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1번지] 김정은 이복형 김정남 파리서 목격
<출연 : 북한대학원대학교 양무진 교수>
북한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이 오늘로 27일째 모습을 드러내지 않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김정은의 이복형인 김정남이 프랑스 파리에서 목격돼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와 말씀 나눠보겠습니다.
<질문 1> 김정남이 파리에 모습을 드러냈습니다. 김정은이 발목 수술을 받았다, 신변에 무슨 일이 생긴 거 아니냐는 시점에 나타나서 어떤 의도가 있는 게 아니냐는 얘기가 나옵니다, 어떻게 보고 계십니까?
<질문 2> 북한 근황을 묻자 "진짜 모른다"고 하는가 하면 장성택 얘기에는 고개를 푹 숙였다고 합니다. 정말 모른다고 봐야 할까요?
<질문 3> 김정남은 지난해 12월 자신의 후견인 역할을 해온 장성택 전 국방위원회 부위원장이 처형된 후 싱가포르를 비롯한 동남아시아에 주로 거주해 온 것으로 알려졌는데요, 동남아가 아닌 파리에 머물고 있는 이유는 어떻게 볼 수 있을까요?
<질문 4> 김정은 체제 출범 이후 김정남은 북한의 대외 사업에서 상당 부분 손을 떼야 했는데, 이후에 중국이 김정남을 비호한다는 분석도 있어서요. 자금이라든지 신변, 이런 부분에서 중국의 도움을 받고 있다고 보십니까?
<질문 5> 김정은이 거의 한 달 가까이 나타나지 않고 있습니다. 정권에 문제가 있는 게 아니냐는 갖가지 추측들이 늘어가고 있는데, 여기에 대해선 어떻게 보고 계십니까?
<질문 6> 이런 가운데 김정은 위원장이 발목 수술을 받고 재활치료 중이라는 설이 제기됐습니다. 교수님은 어떻게 보세요?
<질문 7> 북한에서 장성택 처형 이후 이른바 2인자의 존재가 사라지고 '군(軍) 황병서-민(民) 최룡해'의 구도가 만들어지고 있다고 하는데, 이건 어떤 의미가 있습니까?
<질문 8> 중국에서는 이미 사망한 조명록 전 북한 군총정치국장이 군사 쿠데타를 일으켜 김 제1위원장을 구금했다는 황당한 설까지 등장했는데, 찌라시성 대북첩보들이 난무하는 이유는 어디에 있을까요?
<질문 8-1> 그만큼 북한 내부 상황이 불안하다고 볼 수 있을까요?
<질문 9> 김정은의 건강을 둘러싼 최근의 정보들은 우리 정부의 대북 정보력에 대한 현주소를 보여주고 있지 않나 싶은데요, 과거 김정일 사망이나 북 핵실험 같은 대북정보에 '깜깜이'였다는 비판을 받아온 게 사실이지 않습니까? 이 부분은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10> 이제 김정은 위원장이 10월 10일 노동당 창건 기념일에 나타날지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는데, 교수님은 어떻게 관측하십니까?
<질문 11> 화제를 바꿔보겠습니다. 북한 리수용 외무상이 러시아 방문을 앞두고 있는데요, 노동신문이 러시아 극동지역의 잠재적 경제적 가치를 부각하는 글을 실었습니다. 배경은 어떻게 볼 수 있을까요?
연합뉴스TV 제보:02-398-4409, yjebo@yna.co.kr
(끝)
<출연 : 북한대학원대학교 양무진 교수>
북한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이 오늘로 27일째 모습을 드러내지 않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김정은의 이복형인 김정남이 프랑스 파리에서 목격돼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와 말씀 나눠보겠습니다.
<질문 1> 김정남이 파리에 모습을 드러냈습니다. 김정은이 발목 수술을 받았다, 신변에 무슨 일이 생긴 거 아니냐는 시점에 나타나서 어떤 의도가 있는 게 아니냐는 얘기가 나옵니다, 어떻게 보고 계십니까?
<질문 2> 북한 근황을 묻자 "진짜 모른다"고 하는가 하면 장성택 얘기에는 고개를 푹 숙였다고 합니다. 정말 모른다고 봐야 할까요?
<질문 3> 김정남은 지난해 12월 자신의 후견인 역할을 해온 장성택 전 국방위원회 부위원장이 처형된 후 싱가포르를 비롯한 동남아시아에 주로 거주해 온 것으로 알려졌는데요, 동남아가 아닌 파리에 머물고 있는 이유는 어떻게 볼 수 있을까요?
<질문 4> 김정은 체제 출범 이후 김정남은 북한의 대외 사업에서 상당 부분 손을 떼야 했는데, 이후에 중국이 김정남을 비호한다는 분석도 있어서요. 자금이라든지 신변, 이런 부분에서 중국의 도움을 받고 있다고 보십니까?
<질문 5> 김정은이 거의 한 달 가까이 나타나지 않고 있습니다. 정권에 문제가 있는 게 아니냐는 갖가지 추측들이 늘어가고 있는데, 여기에 대해선 어떻게 보고 계십니까?
<질문 6> 이런 가운데 김정은 위원장이 발목 수술을 받고 재활치료 중이라는 설이 제기됐습니다. 교수님은 어떻게 보세요?
<질문 7> 북한에서 장성택 처형 이후 이른바 2인자의 존재가 사라지고 '군(軍) 황병서-민(民) 최룡해'의 구도가 만들어지고 있다고 하는데, 이건 어떤 의미가 있습니까?
<질문 8> 중국에서는 이미 사망한 조명록 전 북한 군총정치국장이 군사 쿠데타를 일으켜 김 제1위원장을 구금했다는 황당한 설까지 등장했는데, 찌라시성 대북첩보들이 난무하는 이유는 어디에 있을까요?
<질문 8-1> 그만큼 북한 내부 상황이 불안하다고 볼 수 있을까요?
<질문 9> 김정은의 건강을 둘러싼 최근의 정보들은 우리 정부의 대북 정보력에 대한 현주소를 보여주고 있지 않나 싶은데요, 과거 김정일 사망이나 북 핵실험 같은 대북정보에 '깜깜이'였다는 비판을 받아온 게 사실이지 않습니까? 이 부분은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10> 이제 김정은 위원장이 10월 10일 노동당 창건 기념일에 나타날지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는데, 교수님은 어떻게 관측하십니까?
<질문 11> 화제를 바꿔보겠습니다. 북한 리수용 외무상이 러시아 방문을 앞두고 있는데요, 노동신문이 러시아 극동지역의 잠재적 경제적 가치를 부각하는 글을 실었습니다. 배경은 어떻게 볼 수 있을까요?
연합뉴스TV 제보:02-398-4409, yjebo@yna.co.kr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