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1번지] 북한, 아시안게임 참가 관련 15일 실무회담 제의
<출연 : 서울대 국제대학원 초빙교수 전옥현>
북한이 오늘 회담을 제의했습니다.
인천 아시안게임 참가와 관련해 오는 15일 판문점에서 남북 체육 실무회담을 열자는 것인데요.
어제 새벽에는 미사일을 발사하고 오늘은 회담을 제의하는 북한의 속내 살펴보겠습니다.
전 국정원 제1차장을 지낸 전옥현 서울대 국제대학원 초빙교수와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질문 1> 북한이 오늘 실무회담을 제의했습니다. 인천 아시안게임 참가와 관련해서 남북 실무회담을 갖자는 것인데요. 북한이 논의하기를 원하는 주제는 무엇일까요?
<질문 2> 실무회담을 제의하는 통지문에서 북한은 큰 규모의 응원단을 보내기로 한 점을 강조했는데요. 어느 정도 규모의 응원단을 보낼까요? 혹시 북한이 응원단 규모를 가지고 체류비 지원을 포함한 대북지원을 요구하지 않을까요?
<질문 3> 북한이 어제는 미사일 발사했었습니다. 오늘은 회담을 제의했고요. 이런 북한을 어떻게 봐야 할까요?
<질문 4> 우리나라에선 회담을 수용할까요? 어떻게 전망하십니까? 이 남북 체육 실무회담을 통해 경색된 남북관계의 물꼬가 트일까요?
<질문 5> 북한의 어제 미사일 발사는 어떻게 보십니까? 어제 미사일 발사는 올해 들어 북한이 발사한 13번째 발사체인데요. 북한의 발사체 발사가 이렇게 빈번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질문 5-1> 발사체 발사는 빈번한 반면, 핵실험은 조용합니다. 이미 핵탄두 소형화에 성공해 그걸 실어 나를 미사일 개발에 집중하는 것은 아닐까요?
<질문 6> 북한의 미사일 발사에 대해 외교통상부 차관보 출신의 새누리당 심윤조 의원은 북한 정세가 우리가 아는 것보다 훨씬 불안정할 수 있다면서 김정은 제1위원장이 지도력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하던데요. 교수님 생각은 어떠십니까?
<질문 7> 북한이 김정은 제1위원장 암살을 소재로 한 미국 코미디영화와 관련해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에게 항의서한까지 보냈다고 하는데요. 북한이 이렇게 신경질적인 반응을 보이는 것은 어떻게 봐야 할까요? 만약 이 영화사가 개봉을 강행한다면 북한은 예고한 대로 무자비한 대응조치를 실제로 취할까요?
<질문 8> 오는 21일에는 한미일 합동 해상훈련이 예정돼 있습니다. 여기에는 키리졸브에 불참했던 미국 항공모함인 조지워싱턴호까지 참여하는데요. 북한은 당연히 반발하겠죠?
<질문 9> 북한이 반발의 뜻으로 무력시위에 나설까요? 발사체 발사보다 더 강한 카드인 핵실험 카드를 꺼내들진 않을까요?
<질문 10> 한편, 이 훈련은 아베 정부가 지난 1일 집단자위권 행사를 공식화한 이후 처음으로 실시되는 한미일간 군사훈련이죠? 중국이 반발하진 않을까요?
(끝)
<출연 : 서울대 국제대학원 초빙교수 전옥현>
북한이 오늘 회담을 제의했습니다.
인천 아시안게임 참가와 관련해 오는 15일 판문점에서 남북 체육 실무회담을 열자는 것인데요.
어제 새벽에는 미사일을 발사하고 오늘은 회담을 제의하는 북한의 속내 살펴보겠습니다.
전 국정원 제1차장을 지낸 전옥현 서울대 국제대학원 초빙교수와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질문 1> 북한이 오늘 실무회담을 제의했습니다. 인천 아시안게임 참가와 관련해서 남북 실무회담을 갖자는 것인데요. 북한이 논의하기를 원하는 주제는 무엇일까요?
<질문 2> 실무회담을 제의하는 통지문에서 북한은 큰 규모의 응원단을 보내기로 한 점을 강조했는데요. 어느 정도 규모의 응원단을 보낼까요? 혹시 북한이 응원단 규모를 가지고 체류비 지원을 포함한 대북지원을 요구하지 않을까요?
<질문 3> 북한이 어제는 미사일 발사했었습니다. 오늘은 회담을 제의했고요. 이런 북한을 어떻게 봐야 할까요?
<질문 4> 우리나라에선 회담을 수용할까요? 어떻게 전망하십니까? 이 남북 체육 실무회담을 통해 경색된 남북관계의 물꼬가 트일까요?
<질문 5> 북한의 어제 미사일 발사는 어떻게 보십니까? 어제 미사일 발사는 올해 들어 북한이 발사한 13번째 발사체인데요. 북한의 발사체 발사가 이렇게 빈번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질문 5-1> 발사체 발사는 빈번한 반면, 핵실험은 조용합니다. 이미 핵탄두 소형화에 성공해 그걸 실어 나를 미사일 개발에 집중하는 것은 아닐까요?
<질문 6> 북한의 미사일 발사에 대해 외교통상부 차관보 출신의 새누리당 심윤조 의원은 북한 정세가 우리가 아는 것보다 훨씬 불안정할 수 있다면서 김정은 제1위원장이 지도력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하던데요. 교수님 생각은 어떠십니까?
<질문 7> 북한이 김정은 제1위원장 암살을 소재로 한 미국 코미디영화와 관련해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에게 항의서한까지 보냈다고 하는데요. 북한이 이렇게 신경질적인 반응을 보이는 것은 어떻게 봐야 할까요? 만약 이 영화사가 개봉을 강행한다면 북한은 예고한 대로 무자비한 대응조치를 실제로 취할까요?
<질문 8> 오는 21일에는 한미일 합동 해상훈련이 예정돼 있습니다. 여기에는 키리졸브에 불참했던 미국 항공모함인 조지워싱턴호까지 참여하는데요. 북한은 당연히 반발하겠죠?
<질문 9> 북한이 반발의 뜻으로 무력시위에 나설까요? 발사체 발사보다 더 강한 카드인 핵실험 카드를 꺼내들진 않을까요?
<질문 10> 한편, 이 훈련은 아베 정부가 지난 1일 집단자위권 행사를 공식화한 이후 처음으로 실시되는 한미일간 군사훈련이죠? 중국이 반발하진 않을까요?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