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1번지] '21세기 아우슈비츠' 北정치범 수용소 실태는
<출연 : 경민대 북한학과 강명도 교수>
북한은 정치범 수용소의 존재 자체를 부정하고 있지만 현재까지 파악된 북한의 정치범 수용소 면적은 서울시의 2배에 이르고 있습니다.
세상에서 가장 슬픈 기록, 북한 정치범 수용소의 실태를 집중 분석해 봅니다.
강명도 경민대 북한학 교수 나오셨습니다.
<질문 1> 교수님, 21세기의 아우슈비츠라고 불리는 북한의 정치범 수용소, 세상에 잘 알려지지 않고 있는데, 일단 상당히 규모도 크고 여러 곳이 있나 봅니다?
<질문 2> 북한 정치범 수용소, 일단 수감되면 석방되는 일이 종종 있습니까?
<질문 3> 그런데 북한이 어제 미국인 억류자인 제프리 파울씨를 석방했거든요, 이거 분명히 무슨 이유가 있었겠죠?
<질문 4> 제프리 파울씨가 머물던 호텔에 성경책을 놓고 떠나서 체포했다고 합니다. 이게 체포당할 만큼 북한에서는 심각한 사안인가요?
<질문 5> 그렇다면 국제적 관심을 많이 받았던 케네스 배는 왜 이번에 석방하지 않았을까요?
<질문 6> 보통 인질 석방을 할 때 석방 협상이라고 해서 석방 조건이 있지 않습니까? 이 부분이 구체적으로 알려지지는 않았는데, 교수님께서는 북한이 어떤 조건을 내걸었을 거라고 보세요?
<질문 7> 지금 미국이 북한 문제에 올인 할 만한 상황이 아니잖아요. 이번에 북한이 조금 다급한 모습을 보인 것 같아요. 이번 석방을 계기로 북미대화가 과연 물꼬를 틀 수 있을지?
<질문 7-1> 지금 우리정부도 미국도 대화채널이 막혀 있는 것도 아닌데, 북한이 외교채널을 정식으로 가동하지 않고 인질을 석방한다든지, 또는 깜짝 도발을 한다든지 뭐 이런 황당한 방법을 쓰는 이유는 뭡니까?
<질문 8> 김정은 제1위원장이 프랑스 통신사인 AFP 평양 지국 개설을 허가했다고 합니다. 취재진이 일주일간 자동차로 북한 현지를 취재한다고 하는데, 상당히 이례적인 일로 보여요. 미국이 잘 안 풀리니 유럽으로 눈을 돌린 걸까요? 그렇다면 왜 프랑스를 선택했을까요?
<질문 9> 유엔이 김정은 제1위원장의 국제 재판 회부를 추진하고 있죠. 북한의 인권문제에 대해 국제사회가 주시하고 있는데요, 김정은이 과연 반 인권행위로 국제재판을 받을 것으로 보십니까?
<질문 10> 또 하나의 인권문제라고 할 수 있는 권력 주변 인물들의 처형, 이번에 또 12명이나 되는 노동당 간부를 숙청했다고 하지 않습니까. 교수님께서는 근거가 있는 얘기로 보십니까?
연합뉴스TV 제보:02-398-4409, yjebo@yna.co.kr
(끝)
<출연 : 경민대 북한학과 강명도 교수>
북한은 정치범 수용소의 존재 자체를 부정하고 있지만 현재까지 파악된 북한의 정치범 수용소 면적은 서울시의 2배에 이르고 있습니다.
세상에서 가장 슬픈 기록, 북한 정치범 수용소의 실태를 집중 분석해 봅니다.
강명도 경민대 북한학 교수 나오셨습니다.
<질문 1> 교수님, 21세기의 아우슈비츠라고 불리는 북한의 정치범 수용소, 세상에 잘 알려지지 않고 있는데, 일단 상당히 규모도 크고 여러 곳이 있나 봅니다?
<질문 2> 북한 정치범 수용소, 일단 수감되면 석방되는 일이 종종 있습니까?
<질문 3> 그런데 북한이 어제 미국인 억류자인 제프리 파울씨를 석방했거든요, 이거 분명히 무슨 이유가 있었겠죠?
<질문 4> 제프리 파울씨가 머물던 호텔에 성경책을 놓고 떠나서 체포했다고 합니다. 이게 체포당할 만큼 북한에서는 심각한 사안인가요?
<질문 5> 그렇다면 국제적 관심을 많이 받았던 케네스 배는 왜 이번에 석방하지 않았을까요?
<질문 6> 보통 인질 석방을 할 때 석방 협상이라고 해서 석방 조건이 있지 않습니까? 이 부분이 구체적으로 알려지지는 않았는데, 교수님께서는 북한이 어떤 조건을 내걸었을 거라고 보세요?
<질문 7> 지금 미국이 북한 문제에 올인 할 만한 상황이 아니잖아요. 이번에 북한이 조금 다급한 모습을 보인 것 같아요. 이번 석방을 계기로 북미대화가 과연 물꼬를 틀 수 있을지?
<질문 7-1> 지금 우리정부도 미국도 대화채널이 막혀 있는 것도 아닌데, 북한이 외교채널을 정식으로 가동하지 않고 인질을 석방한다든지, 또는 깜짝 도발을 한다든지 뭐 이런 황당한 방법을 쓰는 이유는 뭡니까?
<질문 8> 김정은 제1위원장이 프랑스 통신사인 AFP 평양 지국 개설을 허가했다고 합니다. 취재진이 일주일간 자동차로 북한 현지를 취재한다고 하는데, 상당히 이례적인 일로 보여요. 미국이 잘 안 풀리니 유럽으로 눈을 돌린 걸까요? 그렇다면 왜 프랑스를 선택했을까요?
<질문 9> 유엔이 김정은 제1위원장의 국제 재판 회부를 추진하고 있죠. 북한의 인권문제에 대해 국제사회가 주시하고 있는데요, 김정은이 과연 반 인권행위로 국제재판을 받을 것으로 보십니까?
<질문 10> 또 하나의 인권문제라고 할 수 있는 권력 주변 인물들의 처형, 이번에 또 12명이나 되는 노동당 간부를 숙청했다고 하지 않습니까. 교수님께서는 근거가 있는 얘기로 보십니까?
연합뉴스TV 제보:02-398-4409, yjebo@yna.co.kr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