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1번지] 북한, '윤일병 사건' 비난…北군대 내 폭력행위 없나?
<출연 : 경민대 북한학 전공 강명도 교수·세계북한연구센터 안찬일 소장>
북한까지 윤일병 사망 사건을 비난하고 나섰습니다.
인권유린의 만행이라며 대남 비방의 강도를 높이고 있는데요.
인권을 이야기하는 북한이 참 낯섭니다.
북한 군대 내 실상은 어떤지 알아보고 에볼라 바이러스에 대해 촉각을 곤두세우는 이유에 대해서도 살펴보겠습니다.
북한 강성산 전 총리의 사위인 강명도 경민대 북한학 전공 교수, 북한 인민군 부소대장 출신의 안찬일 세계북한연구센터 소장 자리했습니다.
<질문 1> 북한이 윤일병 사망 사건을 비난하고 나섰습니다. 대남 비방의 좋은 건수라고 본 것인가요?
<질문 2> 북한은 '군대판 악마'와 같이 남한 언론의 내용을 인용하고 있는데요. 이는 어떻게 봐야 할까요? 남한 내에서도 이렇게 비판의 목소리가 들끓고 있다는 걸 보여주기 위해 일부러 이렇게 하는 것인가요?
<질문 3> 그렇다면, 북한 군대 내 실태는 어떻습니까? 부대 내 폭력이 심각하다는 이야기는 계속 흘러나왔었는데요.
<질문 4> 북한의 군대 제도는 어떻게 돼 있습니까? 우리처럼 의무제죠? 복무기간은 어떻게 됩니까? 북한에는 10대의 어린 병사들도 많다고 하던데요. 북한에도 군대가 면제되는 사유가 있습니까?
<질문 5> 이번 윤일병 사망사건에서는 정말 상상을 초월하는 가혹행위들이 드러나면서 사회에 충격을 줬는데요. 북한 군대 내에서는 주로 어떤 가혹행위들이 행해지고 있나요?
<질문 6> 북한 군대 내에도 왕따 같은 현상이 있습니까? 북한 군대에서 폭력을 비롯한 가혹행위가 자행되는 이유는 주로 무엇입니까?
<질문 7> 윤일병 사망사건에선 가혹행위도 문제지만 군의 축소, 은폐, 보고 누락 의혹도 문제가 되고 있는데요. 북한에선 어떻습니까? 이렇게 군대 내 폭력이 상관들에게 문책 사유가 되나요? 아니면 오히려 기강 확립을 이유로 조장하고 부추기는 측면이 있습니까?
<질문 8> 군대 내 폭력으로 사망하는 경우도 있나요? 이렇게 사망한 병사들은 어떻게 처리되나요?
<질문 9> 특히 북한은 한민구 장관의 실명을 거론하며 윤일병 사건을 비난하고 있는데요. 이는 어떻게 봐야 할까요?
<질문 10> 북한이 또한 에볼라 바이러스에 대해서도 관심을 표하고 있습니다. 노동신문에 이에 대한 기사를 실었다고 하는데요. 북한이 에볼라 바이러스에 관심을 표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아프리카 국가들과 친선관계를 유지해와서인가요? 북한에는 아프리카 인사들의 왕래가 많습니까?
<질문 11> 혹시 북한이 에볼라 바이러스로 화학무기를 만들려는 심산은 아닐까요? 어떻게 보십니까?
(끝)
<출연 : 경민대 북한학 전공 강명도 교수·세계북한연구센터 안찬일 소장>
북한까지 윤일병 사망 사건을 비난하고 나섰습니다.
인권유린의 만행이라며 대남 비방의 강도를 높이고 있는데요.
인권을 이야기하는 북한이 참 낯섭니다.
북한 군대 내 실상은 어떤지 알아보고 에볼라 바이러스에 대해 촉각을 곤두세우는 이유에 대해서도 살펴보겠습니다.
북한 강성산 전 총리의 사위인 강명도 경민대 북한학 전공 교수, 북한 인민군 부소대장 출신의 안찬일 세계북한연구센터 소장 자리했습니다.
<질문 1> 북한이 윤일병 사망 사건을 비난하고 나섰습니다. 대남 비방의 좋은 건수라고 본 것인가요?
<질문 2> 북한은 '군대판 악마'와 같이 남한 언론의 내용을 인용하고 있는데요. 이는 어떻게 봐야 할까요? 남한 내에서도 이렇게 비판의 목소리가 들끓고 있다는 걸 보여주기 위해 일부러 이렇게 하는 것인가요?
<질문 3> 그렇다면, 북한 군대 내 실태는 어떻습니까? 부대 내 폭력이 심각하다는 이야기는 계속 흘러나왔었는데요.
<질문 4> 북한의 군대 제도는 어떻게 돼 있습니까? 우리처럼 의무제죠? 복무기간은 어떻게 됩니까? 북한에는 10대의 어린 병사들도 많다고 하던데요. 북한에도 군대가 면제되는 사유가 있습니까?
<질문 5> 이번 윤일병 사망사건에서는 정말 상상을 초월하는 가혹행위들이 드러나면서 사회에 충격을 줬는데요. 북한 군대 내에서는 주로 어떤 가혹행위들이 행해지고 있나요?
<질문 6> 북한 군대 내에도 왕따 같은 현상이 있습니까? 북한 군대에서 폭력을 비롯한 가혹행위가 자행되는 이유는 주로 무엇입니까?
<질문 7> 윤일병 사망사건에선 가혹행위도 문제지만 군의 축소, 은폐, 보고 누락 의혹도 문제가 되고 있는데요. 북한에선 어떻습니까? 이렇게 군대 내 폭력이 상관들에게 문책 사유가 되나요? 아니면 오히려 기강 확립을 이유로 조장하고 부추기는 측면이 있습니까?
<질문 8> 군대 내 폭력으로 사망하는 경우도 있나요? 이렇게 사망한 병사들은 어떻게 처리되나요?
<질문 9> 특히 북한은 한민구 장관의 실명을 거론하며 윤일병 사건을 비난하고 있는데요. 이는 어떻게 봐야 할까요?
<질문 10> 북한이 또한 에볼라 바이러스에 대해서도 관심을 표하고 있습니다. 노동신문에 이에 대한 기사를 실었다고 하는데요. 북한이 에볼라 바이러스에 관심을 표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아프리카 국가들과 친선관계를 유지해와서인가요? 북한에는 아프리카 인사들의 왕래가 많습니까?
<질문 11> 혹시 북한이 에볼라 바이러스로 화학무기를 만들려는 심산은 아닐까요? 어떻게 보십니까?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