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1번지] 새누리당, 김무성 체제…균열 조짐?

<출연 : 정치평론가 황태순·정치평론가 박상병·정치컨설팅 민 윤희웅 센터장>

김태호 최고위원의 사퇴, 김문수 위원장의 개헌 반대 등 최근 새누리당 당내에서 일어나는 여러 가지 일로 김무성 체제가 본격 시험대에 오른 것 아니냐는 시각입니다.

새정치민주연합은 지역위원장 선출 놓고 잠잠했던 계파 간 세력 다툼이 다시 시작될 것으로 보이는데요.

황태순 정치평론가, 박상병 정치평론가, 정치컨설팅 민 윤희웅 센터장 세 분과 함께 정치권 이슈 살펴보겠습니다.

<질문 1> 김태호 최고위원의 사퇴, 김문수 혁신위원장의 개헌 반대 발언 등으로 당내 균열이 시작된 것 아니냐는 시각입니다. 새누리당 지지율, 어떤 흐름을 보이고 있습니까?

<질문 2> 김태호 최고위원이 현재 사퇴 고수냐 철회냐를 놓고 고민 중이라고 하던데요. 김 최고위원의 사퇴, 어떻게 마무리 될 것으로 보십니까?

<질문 2-1> 김태호 최고위원이 철회로 가닥을 잡는다면, 김 최고위원 개인에게 올 타격도 적지 않아 보입니다. 신중치 못한 처신에 대한 비판을 피할 수 없을 것 같은데요?

<질문 3> 김문수 위원장 중심의 보수혁신위 출범이 한 달을 맞았습니다. 출범 한 달의 성과, 어떻게 평가하십니까? 혁신위는 국회의원들에게도 '무노동 무임금 원칙'을 적용하는 방안도 추진키로 했는데요.

<질문 3-1> 혁신위는 총선 공천과 대선경선 규정을 다룰 방침인데요. 새누리당은 이전에도 경선룰을 다룰 때마다 탈당, 분당 등의 설들로 극심한 진통을 겪었기 때문인지 혁신위에서 경선룰을 손대기엔 무리수지 않겠냐는 관측도 있습니다. 어떤 견해십니까

<질문 4> 새정치민주연합, 문희상 비대위원장과 우윤근 원내대표 중심으로 바뀌며 당내 갈등이 어느 정도 정리가 된 것처럼 조용합니다만 겉으로 보이는 게 다가 아니죠? 새정치민주연합의 최근 지지율은 어떤 흐름을 보이고 있습니까?

<질문 5> 새정치민주연합은 지역위원장 선출과 관련해 최근 공모절차를 마치고 본격적인 심사에 돌입했습니다. 그러나 이를 계기로 잠잠했던 계파 간 세력 싸움이 다시 시작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있는데요?

<질문 5-1> 계파갈등이 최고조로 간다면 문제는 심각해질 것 같은데요. 차기 전당대회 전 분당 등으로 또 시달릴 수도 있을 것 같다는 생각도 듭니다. 어떻습니까?

<질문 6> 새정치민주연합의 안철수 전 공동대표, 싱크탱크 격인 '정책 네트워크 내일'의 재정비 작업을 시작한다고 하죠. 어떤 의미로 봐야 할까요? 인사들이 50명 안팎으로 참여할 것으로 알려지고 있던데요?

<질문 7> 재력가 청부살해 혐의로 구속 기소된 김형식 서울시의원의 국민참여재판장에서 공개된 송 씨의 매일기록부에 박원순 서울시장의 이름이 발견돼 이에 대한 진위여부 논란이 거센데요. 박 시장, 현재 차기 대권 주자로 이야기 되고 있습니다. 어떤 영향을 줄 것으로 보십니까?

<질문 7-1> 차기 대권 주자로서 박원순 시장의 지지율은 어떻습니까?

<질문 8> 차기 대권 주자들로 거론되고 인물을 좀 살펴보면, 최근 한 여론조사전문기관의 차기 대선주자 선호도 조사에서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이 압도적 1위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나 정가 안팎에 적잖은 파장을 미치고 있다는 분석입니다. 어떻습니까?

<질문 8-1> 결론부터 이야기 하자면, 과연 반 총장이 출마를 할 것이냐 인데요. 출마, 불출마 중 어디에 무게를 실어 주시겠습니까?

<질문 9> 반 총장이 충청 출신이란 점에서 항간의 충청대망론이 실현되는 것 아니냐, 이렇게 보는 시각도 있는데요. 반 총장 외 안희정 충남지사, 이완구 새누리당 원내대표 등의 활동의 폭이 넓어지고 있죠. 현재 정치권에서 화자가 되고 있는 충청대망론, 어떤 견해십니까?

연합뉴스TV 제보:02-398-4409, yjebo@yna.co.kr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