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1번지] '최악의 여객기 피격 사건' 어떻게 된 일?
<출연 : 시사평론가 최영일>
실종에 이은 피격, 넉 달 사이에 537명의 희생자.
말레이시아항공기의 잔혹사입니다.
오늘 최영일의 줌인에서는 연이은 대형 참사로 풍전등화에 놓인 말레이시아 항공기와 함께 지금까지 격추로 희생된 민항기에 대해서도 살펴보겠습니다.
최영일 시사평론가 자리했습니다.
<질문 1> 우크라이나 동부를 지나던 말레이시아항공기가 피격돼 승객 298명 전원이 숨지는 대형 참사가 발생했는데요. 먼저 이번 사건에 대해 간단히 정리해주시죠.
<질문 2> 미국과 우크라이나는 이번 참사를 우크라이나 반군의 소행으로 보고 있는데요. 반군의 소행으로 보는 결정적인 증거들이 있나요? 우크라이나 정보기관에서 계속해서 결정적인 증거들을 제시하고 있죠?
<질문 3> 불과 4개월 전에는 인도양을 지나던 말레이시아항공기가 실종되는 일도 있었습니다. 승객과 승무원을 포함해 239명이 타고 있었는데요. 어디로 실종됐는지 그 잔해조차 지금도 발견되지 않고 있죠?
<질문 4> 잇따라 발생한 두 건의 사고로 가족을 잃은 호주 노부부의 안타까운 소식도 전해지고 있는데요. 대체 어떤 사연인가요? 아들부부와 의붓손녀 부부를 최근 두 번의 말레이기 사고로 모두 잃었다면서요? 말레이기와의 악연인가요?
<질문 5> 말레이항공 여객기의 잔혹사는 여기서 끝이 아닙니다. 37년 전에는 공중에서 납치되는 일이 있었다고 하던데요. 어떤 사건인가요? 진상규명은 됐나요?
<질문 6> 이번 참사에서 무엇보다 전 세계가 분노하고 있는 것은 민간 항공기를 격추했다는 것인데요. 민간 항공기가 미사일 공격 등의 격추로 피해를 입은 최초의 사례가 우리나라라면서요?
<질문 7> 그 다음 민항기 격추 피해 역시 한국에서 발생했죠? 당시 어떤 일이 있었던 것인가요? 왜 그런 대형 참사가 발생한 것인가요?
<질문 8> 당시 사건으로 인해 국제 민간 항공 협정이 개정됐다고 하던데요. 영공을 침범해도 민간 항공기는 격추하지 못하도록 개정됐다면서요?
<질문 9> 하지만, 이 협정 이후에도 민항기가 격추되는 일이 계속 발생했죠? 어떤 일이 있었습니까?
<질문 10> 이번 사고 노선도 사실 교전 위험이 높은 지역인데요. 업계에선 교전지역이라도 10km 상공은 안전하다는 믿음이 있었다면서요? 이번 말레이기도 10km 상공을 날고 있었다고 하던데요. 하지만, 이번 말레이기를 격추한 미사일은 사정거리가 20km이상이라고 합니다. 이렇게 되면 새로운 비행금지구역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지 않을까요?
<질문 11> 이미 심각한 재정난을 겪고 있는 말레이시아항공사가 이번 피격 사건으로 인해 도산 가능성까지 제기되고 있습니다. 반군의 미사일로 피격을 당했어도 말레이항공사가 피해자 보상을 해야 하는 것인가요? 실제 항공기 사고를 겪고 문을 닫은 항공사도 있습니까?
<질문 12> 말레이시아 항공기 피격 사건의 책임공방이 커지고 있습니다. 우크라이나 반군이 국제조사단에 시신과 블랙박스를 넘기기로 결정하면서 항공기 추락에 관련된 실마리가 풀릴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는데요. 블랙박스를 통해 여객기가 추락한 원인이 명확히 밝혀질 수 있을까요? 반군은 블랙박스를 온전히 국제조사단에 넘길까요? 어떻게 전망하십니까?
(끝)
<출연 : 시사평론가 최영일>
실종에 이은 피격, 넉 달 사이에 537명의 희생자.
말레이시아항공기의 잔혹사입니다.
오늘 최영일의 줌인에서는 연이은 대형 참사로 풍전등화에 놓인 말레이시아 항공기와 함께 지금까지 격추로 희생된 민항기에 대해서도 살펴보겠습니다.
최영일 시사평론가 자리했습니다.
<질문 1> 우크라이나 동부를 지나던 말레이시아항공기가 피격돼 승객 298명 전원이 숨지는 대형 참사가 발생했는데요. 먼저 이번 사건에 대해 간단히 정리해주시죠.
<질문 2> 미국과 우크라이나는 이번 참사를 우크라이나 반군의 소행으로 보고 있는데요. 반군의 소행으로 보는 결정적인 증거들이 있나요? 우크라이나 정보기관에서 계속해서 결정적인 증거들을 제시하고 있죠?
<질문 3> 불과 4개월 전에는 인도양을 지나던 말레이시아항공기가 실종되는 일도 있었습니다. 승객과 승무원을 포함해 239명이 타고 있었는데요. 어디로 실종됐는지 그 잔해조차 지금도 발견되지 않고 있죠?
<질문 4> 잇따라 발생한 두 건의 사고로 가족을 잃은 호주 노부부의 안타까운 소식도 전해지고 있는데요. 대체 어떤 사연인가요? 아들부부와 의붓손녀 부부를 최근 두 번의 말레이기 사고로 모두 잃었다면서요? 말레이기와의 악연인가요?
<질문 5> 말레이항공 여객기의 잔혹사는 여기서 끝이 아닙니다. 37년 전에는 공중에서 납치되는 일이 있었다고 하던데요. 어떤 사건인가요? 진상규명은 됐나요?
<질문 6> 이번 참사에서 무엇보다 전 세계가 분노하고 있는 것은 민간 항공기를 격추했다는 것인데요. 민간 항공기가 미사일 공격 등의 격추로 피해를 입은 최초의 사례가 우리나라라면서요?
<질문 7> 그 다음 민항기 격추 피해 역시 한국에서 발생했죠? 당시 어떤 일이 있었던 것인가요? 왜 그런 대형 참사가 발생한 것인가요?
<질문 8> 당시 사건으로 인해 국제 민간 항공 협정이 개정됐다고 하던데요. 영공을 침범해도 민간 항공기는 격추하지 못하도록 개정됐다면서요?
<질문 9> 하지만, 이 협정 이후에도 민항기가 격추되는 일이 계속 발생했죠? 어떤 일이 있었습니까?
<질문 10> 이번 사고 노선도 사실 교전 위험이 높은 지역인데요. 업계에선 교전지역이라도 10km 상공은 안전하다는 믿음이 있었다면서요? 이번 말레이기도 10km 상공을 날고 있었다고 하던데요. 하지만, 이번 말레이기를 격추한 미사일은 사정거리가 20km이상이라고 합니다. 이렇게 되면 새로운 비행금지구역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지 않을까요?
<질문 11> 이미 심각한 재정난을 겪고 있는 말레이시아항공사가 이번 피격 사건으로 인해 도산 가능성까지 제기되고 있습니다. 반군의 미사일로 피격을 당했어도 말레이항공사가 피해자 보상을 해야 하는 것인가요? 실제 항공기 사고를 겪고 문을 닫은 항공사도 있습니까?
<질문 12> 말레이시아 항공기 피격 사건의 책임공방이 커지고 있습니다. 우크라이나 반군이 국제조사단에 시신과 블랙박스를 넘기기로 결정하면서 항공기 추락에 관련된 실마리가 풀릴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는데요. 블랙박스를 통해 여객기가 추락한 원인이 명확히 밝혀질 수 있을까요? 반군은 블랙박스를 온전히 국제조사단에 넘길까요? 어떻게 전망하십니까?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