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1번지] 본회의 처리 불발된 세월호법…누구 책임인가?
<출연 : 박찬종 변호사>
절묘한 한 수가 판세를 뒤집기도 하고, 승부를 결정짓기도 합니다.
과연 정치 고수는 최근의 요동치고 있는 정국을 어떻게 보고 있을까요?
정치 고수의 훈수를 들어봅니다.
오늘 고수는 박찬종 변호사입니다.
<질문 1> 세월호특별법이 다시 표류하고 있습니다. 사실 오늘 본회의 처리 예정이었는데요. 새정치민주연합이 재협상을 결의하면서 오늘 처리가 사실상 불가능할 것 같은데요. 야당의 재협상 결의에 대해 어떻게 보십니까? 유족들도 여야 원내대표가 합의한 것에 대해서는 강력하게 반대했었는데요. 유족들이 반대한다면 재고해야 하지 않을까요?
<질문 2> 새정치민주연합 박영선 원내대표이자 공감혁신위원장의 리더십이 흔들리고 있습니다. 사실상 박 원내대표의 첫 작품이 당내 반발에 의해 허물어진 건데요. 이렇게 되면 박영선 위원장이 당을 구할 지도력을 발휘할 수 있을까요? 고수의 훈수를 한 말씀해주시죠.
<질문 3> 새정치민주연합이 재보선 이전으로 회귀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도 있습니다. 외부세력과 당내 강경파에 휘둘리는 것 아니냐는 것인데요. 이에 대해서는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4> 새누리당은 어떻게 해야 할까요? 새누리당에서는 재협상은 불가하다는 입장입니다. 지금 쟁점이 되고 있는 건 진상조사위의 수사와 기소권 문제, 그리고 특검 야당 추천 몫 늘리기, 마지막으로 청문회 증인채택 문제인데요. 이 세 가지 쟁점에 대해 변호사님 생각은 어떠십니까? 새누리당이 양보할 부분은 없을까요?
<질문 5> 새누리당 박지원 의원은 꼬이고 있는 세월호법을 김무성 대표가 풀어줘야 한다며 해결사로 나서야 한다는 의견을 피력했는데요. 변호사님 생각은 어떠십니까?
<질문 6> 세월호특별법뿐 아니라 청문회도 문제입니다. 논란이 되고 있는 증인채택의 핵심 문제는 바로 김기춘 실장과 정호성 비서관 등 청와대 비서실의 출석 문제인데요. 야당은 세월호 참사 당일 박 대통령의 7시간 행적을 밝히기 위해서라도 이들의 출석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입장인데요. 박 대통령의 이 7시간과 관련해서는 산케이 신문에서 자극적인 내용을 보도하면서 논란이 됐습니다. 검찰에서는 산케이 신문 서울 지국장의 소환을 통보했는데요. 명예훼손으로 처벌할 수 있을까요?
<질문 7> 내일까지 국회가 열리지 않으면 자동방탄국회가 될 수도 있습니다. 새누리당 조현룡 의원의 체포동의안 처리에 차질을 빚을 것 같은데요. 어제는 신계륜 새정치연합 의원이 검찰 조사를 받았습니다. 이번 주 야당의 중진 의원 두 명 역시 검찰 조사를 받을 텐데요. 이렇게 줄줄이 검찰 조사를 받고 있는 여야 의원들에 대해 어떻게 보십니까? 그리고 이들에 대해 국회는 어떻게 할까요? 국회의 자정의지가 시험대에 올랐다는 지적도 있는데요.
(끝)
<출연 : 박찬종 변호사>
절묘한 한 수가 판세를 뒤집기도 하고, 승부를 결정짓기도 합니다.
과연 정치 고수는 최근의 요동치고 있는 정국을 어떻게 보고 있을까요?
정치 고수의 훈수를 들어봅니다.
오늘 고수는 박찬종 변호사입니다.
<질문 1> 세월호특별법이 다시 표류하고 있습니다. 사실 오늘 본회의 처리 예정이었는데요. 새정치민주연합이 재협상을 결의하면서 오늘 처리가 사실상 불가능할 것 같은데요. 야당의 재협상 결의에 대해 어떻게 보십니까? 유족들도 여야 원내대표가 합의한 것에 대해서는 강력하게 반대했었는데요. 유족들이 반대한다면 재고해야 하지 않을까요?
<질문 2> 새정치민주연합 박영선 원내대표이자 공감혁신위원장의 리더십이 흔들리고 있습니다. 사실상 박 원내대표의 첫 작품이 당내 반발에 의해 허물어진 건데요. 이렇게 되면 박영선 위원장이 당을 구할 지도력을 발휘할 수 있을까요? 고수의 훈수를 한 말씀해주시죠.
<질문 3> 새정치민주연합이 재보선 이전으로 회귀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도 있습니다. 외부세력과 당내 강경파에 휘둘리는 것 아니냐는 것인데요. 이에 대해서는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4> 새누리당은 어떻게 해야 할까요? 새누리당에서는 재협상은 불가하다는 입장입니다. 지금 쟁점이 되고 있는 건 진상조사위의 수사와 기소권 문제, 그리고 특검 야당 추천 몫 늘리기, 마지막으로 청문회 증인채택 문제인데요. 이 세 가지 쟁점에 대해 변호사님 생각은 어떠십니까? 새누리당이 양보할 부분은 없을까요?
<질문 5> 새누리당 박지원 의원은 꼬이고 있는 세월호법을 김무성 대표가 풀어줘야 한다며 해결사로 나서야 한다는 의견을 피력했는데요. 변호사님 생각은 어떠십니까?
<질문 6> 세월호특별법뿐 아니라 청문회도 문제입니다. 논란이 되고 있는 증인채택의 핵심 문제는 바로 김기춘 실장과 정호성 비서관 등 청와대 비서실의 출석 문제인데요. 야당은 세월호 참사 당일 박 대통령의 7시간 행적을 밝히기 위해서라도 이들의 출석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입장인데요. 박 대통령의 이 7시간과 관련해서는 산케이 신문에서 자극적인 내용을 보도하면서 논란이 됐습니다. 검찰에서는 산케이 신문 서울 지국장의 소환을 통보했는데요. 명예훼손으로 처벌할 수 있을까요?
<질문 7> 내일까지 국회가 열리지 않으면 자동방탄국회가 될 수도 있습니다. 새누리당 조현룡 의원의 체포동의안 처리에 차질을 빚을 것 같은데요. 어제는 신계륜 새정치연합 의원이 검찰 조사를 받았습니다. 이번 주 야당의 중진 의원 두 명 역시 검찰 조사를 받을 텐데요. 이렇게 줄줄이 검찰 조사를 받고 있는 여야 의원들에 대해 어떻게 보십니까? 그리고 이들에 대해 국회는 어떻게 할까요? 국회의 자정의지가 시험대에 올랐다는 지적도 있는데요.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