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1번지] 결국 문창극 자진사퇴…'국정표류' 장기화되나?
<출연 : 미래경영연구소 황장수 소장·한양대 특임교수 고영신>
결국, 문창극 후보자의 자진사퇴로 결론이 내려졌습니다.
안대희 전 대법관에 이은 연쇄 낙마에 박근혜 정부 들어 세 번째 총리 후보자 낙마인데요.
후폭풍이 만만치 않을 것 같습니다.
미래경영연구소 황장수 소장, 한양대 고영신 특임교수와 함께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질문 1> 그래도 보수 인사들이 성명서를 내는 등 여론이 인사청문회까지는 가야 하지 않겠느냐는 분위기로 반전되려는가 싶던 찰나에 문 후보자가 자진 사퇴 입장을 밝혔습니다. 문 후보자의 자진사퇴 어떻게 평가하십니까? 늦었지만 적절했다고 보십니까? 그래도 인사청문회까지는 갔어야 한다고 보십니까?
<질문 1-1> 어제는 문 후보자의 조부가 독립유공자라는 사실이 공개됐는데요. 이것도 명예 회복의 일환으로 사퇴의 수순이었다고 보십니까?
<질문 2> 문 후보자의 자진사퇴 발표문 모두 들으셨죠? 과연, 순수한 자진사퇴라고 보십니까? 아니면 청와대의 설득이나 압박에 의한 표면상의 자진사퇴일까요? 문 후보자는 자신이 총리를 하겠다고 한 것도 아니고 지명했으면 해명하고 잘잘못을 가릴 인사청문회까지는 가게 해줘야 한다는 입장을 주변에 피력했던 것으로 알려지고 있는데요. 갑자기 자진사퇴를 결심한 배경에 청와대가 있을까요?
<질문 3> 안대희 전 대법관에 이은 연쇄 낙마입니다. 이번 정부 들어 세 번째 총리 후보자 낙마이기도 한데요. 책임론 화살이 청와대로 집중될 것 같습니다. 야당은 김기춘 비서실장은 물론, 박 대통령의 사과도 요구할 것 같은데요. 어떻게 보십니까? 박 대통령이 직접 대국민 사과나 입장을 발표해야 한다고 보십니까?
<질문 4> 김기춘 실장에 대해서는 어떻게 보십니까? 이번 문 후보자 낙마로 인해 더 이상 자리를 지키기는 쉽지 않을 것 같은데요. 어떻게 전망하십니까?
<질문 5> 다시 또 총리 인선이 시작되겠죠? 이번에는 정치인 총리가 나올까요?
<질문 6> 근본적으로 청와대의 인사시스템에 대한 재고도 필요하지 않을까요? 외부인사위원회를 만드는 것이 어떠냐는 제안도 나오던데요.
<질문 7> 야당에서는 문 후보자만을 문제 삼은 것이 아닙니다. 이병기 국정원장 후보자와 김명수 교육부총리 후보자도 낙마 대상이란 입장인데요. 이 부분에 대해서는 어떤 의견이십니까?
<질문 8> 만약, 야당의 의지대로 줄낙마 사태가 일어난다면 야당에 오히려 역풍이 불진 않을까요? 국정 공백과 낙마의 피로감이 야당을 덮칠 수도 있을 것 같은데요. 어떻게 전망하십니까?
<질문 9> 7.30 재보선을 앞두고 벌어진 총리 후보자 연쇄 낙마에 장관 후보자들의 인사청문회가 과연 재보선 선거 정국에는 어떻게 작용할까요? 여당에 호재가 아니라는 것은 분명할 것 같은데요.
(끝)
<출연 : 미래경영연구소 황장수 소장·한양대 특임교수 고영신>
결국, 문창극 후보자의 자진사퇴로 결론이 내려졌습니다.
안대희 전 대법관에 이은 연쇄 낙마에 박근혜 정부 들어 세 번째 총리 후보자 낙마인데요.
후폭풍이 만만치 않을 것 같습니다.
미래경영연구소 황장수 소장, 한양대 고영신 특임교수와 함께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질문 1> 그래도 보수 인사들이 성명서를 내는 등 여론이 인사청문회까지는 가야 하지 않겠느냐는 분위기로 반전되려는가 싶던 찰나에 문 후보자가 자진 사퇴 입장을 밝혔습니다. 문 후보자의 자진사퇴 어떻게 평가하십니까? 늦었지만 적절했다고 보십니까? 그래도 인사청문회까지는 갔어야 한다고 보십니까?
<질문 1-1> 어제는 문 후보자의 조부가 독립유공자라는 사실이 공개됐는데요. 이것도 명예 회복의 일환으로 사퇴의 수순이었다고 보십니까?
<질문 2> 문 후보자의 자진사퇴 발표문 모두 들으셨죠? 과연, 순수한 자진사퇴라고 보십니까? 아니면 청와대의 설득이나 압박에 의한 표면상의 자진사퇴일까요? 문 후보자는 자신이 총리를 하겠다고 한 것도 아니고 지명했으면 해명하고 잘잘못을 가릴 인사청문회까지는 가게 해줘야 한다는 입장을 주변에 피력했던 것으로 알려지고 있는데요. 갑자기 자진사퇴를 결심한 배경에 청와대가 있을까요?
<질문 3> 안대희 전 대법관에 이은 연쇄 낙마입니다. 이번 정부 들어 세 번째 총리 후보자 낙마이기도 한데요. 책임론 화살이 청와대로 집중될 것 같습니다. 야당은 김기춘 비서실장은 물론, 박 대통령의 사과도 요구할 것 같은데요. 어떻게 보십니까? 박 대통령이 직접 대국민 사과나 입장을 발표해야 한다고 보십니까?
<질문 4> 김기춘 실장에 대해서는 어떻게 보십니까? 이번 문 후보자 낙마로 인해 더 이상 자리를 지키기는 쉽지 않을 것 같은데요. 어떻게 전망하십니까?
<질문 5> 다시 또 총리 인선이 시작되겠죠? 이번에는 정치인 총리가 나올까요?
<질문 6> 근본적으로 청와대의 인사시스템에 대한 재고도 필요하지 않을까요? 외부인사위원회를 만드는 것이 어떠냐는 제안도 나오던데요.
<질문 7> 야당에서는 문 후보자만을 문제 삼은 것이 아닙니다. 이병기 국정원장 후보자와 김명수 교육부총리 후보자도 낙마 대상이란 입장인데요. 이 부분에 대해서는 어떤 의견이십니까?
<질문 8> 만약, 야당의 의지대로 줄낙마 사태가 일어난다면 야당에 오히려 역풍이 불진 않을까요? 국정 공백과 낙마의 피로감이 야당을 덮칠 수도 있을 것 같은데요. 어떻게 전망하십니까?
<질문 9> 7.30 재보선을 앞두고 벌어진 총리 후보자 연쇄 낙마에 장관 후보자들의 인사청문회가 과연 재보선 선거 정국에는 어떻게 작용할까요? 여당에 호재가 아니라는 것은 분명할 것 같은데요.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