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1번지] 정치인의 단식투쟁사
<출연 : 최영일 시사평론가>
먹기를 중단하는 단식은 종종 역사의 흐름을 바꾸는 엄청난 결과를 가져오기도 합니다.
일례로 인도의 간디가 벌인 단식투쟁은 독립의 불씨를 키웠는데요.
그렇다면 우리 정치사에서 단식은 어떤 결과를 가져왔고 어떤 의미를 지닌 것일까요?
오늘 최영일의 줌인에서는 정치인들의 단식에 대해 들여다보겠습니다.
최영일 시사평론가 자리했습니다.
<질문 1> 세월호 특별법 제정을 촉구하며 시작된 세월호 유가족 김영오 씨의 단식이 40일 넘게 계속되고 있는데요. 단식이라는 것이 물도 안 먹는 것은 아니죠? 어떤 것이 단식입니까?
<질문 2> SNS를 통해 1일 단식에 참여하는 시민들도 있지만 비판하는 의견도 많은데요. 투쟁에 있어 단식이 갖는 의미는 무엇입니까?
<질문 3>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의원이 단식에 합류하면서 일각에서는 정치권이 갈등을 키우고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습니다. 야당 내에서도 비판적인 의원들이 있는데요. 문재인 의원의 단식 참여가 논란이 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질문 4> 그렇다면 단식이 저항이나 항의 수단이 된 것은 언제부터인가요? 언제 한국 정치사에도 단식 투쟁이 등장하게 된 것인가요?
<질문 5> 거물급 정치인들의 단식이 갖는 파급력은 그 자체로도 상당한데요. 단식이 정국의 흐름을 변화시킨 경우가 있나요? 김영삼 전 대통령의 23일간의 단식은 민주화 운동의 기폭제가 되기도 했었죠?
<질문 6> 고 김대중 전 대통령도 단식투쟁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고 하던데요. 김 전 대통령이 단식을 벌인 이유는 무엇이었나요?
<질문 7> 전두환 전 대통령도 20일 이상 단식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중간에 단식을 중단했다고 하던데요. 어떤 일이 있었던 것인가요?
<질문 8> 그렇다면, 우리 정치사에서 가장 긴 시간 단식을 한 정치인은 누구인가요?
<질문 9> 단식으로 인한 해프닝도 있었죠? 노무현 전 대통령 측근비리에 대한 특검 도입을 요구하며 단식 농성을 했던 2003년 당시 한나라당 최병렬 전 대표가 단식 도중 곰국을 먹었다는 보도가 나오기도 했었죠?
<질문 10> 외국의 정치인들도 단식을 저항이나 투쟁 수단으로 선택하는 경우가 많나요? 미국에선 정치인들이 단식을 하는 경우가 거의 없다면서요?
<질문 11> 강기갑 전 통합진보당 대표도 자주 단식투쟁으로 저항을 나타냈었습니다. 혹시 과거 정치인의 단식 투쟁과 지금의 단식 투쟁에 차이점이 있나요?
<질문 12> 단식 외에도 저항을 나타내기 위해 종종 삭발이나 삼보일배를 하는 경우도 있는데요. 이런 정치인의 단식이 잦아지다 보면 국민의 호응이나 지지가 반감될 수 있다는 지적도 있었습니다. 정치인의 단식이 가져오는 득실이라면 무엇이 있을까요?
<질문 13> 정치인은 아니지만 유민아빠 김영오씨의 단식도 주목되고 있는데요. 병원에 이송되고도 음식 섭취는 거부하고 있다고 합니다. 그런 와중에 김영오씨의 사생활이 논란이 되고 있고, 국정원의 사찰 의혹도 제기되고 있죠? 이 부분은 어떻게 보십니까?
(끝)
<출연 : 최영일 시사평론가>
먹기를 중단하는 단식은 종종 역사의 흐름을 바꾸는 엄청난 결과를 가져오기도 합니다.
일례로 인도의 간디가 벌인 단식투쟁은 독립의 불씨를 키웠는데요.
그렇다면 우리 정치사에서 단식은 어떤 결과를 가져왔고 어떤 의미를 지닌 것일까요?
오늘 최영일의 줌인에서는 정치인들의 단식에 대해 들여다보겠습니다.
최영일 시사평론가 자리했습니다.
<질문 1> 세월호 특별법 제정을 촉구하며 시작된 세월호 유가족 김영오 씨의 단식이 40일 넘게 계속되고 있는데요. 단식이라는 것이 물도 안 먹는 것은 아니죠? 어떤 것이 단식입니까?
<질문 2> SNS를 통해 1일 단식에 참여하는 시민들도 있지만 비판하는 의견도 많은데요. 투쟁에 있어 단식이 갖는 의미는 무엇입니까?
<질문 3>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의원이 단식에 합류하면서 일각에서는 정치권이 갈등을 키우고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습니다. 야당 내에서도 비판적인 의원들이 있는데요. 문재인 의원의 단식 참여가 논란이 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질문 4> 그렇다면 단식이 저항이나 항의 수단이 된 것은 언제부터인가요? 언제 한국 정치사에도 단식 투쟁이 등장하게 된 것인가요?
<질문 5> 거물급 정치인들의 단식이 갖는 파급력은 그 자체로도 상당한데요. 단식이 정국의 흐름을 변화시킨 경우가 있나요? 김영삼 전 대통령의 23일간의 단식은 민주화 운동의 기폭제가 되기도 했었죠?
<질문 6> 고 김대중 전 대통령도 단식투쟁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고 하던데요. 김 전 대통령이 단식을 벌인 이유는 무엇이었나요?
<질문 7> 전두환 전 대통령도 20일 이상 단식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중간에 단식을 중단했다고 하던데요. 어떤 일이 있었던 것인가요?
<질문 8> 그렇다면, 우리 정치사에서 가장 긴 시간 단식을 한 정치인은 누구인가요?
<질문 9> 단식으로 인한 해프닝도 있었죠? 노무현 전 대통령 측근비리에 대한 특검 도입을 요구하며 단식 농성을 했던 2003년 당시 한나라당 최병렬 전 대표가 단식 도중 곰국을 먹었다는 보도가 나오기도 했었죠?
<질문 10> 외국의 정치인들도 단식을 저항이나 투쟁 수단으로 선택하는 경우가 많나요? 미국에선 정치인들이 단식을 하는 경우가 거의 없다면서요?
<질문 11> 강기갑 전 통합진보당 대표도 자주 단식투쟁으로 저항을 나타냈었습니다. 혹시 과거 정치인의 단식 투쟁과 지금의 단식 투쟁에 차이점이 있나요?
<질문 12> 단식 외에도 저항을 나타내기 위해 종종 삭발이나 삼보일배를 하는 경우도 있는데요. 이런 정치인의 단식이 잦아지다 보면 국민의 호응이나 지지가 반감될 수 있다는 지적도 있었습니다. 정치인의 단식이 가져오는 득실이라면 무엇이 있을까요?
<질문 13> 정치인은 아니지만 유민아빠 김영오씨의 단식도 주목되고 있는데요. 병원에 이송되고도 음식 섭취는 거부하고 있다고 합니다. 그런 와중에 김영오씨의 사생활이 논란이 되고 있고, 국정원의 사찰 의혹도 제기되고 있죠? 이 부분은 어떻게 보십니까?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