을 뚫었다는 주장은 사실무근이라며 반박했는데요?
<질문 8-1> 국방부는 북한이 땅굴을 파면 한미 정찰자산에 반드시 포착된다고 강경하게 밝혔지만 여전히 국민들은 불안감을 해소할 수 없는 상황입니다. 만약 땅굴이 실제로 존재한다면 굉장히 큰 문제 아닌가요?
연합뉴스TV 제보:02-398-4409, yjebo@yna.co.kr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