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1번지] 도로에 구멍이? 연이어 발생하는 싱크홀…왜?
<출연 : 서울시립대 토목공학과 이수곤 교수>
두 달 동안 잠실 일대에만 생긴 싱크홀이 5개나 됩니다. 매립 이틀 만에 또 침하되기도 했는데요.
도대체 왜 멀쩡하던 도로에 구멍이 뚫리는 것인지 전문가의 진단을 들어보겠습니다.
서울시립대 토목공학과 이수곤 교수 자리했습니다.
<질문 1> 교수님 먼저 싱크홀에 대해 설명해주시죠. 싱크홀이란 것이 정확히 무엇입니까? 지반 침하 현상을 말하는 건가요?
<질문 2> 잠실 일대 특히 석촌동을 중심으로 싱크홀이 최근 연이어 생기고 있는데요. 과거에도 이런 싱크홀이 생긴 적이 있나요?
<질문 2-1> 과거에 생긴 싱크홀의 원인은 주로 무엇이었습니까?
<질문 3> 해외에도 이런 사례가 있었습니까?
<질문 4> 그렇다면, 이번 석촌동에서 생긴 싱크홀의 원인은 무엇이라고 보십니까? 많은 전문가들이 지하수를 원인으로 꼽던데요.
<질문 5> 그런데 어제 발생한 싱크홀은 메워버린 지 이틀 만에 다시 침하가 일어난 것인데요. 교수님은 현장에 가보기도 하셨다면서요? 어떤 상황이던가요?
<질문 5-1> 다시 싱크홀이 생겼다면 메운 흙은 다 어디로 간 것인가요? 160톤 분량의 흙이 동원됐다고 하던데요.
<질문 6> 그렇다면, 싱크홀을 왜 그렇게 서둘러 메웠을까요? 아직 싱크홀의 정확한 원인도 밝혀지지 않았는데요.
<질문 7> 교수님은 이 문제를 우면산 사태와 다를 바 없다고 하셨는데요. 이것은 어떤 의미인가요?
<질문 8> 싱크홀이 발생한 석촌동 일대는 대형 공사가 많습니다. 제2 롯데월드 공사도 있고, 지하철 9호선 공사도 있고, 이런 공사들이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도 있을까요?
<질문 9> 교수님은 90년대에 이미 지반 재해도를 만드신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때부터 이런 싱크홀 현상을 예감하셨던 것인가요?
<질문 10> 만약, 이 싱크홀 현상을 그대로 간과한다면 어떤 일이 생길 수 있나요? 최악의 경우엔 지반이 모두 붕괴될 수도 있습니까? 그렇게 되면 아파트나 빌라 등의 대형 붕괴 사고가 생길 수도 있을 것 같은데요.
<질문 11) 국토부는 이제 정밀조사에 나선다고 하는데요. 어떤 조사와 대책이 필요할까요?
(끝)
<출연 : 서울시립대 토목공학과 이수곤 교수>
두 달 동안 잠실 일대에만 생긴 싱크홀이 5개나 됩니다. 매립 이틀 만에 또 침하되기도 했는데요.
도대체 왜 멀쩡하던 도로에 구멍이 뚫리는 것인지 전문가의 진단을 들어보겠습니다.
서울시립대 토목공학과 이수곤 교수 자리했습니다.
<질문 1> 교수님 먼저 싱크홀에 대해 설명해주시죠. 싱크홀이란 것이 정확히 무엇입니까? 지반 침하 현상을 말하는 건가요?
<질문 2> 잠실 일대 특히 석촌동을 중심으로 싱크홀이 최근 연이어 생기고 있는데요. 과거에도 이런 싱크홀이 생긴 적이 있나요?
<질문 2-1> 과거에 생긴 싱크홀의 원인은 주로 무엇이었습니까?
<질문 3> 해외에도 이런 사례가 있었습니까?
<질문 4> 그렇다면, 이번 석촌동에서 생긴 싱크홀의 원인은 무엇이라고 보십니까? 많은 전문가들이 지하수를 원인으로 꼽던데요.
<질문 5> 그런데 어제 발생한 싱크홀은 메워버린 지 이틀 만에 다시 침하가 일어난 것인데요. 교수님은 현장에 가보기도 하셨다면서요? 어떤 상황이던가요?
<질문 5-1> 다시 싱크홀이 생겼다면 메운 흙은 다 어디로 간 것인가요? 160톤 분량의 흙이 동원됐다고 하던데요.
<질문 6> 그렇다면, 싱크홀을 왜 그렇게 서둘러 메웠을까요? 아직 싱크홀의 정확한 원인도 밝혀지지 않았는데요.
<질문 7> 교수님은 이 문제를 우면산 사태와 다를 바 없다고 하셨는데요. 이것은 어떤 의미인가요?
<질문 8> 싱크홀이 발생한 석촌동 일대는 대형 공사가 많습니다. 제2 롯데월드 공사도 있고, 지하철 9호선 공사도 있고, 이런 공사들이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도 있을까요?
<질문 9> 교수님은 90년대에 이미 지반 재해도를 만드신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때부터 이런 싱크홀 현상을 예감하셨던 것인가요?
<질문 10> 만약, 이 싱크홀 현상을 그대로 간과한다면 어떤 일이 생길 수 있나요? 최악의 경우엔 지반이 모두 붕괴될 수도 있습니까? 그렇게 되면 아파트나 빌라 등의 대형 붕괴 사고가 생길 수도 있을 것 같은데요.
<질문 11) 국토부는 이제 정밀조사에 나선다고 하는데요. 어떤 조사와 대책이 필요할까요?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