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1번지] 이완구-세월호 유족 2번째 만남…해법 나올까?
<출연 : 박찬종 변호사>
절묘한 한 수가 판세를 뒤집기도 하고, 승부를 결정짓기도 합니다.
과연 정치 고수는 최근의 요동치고 있는 정국을 어떻게 보고 있을까요?
정치 고수의 훈수를 들어봅니다.
오늘 고수는 박찬종 변호사입니다.
<질문 1> 오늘 새누리당 이완구 원내대표가 세월호 유가족과 두 번째 만납니다. 이렇게 유족과의 만남에 나서는 이완구 원내대표에 대해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2> 이완구 원내대표가 유족들을 만나긴 하지만 입장을 바꿀 생각은 없어 보이는데요. 이런 만남이 의미가 있을까요? 여당이 양보할 부분은 없다고 보십니까?
<질문 3> 일각에서는 유족들이 여당이 납득할 만한 중재안을 내놓을 것이란 전망도 하고 있던데요. 어떻습니까? 유족들의 입장에 대해서는 어떻게 보십니까? 유족들이 양보할 부분도 있다고 보십니까?
<질문 4> 유민아빠 김영오씨가 사생활 논란에 휩싸이면서 고소에까지 나섰습니다. 야당에서는 이런 논란의 배후로 여당을 지목하고 있는데요. 김영오씨를 둘러싼 여러 논란들에 대해서는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5> 김영오씨는 여당이 태도를 바꾸면 단식을 그만둘 생각이 있다고 밝힌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야당에서는 박 대통령이 김영오씨를 만나야 한다며 목소리를 높이고 있는데요. 하지만 청와대에선 반응이 없습니다. 박 대통령이 유족을 만나야 한다고 보십니까? 하지만, 대통령이 이렇게 사안마다 나서는 것도 바람직하다고 볼 순 없지 않을까요?
<질문 6> 야당은 1년 만에 다시 장외로 나섰습니다. 강경 대여투쟁을 선언했는데요. 이는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7> 하지만, 당내에서도 반발의 목소리는 있습니다. 국회를 지켜야 한다는 것인데요. 이런 온건파의 목소리는 강경파의 목소리에 눌러 힘을 얻지 못하고 있는데요. 고수의 훈수를 한 말씀 해주시죠.
<질문 8> 이렇게 야당이 강경노선으로 돌아선 데에는 문재인 의원의 동조 단식이 작용한 측면이 있습니다. 문재인 의원의 단식에 대해 변호사님 시각은 어떠십니까?
<질문 9> 박영선 원내대표 겸 비대위원장도 강경노선으로 선회했습니다. 투사로 돌아왔는데요. 이렇게 강경노선으로 선회한 데에는 박 원내대표의 거취를 둘러싼 논란이 작용한 것 같습니다. 중진 의원들을 중심으로 비대위원장은 내려놔야 한다는 의견이 퍼졌었고, 강경파를 중심으로 책임론도 제기됐었는데요. 일단은 봉합됐지만, 박 원내대표의 거취를 둘러싼 논란의 불씨는 여전히 남아 있습니다. 박 원내대표가 어떻게 해야 한다고 보십니까? 힘들어도 원내대표와 비대위원장직을 끝까지 끌고 가야 할까요? 아니면 어느 하나를 내려놓거나 둘 다를 내려놔야 한다고 보십니까?
(끝)
<출연 : 박찬종 변호사>
절묘한 한 수가 판세를 뒤집기도 하고, 승부를 결정짓기도 합니다.
과연 정치 고수는 최근의 요동치고 있는 정국을 어떻게 보고 있을까요?
정치 고수의 훈수를 들어봅니다.
오늘 고수는 박찬종 변호사입니다.
<질문 1> 오늘 새누리당 이완구 원내대표가 세월호 유가족과 두 번째 만납니다. 이렇게 유족과의 만남에 나서는 이완구 원내대표에 대해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2> 이완구 원내대표가 유족들을 만나긴 하지만 입장을 바꿀 생각은 없어 보이는데요. 이런 만남이 의미가 있을까요? 여당이 양보할 부분은 없다고 보십니까?
<질문 3> 일각에서는 유족들이 여당이 납득할 만한 중재안을 내놓을 것이란 전망도 하고 있던데요. 어떻습니까? 유족들의 입장에 대해서는 어떻게 보십니까? 유족들이 양보할 부분도 있다고 보십니까?
<질문 4> 유민아빠 김영오씨가 사생활 논란에 휩싸이면서 고소에까지 나섰습니다. 야당에서는 이런 논란의 배후로 여당을 지목하고 있는데요. 김영오씨를 둘러싼 여러 논란들에 대해서는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5> 김영오씨는 여당이 태도를 바꾸면 단식을 그만둘 생각이 있다고 밝힌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야당에서는 박 대통령이 김영오씨를 만나야 한다며 목소리를 높이고 있는데요. 하지만 청와대에선 반응이 없습니다. 박 대통령이 유족을 만나야 한다고 보십니까? 하지만, 대통령이 이렇게 사안마다 나서는 것도 바람직하다고 볼 순 없지 않을까요?
<질문 6> 야당은 1년 만에 다시 장외로 나섰습니다. 강경 대여투쟁을 선언했는데요. 이는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7> 하지만, 당내에서도 반발의 목소리는 있습니다. 국회를 지켜야 한다는 것인데요. 이런 온건파의 목소리는 강경파의 목소리에 눌러 힘을 얻지 못하고 있는데요. 고수의 훈수를 한 말씀 해주시죠.
<질문 8> 이렇게 야당이 강경노선으로 돌아선 데에는 문재인 의원의 동조 단식이 작용한 측면이 있습니다. 문재인 의원의 단식에 대해 변호사님 시각은 어떠십니까?
<질문 9> 박영선 원내대표 겸 비대위원장도 강경노선으로 선회했습니다. 투사로 돌아왔는데요. 이렇게 강경노선으로 선회한 데에는 박 원내대표의 거취를 둘러싼 논란이 작용한 것 같습니다. 중진 의원들을 중심으로 비대위원장은 내려놔야 한다는 의견이 퍼졌었고, 강경파를 중심으로 책임론도 제기됐었는데요. 일단은 봉합됐지만, 박 원내대표의 거취를 둘러싼 논란의 불씨는 여전히 남아 있습니다. 박 원내대표가 어떻게 해야 한다고 보십니까? 힘들어도 원내대표와 비대위원장직을 끝까지 끌고 가야 할까요? 아니면 어느 하나를 내려놓거나 둘 다를 내려놔야 한다고 보십니까?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