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1번지] 박근혜 정부 들어 3번째 총리 후보자 낙마…후폭풍은?
<출연 : 용인대 최창렬 교수, 홍익대 정군기 교수>
결국, 총리 지명 14일 만에 문창극 후보자가 자진사퇴 기자회견장에 섰습니다.
이로써 박근혜 정부 들어 세 번째 총리 후보자 낙마인데요.
그 후폭풍을 짚어보겠습니다.
용인대 최창렬 교수, 홍익대 정군기 교수 자리했습니다.
<질문 1> 총리 지명 14일 만의 자진 사퇴입니다. 논란이 시작되면서 사과할 게 없다고 했던 문 후보자가 결국 사퇴 기자회견장까지 왔는데요. 오늘의 자진사퇴에 대해 어떻게 평가하십니까? 늦었지만 그나마 다행이라고 보십니까? 아니면 그래도 인사청문회까지는 가봤어야 한다고 보십니까?
<질문 2> 과연 무엇이 문 후보자로 하여금 자진사퇴를 결심하게 했을까요? 보수 인사들이 성명서를 내는 등 인사청문회까지 가봐야 한다는 여론이 힘을 얻기 시작하는 분위기였는데요. 청와대의 설득이나 압박이 있었던 것은 아닐까요?
<질문 2-1> 어제는 문 후보자의 조부가 독립유공자라는 사실이 공개됐는데요. 이것도 명예 회복의 일환으로 사퇴의 수순이었다고 보십니까?
<질문 3> 안대희 전 대법관에 이은 연쇄 낙마에 이번 정부 들어 세 번째 총리 후보자 낙마입니다. 책임론이 비등할 것 같은데요. 김기춘 대통령 비서실장을 넘어 박 대통령에게 직접 사과를 요구하는 목소리도 나올 것 같습니다. 어떻게 보십니까? 박 대통령의 사과나 입장 표명이 필요하다고 보십니까?
<질문 4> 김기춘 실장에 대해서는 박 대통령이 어떤 결정을 내릴까요? 야당의 공세가 거셀 텐데요.
<질문 5> 또 총리 인선에 들어갈 텐데요. 이렇게 되면 박 대통령에게 트라우마가 생길 것 같습니다. 수첩인사를 해도 수첩 외 인사를 해도 논란은 계속되고 있는데요. 이번에는 어떤 총리를 지명할까요? 정치인 총리가 나올까요? 이번에도 깜짝 인선이 이뤄질까요?
<질문 6> 청와대의 인사검증시스템에 대한 근본적인 재고가 필요하지는 않을까요?
<질문 7> 원내 구성이 완료되면서 장관 후보자들에 대한 인사청문회도 곧 열릴 것 같은데요. 야당에선 이병기 국정원장 후보자와 김명수 교육부총리 후보자가 낙마해야 한다는 입장입니다. 이 부분은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8> 문 후보자 지명 이후 논란이 일면서 박 대통령의 지지율도 새누리당의 지지율도 하락했습니다. 박 대통령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가 처음으로 역전을 하기도 했는데요. 이번 문 후보자의 낙마는 박 대통령의 지지율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논란을 끝냈다는 점에서 지지율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도 있을까요?
<질문 9> 과연, 세 번째의 총리 후보자 낙마가 7.30 재보선에는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여당으로서는 비상 상황이라고 할 수도 있을 것 같은데요. 이 낙마 충격을 새로운 총리 인선으로 상쇄하려 여당이 청와대에 목소리를 크게 내지 않을까요? 어떻게 보십니까?
(끝)
<출연 : 용인대 최창렬 교수, 홍익대 정군기 교수>
결국, 총리 지명 14일 만에 문창극 후보자가 자진사퇴 기자회견장에 섰습니다.
이로써 박근혜 정부 들어 세 번째 총리 후보자 낙마인데요.
그 후폭풍을 짚어보겠습니다.
용인대 최창렬 교수, 홍익대 정군기 교수 자리했습니다.
<질문 1> 총리 지명 14일 만의 자진 사퇴입니다. 논란이 시작되면서 사과할 게 없다고 했던 문 후보자가 결국 사퇴 기자회견장까지 왔는데요. 오늘의 자진사퇴에 대해 어떻게 평가하십니까? 늦었지만 그나마 다행이라고 보십니까? 아니면 그래도 인사청문회까지는 가봤어야 한다고 보십니까?
<질문 2> 과연 무엇이 문 후보자로 하여금 자진사퇴를 결심하게 했을까요? 보수 인사들이 성명서를 내는 등 인사청문회까지 가봐야 한다는 여론이 힘을 얻기 시작하는 분위기였는데요. 청와대의 설득이나 압박이 있었던 것은 아닐까요?
<질문 2-1> 어제는 문 후보자의 조부가 독립유공자라는 사실이 공개됐는데요. 이것도 명예 회복의 일환으로 사퇴의 수순이었다고 보십니까?
<질문 3> 안대희 전 대법관에 이은 연쇄 낙마에 이번 정부 들어 세 번째 총리 후보자 낙마입니다. 책임론이 비등할 것 같은데요. 김기춘 대통령 비서실장을 넘어 박 대통령에게 직접 사과를 요구하는 목소리도 나올 것 같습니다. 어떻게 보십니까? 박 대통령의 사과나 입장 표명이 필요하다고 보십니까?
<질문 4> 김기춘 실장에 대해서는 박 대통령이 어떤 결정을 내릴까요? 야당의 공세가 거셀 텐데요.
<질문 5> 또 총리 인선에 들어갈 텐데요. 이렇게 되면 박 대통령에게 트라우마가 생길 것 같습니다. 수첩인사를 해도 수첩 외 인사를 해도 논란은 계속되고 있는데요. 이번에는 어떤 총리를 지명할까요? 정치인 총리가 나올까요? 이번에도 깜짝 인선이 이뤄질까요?
<질문 6> 청와대의 인사검증시스템에 대한 근본적인 재고가 필요하지는 않을까요?
<질문 7> 원내 구성이 완료되면서 장관 후보자들에 대한 인사청문회도 곧 열릴 것 같은데요. 야당에선 이병기 국정원장 후보자와 김명수 교육부총리 후보자가 낙마해야 한다는 입장입니다. 이 부분은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8> 문 후보자 지명 이후 논란이 일면서 박 대통령의 지지율도 새누리당의 지지율도 하락했습니다. 박 대통령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가 처음으로 역전을 하기도 했는데요. 이번 문 후보자의 낙마는 박 대통령의 지지율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논란을 끝냈다는 점에서 지지율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도 있을까요?
<질문 9> 과연, 세 번째의 총리 후보자 낙마가 7.30 재보선에는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여당으로서는 비상 상황이라고 할 수도 있을 것 같은데요. 이 낙마 충격을 새로운 총리 인선으로 상쇄하려 여당이 청와대에 목소리를 크게 내지 않을까요? 어떻게 보십니까?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