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1번지] '김명수?정성근' 깊어지는 박 대통령 고민…결론은?

<출연 : 용인대 최창렬 교수·정치평론가 황태순·민정치컨설팅 여론분석센터장 윤희웅>

내일이면 새누리당 차기 사령탑이 선출됩니다.

그를 위한 선거인단 투표가 오늘 진행되고 있는데요.

또한, 인사청문회 보고서 채택이 불발된 후보자에 대한 박 대통령의 고민은 깊어지고 있습니다.

태풍은 지나갔지만 폭풍전야인 듯한 정치권을 살펴봅니다.

용인대 최창렬 교수, 황태순 정치평론가, 민정치컨설팅 윤희웅 여론분석센터장 자리했습니다.

<질문 1> 박 대통령의 고민이 깊은 것 같습니다. 김명수, 정성근, 정종섭 후보자에 대한 입장이 아직 나오지 않고 있는데요. 아마도 선택지는 세 가지 중의 하나일 것 같습니다. 일부 포기냐, 모두 포기냐, 모두 임명이냐 인데요. 세 가지 선택지에서 박심은 어떤 결론을 내릴까요? 박 대통령도 분명 가장 파장이 적을 선택지를 고를 것 같은데요.

<질문 2> 박 대통령의 지지율이 소폭 상승했죠? 시진핑 방한 효과라고 봐야 할까요? 이렇게 소폭 상승한 지지율이 이번 인사 고민에는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질문 3> 내일이면 새누리당 차기 당대표가 선출됩니다. 어제부터는 여론조사가 실시되고 있고, 오늘은 선거인단 투표가 이뤄지고 있는데요. 당권레이스 내내 양강구도를 형성해온 서청원 의원과 김무성 의원 모두 승리를 장담하고 있죠? 판세를 어떻게 분석하십니까?

<질문 4> 두 분은 어느 쪽의 손을 들어주시겠습니까? 누가 당 대표가 되느냐에 따라 새누리당내 역학구도도 달라질 것 같은데요. 후유증을 우려하는 시각도 많습니다. 내일 전당대회 이후 새누리당 내 파장을 어떻게 전망하십니까?

<질문 5> 내일 전당대회에서는 다섯 명의 지도부를 선출하는데요. 양강구도를 형성하고 있는 서청원 의원, 김무성 의원과 여성 최고위원 몫의 김을동 의원을 제외하면 남은 자리는 단 두석입니다. 이 두 석을 두고 남은 후보들이 경쟁을 해야 하는데요. 현재 판세로는 누가 유력하다고 보십니까?

<질문 6> 이제 7·30재보선 이야기를 해보겠습니다. 초반 쟁점으로 떠오르고 있는 것은 아무래도 새정치민주연합에서 광주광산을에 공천한 권은희 후보 공천 논란이죠? 여당인 새누리당에서 이를 집중 공격하고 있는데요. 아무래도 이 부분을 새누리당에서는 재보선 선거 기간 내내 공격 포인트로 삼을 생각인 것 같습니다. 그 외 선거에 영향을 미칠 주요 변수로는 무엇이 있을까요? 내일 새누리당 전당대회 결과도 변수로 작용할까요?

<질문 7> 주요 격전지의 판세를 좀 분석해주시죠. 먼저 동작을은 새누리당 나경원 후보가 압도적 우세를 보이고 있죠?

<질문 8> 이렇게 되면 동작을 판세의 주요 변수는 야권 단일화가 될 것 같은데요. 두 분의 전망은 어떠십니까? 기동민 후보와 노회찬 후보가 단일화를 할까요? 일각에서는 동작을 야권연대가 수원정에 출마한 천호선 후보에게 달렸다는 분석도 내놓던데요. 이건 또 무슨 이야기인가요?

<질문 9> 수원벨트의 판세는 어떻습니까? 새누리당에서는 임태희 후보가 이끌고 있고, 새정치민주연합에서는 손학규 후보가 이끌고 있는데요. 아무래도 수원벨트는 후보 개인의 힘보다는 당대당의 싸움이 될까요?

<질문 10> 이번 재보선은 여야의 과반 전쟁이 될 것이란 전망이 많습니다. 새누리당은 과연 과반 의석을 회복할 수 있을까요? 여야가 각각 승리라는 평가를 받기 위해 얻어야 할 성적표의 마지노선은 어디까지입니까?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