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1번지] '아시아 정책통' 리퍼트 주한 미국 대사 부임
<출연 : 위즈덤센터 황태순 수석연구위원>
오늘부터 역대 최연소 주한미국대사가 부임합니다.
오바마 대통령의 최측근으로 알려진 만큼 기대를 모으고 있는데요.
리퍼트 주한미국대사, 그리고 역대 눈길을 끄는 주한미국대사에 대해 황태순 위즈덤센터 수석연구위원과 함께 자세한 얘기 나눠봅니다.
<질문 1> 성 김 주한 미 대사의 임기가 끝나고 마크 리퍼트 신임 대사가 오늘부터 부임하는데 지각 부임이 눈길을 끌고 있죠. 원래는 어제 우리나라에 도착하기로 예정되지 않았나요?
<질문 1-1> 일각에서는 애견 탑승 수속 때문에 늦어졌다는 전언도 나오고 있는데요?
<질문 2> 리퍼트 대사, 오바마 대통령의 '아시아 중시 정책'을 설계한 인물이며 중국을 견제하기 위한 한·미·일 군사 협력의 필요성도 강조한 바도 있었죠. 어떤 인물인지 간단하게 소개를 부탁드립니다.
<질문 3> 앞서 말씀 드린대로 리퍼트 주한미국대사는 한국과 인연을 맺은 미국대사 22명 가운데 가장 나이가 어립니다. 종전 최연소였던 마셜 그린 대사와 비교해도 5살이나 어린데 무게감이 떨어지진 않을까요?
<질문 4> 리퍼트 대사 임명에 있어 눈길을 끄는 대목은 오랜만의 정치적 임명이라는 점이죠. 미국은 외교적 비중이 크고 대통령의 관심이 높은 지역일수록 정치적 임명을 통해 공관장을 선임하지 않았나요?
<질문 5> 그동안 주한 미국대사는 외교관 출신이 대부분이었던 것으로 알고 있는데 외교관 출신이 아니었던 주한 미국대사로는 어떤 인물들이 있었죠?
<질문 5-1> 그 외 역대 주한 미국대사는 누구였으며 어떤 특징이 있었는지 설명을 부탁드립니다.
<질문 6> 리퍼트 대사의 한국적인 면모 역시 대중의 관심을 집중시키고 있는 상황입니다. 존경하는 인물로는 세종대왕을 꼽았고 한식으로는 불고기, 비빔밥, 김치 등을 좋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고요?
<질문 6-1> 부인 로빈 리퍼트는 현재 임신 6개월이라고 하는데요. 향후 남편의 부임지인 우리나라에서 출산할 확률이 높을 것 같은데요?
<질문 7> 리퍼트 대사에 대한 오바마 대통령의 신임이 워낙 두터운 만큼 앞으로 미국의 한반도 정책 및 동북아 전략에 기대가 높은 상황입니다. 한·미 관계 전망은요?
연합뉴스TV 제보:02-398-4409, yjebo@yna.co.kr
(끝)
<출연 : 위즈덤센터 황태순 수석연구위원>
오늘부터 역대 최연소 주한미국대사가 부임합니다.
오바마 대통령의 최측근으로 알려진 만큼 기대를 모으고 있는데요.
리퍼트 주한미국대사, 그리고 역대 눈길을 끄는 주한미국대사에 대해 황태순 위즈덤센터 수석연구위원과 함께 자세한 얘기 나눠봅니다.
<질문 1> 성 김 주한 미 대사의 임기가 끝나고 마크 리퍼트 신임 대사가 오늘부터 부임하는데 지각 부임이 눈길을 끌고 있죠. 원래는 어제 우리나라에 도착하기로 예정되지 않았나요?
<질문 1-1> 일각에서는 애견 탑승 수속 때문에 늦어졌다는 전언도 나오고 있는데요?
<질문 2> 리퍼트 대사, 오바마 대통령의 '아시아 중시 정책'을 설계한 인물이며 중국을 견제하기 위한 한·미·일 군사 협력의 필요성도 강조한 바도 있었죠. 어떤 인물인지 간단하게 소개를 부탁드립니다.
<질문 3> 앞서 말씀 드린대로 리퍼트 주한미국대사는 한국과 인연을 맺은 미국대사 22명 가운데 가장 나이가 어립니다. 종전 최연소였던 마셜 그린 대사와 비교해도 5살이나 어린데 무게감이 떨어지진 않을까요?
<질문 4> 리퍼트 대사 임명에 있어 눈길을 끄는 대목은 오랜만의 정치적 임명이라는 점이죠. 미국은 외교적 비중이 크고 대통령의 관심이 높은 지역일수록 정치적 임명을 통해 공관장을 선임하지 않았나요?
<질문 5> 그동안 주한 미국대사는 외교관 출신이 대부분이었던 것으로 알고 있는데 외교관 출신이 아니었던 주한 미국대사로는 어떤 인물들이 있었죠?
<질문 5-1> 그 외 역대 주한 미국대사는 누구였으며 어떤 특징이 있었는지 설명을 부탁드립니다.
<질문 6> 리퍼트 대사의 한국적인 면모 역시 대중의 관심을 집중시키고 있는 상황입니다. 존경하는 인물로는 세종대왕을 꼽았고 한식으로는 불고기, 비빔밥, 김치 등을 좋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고요?
<질문 6-1> 부인 로빈 리퍼트는 현재 임신 6개월이라고 하는데요. 향후 남편의 부임지인 우리나라에서 출산할 확률이 높을 것 같은데요?
<질문 7> 리퍼트 대사에 대한 오바마 대통령의 신임이 워낙 두터운 만큼 앞으로 미국의 한반도 정책 및 동북아 전략에 기대가 높은 상황입니다. 한·미 관계 전망은요?
연합뉴스TV 제보:02-398-4409, yjebo@yna.co.kr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