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1번지] 새누리 보수혁신위, 당 체질 개선할까
<출연 : 새누리당 조해진 의원>
새누리당이 당 혁신에 시동을 걸었습니다.
김문수 전 경기지사가 위원장을 맡은 보수혁신위가 출범하고, 여기에 소장 개혁파 의원들이 대거 참여하면서 이번에는 참신한 대책들이 나올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당내 초·재선 개혁 모임인 '아침소리'를 이끌면서 이번 보수혁신위에 참여하고 계신 조해진 의원 모시고 말씀 나눠보겠습니다.
<질문 1> 김문수 의원을 위원장으로 하는 보수혁신위, '보수'를 혁신하겠다? 어떤 의미로 봐야합니까?
<질문 1-1> 이번에 참여한 분들이 친이계로 분류되는 의원들이 많아서 일각에서는 친이계가 친박을 압도한 모습이다, 이런 평가도 나오고 있는데 어떻습니까?
<질문 2> 외부인사 영입도 예정하고 계신데요. 외부인사에는 혹시 진보인사 라든지 예를 들어 당을 떠난 이상돈 교수 같은 인물도 경계가 없는 것입니까?
<질문 3> 혁신위만 만든다고 혁신이 저절로 이뤄지는 건 아니기 때문에요. 당 내 혹은 범위를 확장시킨다면 우리 정치권을 어떻게 쇄신하고 혁신시킬 것인가, 이 부분이 가장 중요한데, 앞으로 활동 방향은 어떻게 계획하고 계십니까?
<질문 4> 김무성 기자간담회서 "정치권이 안은 문제점의 90%가 잘못된 공천권 때문이다" 이런 말도 했는데 정당 개혁의 핵심이라면 아무래도 공천개혁 아니겠습니까. 국민이 납득할 수 있고 지역별 계파별 갈등문제를 해결하려면 어떤 논의가 필요하다고 보십니까?
<질문 5> 개헌에 대한 논의도 이뤄집니까. 당 내 이재오 의원 같은 분들은 분권형 개헌에 대해 꾸준히 의견을 개진하고 계시고, 세월호 사태 이후 권력구조 개편에 대한 문제가 계속 제기되고 있기 때문에 이번에 분권형 개헌도 논의에 포함되는지 궁금한데요?
<질문 6> 선거구제 개편에 대한 구상은 어떻습니까. 혁신위에 참여한 김용태 의원이 지역구도를 타파하는 선거구제의 일부 개편은 필요하다는 입장을 밝히기도 했는데, 조 의원의 견해는 어떠신지요?
<질문 7> 국회의원 특권 내려놓기, 이런 얘기도 나오고 있다고 들었는데 구체적으로 어떤 논의를 하게 됩니까?
<질문 7-1> 방탄국회에 대해서 국민들의 비판이 거세다는 점은 잘 알고 계시리라 생각합니다만, 특히 최근 송광호 의원 체포동의안 부결은 상당히 아쉬움이 컸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7-2> 특권과 관련해 다시 공천권으로 돌아가서요. 이 공천권이야말로 현역 국회의원의 기득권을 보장하는 대표적인 특권인데 전략공천 없이 국민에게 돌려주는 상향식 공천이 사실상 가능하겠습니까?
<질문 8> 당 내 개혁성향의 초·재선의원 모임인 '아침소리'를 이끌고 계십니다만 '아침소리'에서 의원총사퇴, 조기총선 같은 요구를 하시는 이유를 들을 수 있을까요?
<질문 8-1> 법적으로도 현실적으로도 국회해산은 힘들지 않겠습니까?
<질문 9> 국회 정상화를 위해 선진화법을 개정해야 한다는 얘기가 당에서 나오고 있는데, 어떤 입장이십니까?
<질문 10> 제1 야당인 새정치민주연합이 내홍을 겪고 수습국면에 들어갔습니다. 당장 세월호법이 해결되어야 국회정상화까지 물꼬가 터질 텐데요. 세월호법은 어떻게 해결하는 게 좋다고 보시는지요?
<질문 11> 민생경제 법안 처리와 관련해서 여당에서는 단독처리를 시사하고 있는데, 야당의 의견 수렴 과정 없이 단독처리 한다면 아무래도 후폭풍이 있지 않을까요.
(끝)
<출연 : 새누리당 조해진 의원>
새누리당이 당 혁신에 시동을 걸었습니다.
김문수 전 경기지사가 위원장을 맡은 보수혁신위가 출범하고, 여기에 소장 개혁파 의원들이 대거 참여하면서 이번에는 참신한 대책들이 나올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당내 초·재선 개혁 모임인 '아침소리'를 이끌면서 이번 보수혁신위에 참여하고 계신 조해진 의원 모시고 말씀 나눠보겠습니다.
<질문 1> 김문수 의원을 위원장으로 하는 보수혁신위, '보수'를 혁신하겠다? 어떤 의미로 봐야합니까?
<질문 1-1> 이번에 참여한 분들이 친이계로 분류되는 의원들이 많아서 일각에서는 친이계가 친박을 압도한 모습이다, 이런 평가도 나오고 있는데 어떻습니까?
<질문 2> 외부인사 영입도 예정하고 계신데요. 외부인사에는 혹시 진보인사 라든지 예를 들어 당을 떠난 이상돈 교수 같은 인물도 경계가 없는 것입니까?
<질문 3> 혁신위만 만든다고 혁신이 저절로 이뤄지는 건 아니기 때문에요. 당 내 혹은 범위를 확장시킨다면 우리 정치권을 어떻게 쇄신하고 혁신시킬 것인가, 이 부분이 가장 중요한데, 앞으로 활동 방향은 어떻게 계획하고 계십니까?
<질문 4> 김무성 기자간담회서 "정치권이 안은 문제점의 90%가 잘못된 공천권 때문이다" 이런 말도 했는데 정당 개혁의 핵심이라면 아무래도 공천개혁 아니겠습니까. 국민이 납득할 수 있고 지역별 계파별 갈등문제를 해결하려면 어떤 논의가 필요하다고 보십니까?
<질문 5> 개헌에 대한 논의도 이뤄집니까. 당 내 이재오 의원 같은 분들은 분권형 개헌에 대해 꾸준히 의견을 개진하고 계시고, 세월호 사태 이후 권력구조 개편에 대한 문제가 계속 제기되고 있기 때문에 이번에 분권형 개헌도 논의에 포함되는지 궁금한데요?
<질문 6> 선거구제 개편에 대한 구상은 어떻습니까. 혁신위에 참여한 김용태 의원이 지역구도를 타파하는 선거구제의 일부 개편은 필요하다는 입장을 밝히기도 했는데, 조 의원의 견해는 어떠신지요?
<질문 7> 국회의원 특권 내려놓기, 이런 얘기도 나오고 있다고 들었는데 구체적으로 어떤 논의를 하게 됩니까?
<질문 7-1> 방탄국회에 대해서 국민들의 비판이 거세다는 점은 잘 알고 계시리라 생각합니다만, 특히 최근 송광호 의원 체포동의안 부결은 상당히 아쉬움이 컸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7-2> 특권과 관련해 다시 공천권으로 돌아가서요. 이 공천권이야말로 현역 국회의원의 기득권을 보장하는 대표적인 특권인데 전략공천 없이 국민에게 돌려주는 상향식 공천이 사실상 가능하겠습니까?
<질문 8> 당 내 개혁성향의 초·재선의원 모임인 '아침소리'를 이끌고 계십니다만 '아침소리'에서 의원총사퇴, 조기총선 같은 요구를 하시는 이유를 들을 수 있을까요?
<질문 8-1> 법적으로도 현실적으로도 국회해산은 힘들지 않겠습니까?
<질문 9> 국회 정상화를 위해 선진화법을 개정해야 한다는 얘기가 당에서 나오고 있는데, 어떤 입장이십니까?
<질문 10> 제1 야당인 새정치민주연합이 내홍을 겪고 수습국면에 들어갔습니다. 당장 세월호법이 해결되어야 국회정상화까지 물꼬가 터질 텐데요. 세월호법은 어떻게 해결하는 게 좋다고 보시는지요?
<질문 11> 민생경제 법안 처리와 관련해서 여당에서는 단독처리를 시사하고 있는데, 야당의 의견 수렴 과정 없이 단독처리 한다면 아무래도 후폭풍이 있지 않을까요.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