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1번지] 에볼라 바이러스는 죽음의 바이러스?
<전화연결 : 한림대강남성심병원 감염내과 이재갑 교수>
에볼라 바이러스에 대한 공포가 확산되고 있는데요.
우리나라도 예외가 아닙니다.
얼마나 위험한 질환인지 전문가 연결해 알아보겠습니다.
한림대강남성심병원 감염내과 이재갑 교수 연결돼있습니다.
<질문 1> 에볼라 바이러스는 어떤 바이러스입니까? 알기 쉽게 좀 설명해주시죠.
<질문 2> 최초로 바이러스 존재가 발견된 건 1970년대로 꽤 오래됐는데요. 왜 이번에 이렇게 창궐하는 건가요? 특별한 이유가 있습니까?
<질문 3> 증상은 어떻게 됩니까? 출혈열로도 불리는데요. 피가 나나요?
<질문 4> 잠복기는 어느 정도나 됩니까? 그리고 치사율은 정확히 얼마나 되나요?
<질문 5> 감염 경로는 어떻게 되죠?
<질문 6> 전문가들은 바이러스의 전파력이 약해 전 세계적으로 대유행 할 가능성은 극히 낮다고 하던데요. 교수님 생각은 어떠십니까? 곧 백신이 개발될까요?
(끝)
<전화연결 : 한림대강남성심병원 감염내과 이재갑 교수>
에볼라 바이러스에 대한 공포가 확산되고 있는데요.
우리나라도 예외가 아닙니다.
얼마나 위험한 질환인지 전문가 연결해 알아보겠습니다.
한림대강남성심병원 감염내과 이재갑 교수 연결돼있습니다.
<질문 1> 에볼라 바이러스는 어떤 바이러스입니까? 알기 쉽게 좀 설명해주시죠.
<질문 2> 최초로 바이러스 존재가 발견된 건 1970년대로 꽤 오래됐는데요. 왜 이번에 이렇게 창궐하는 건가요? 특별한 이유가 있습니까?
<질문 3> 증상은 어떻게 됩니까? 출혈열로도 불리는데요. 피가 나나요?
<질문 4> 잠복기는 어느 정도나 됩니까? 그리고 치사율은 정확히 얼마나 되나요?
<질문 5> 감염 경로는 어떻게 되죠?
<질문 6> 전문가들은 바이러스의 전파력이 약해 전 세계적으로 대유행 할 가능성은 극히 낮다고 하던데요. 교수님 생각은 어떠십니까? 곧 백신이 개발될까요?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