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1번지] 북한에도 월드컵 열풍?

<출연 : 경민대 북한학 전공 강명도 교수 >

지구 반대편 브라질에서 열리고 있는 월드컵 열기가 뜨겁습니다.

북한 역시 예외가 아니라고 하는데요.

오늘 강명도의 서울 속 평양이야기에서는 북한의 월드컵 열풍에 대해 들여다보겠습니다.

전 북한 강성산 총리의 사위인 경민대 북한학 전공 강명도 교수 자리했습니다.

<질문 1> 북한에서도 월드컵 중계를 하던데요. 예전에도 월드컵 중계를 했었습니까?

<질문 2> 북한 주민들도 월드컵에 대해 잘 알고 있나요? 한국처럼 관심이 큰 편인가요? 월드컵에 대한 북한 주민들의 인식이 어느 정도인지 궁금한데요.

<질문 3> 북한의 월드컵 중계방송을 보면, 한국에서 송출한 영상을 편집해 녹화 중계를 하던데요. 특별한 이유가 있습니까?

<질문 4> 북한에서의 월드컵 중계는 어떻게 하나요? 우리나라 같은 경우에는 캐스터와 해설가가 콤비로 중계를 하는데요. 북한에도 경기를 자세히 풀어주고 분석해주는 해설가가 있습니까?

<질문 5> 월드컵하면 빠질 수 없는 것이 응원인데요. 18일 한국과 러시아 경기 때도 광장을 가득 메운 시민들이 밤샘 응원을 했었습니다. 북한 평양역 광장에도 대형 전광판이 설치돼 있다고 하던데요. 북한에도 응원 문화가 있습니까?

<질문 6> 2002년 한일 월드컵 때의 붉은 악마와 거리 응원은 당시 하나의 문화였는데요. 북한 주민들이 혹시 붉은 악마를 알고 있나요?

<질문 7> 북한에서는 브라질 월드컵 기념우표 세트도 발행했다고 하는데요. 예선에서 탈락한 북한이 이렇게 월드컵에 관심을 갖는 이유가 있을까요? 김정은 체제 들어서의 특징입니까? 아니면 이전 김정일 정권 때도 축구나 스포츠에 대한 관심이 많았나요?

<질문 8> 월드컵에 대한 관심이 높다는 건 그만큼 축구의 인기가 많다는 것을 텐데요. 북한에서 축구의 인기는 어느 정도입니까? 학교에서 학생들이 점심시간이면 축구를 한다거나, 조기 축구회가 있다거나 그런가요?

<질문 9> 벽에 페인트로 골대를 그려놓고 축구를 하는 모습이 포착되기도 했는데요. 잔디는 아니더라도 운동장에 골대도 없어 벽에 그리고 축구를 할 정도로 사회 스포츠 시설이 열악한가요?

<질문 10> 북한은 과거에 천리마 축구단으로 월드컵 8강에 오르기도 했는데요. 북한 축구가 하락세에 접어든 이유는 무엇인가요? 북한 축구는 수십 년간 정치의 희생양이었다는 이야기도 있는데요. 이건 무슨 말입니까?

<질문 11> 북한은 브라질 월드컵 예선에 탈락했는데요. 현재 북한의 축구 선수들에 대한 지원은 어떻습니까? 김정은 제1위원장이 농구광인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그래서 축구가 관심 밖으로 밀려난 것은 아닌가요?

<질문 12> 북한은 오는 9월 열리는 인천 아시안게임에 북한 남녀 축구대표팀이 참가한다고 밝혔습니다. 북한 선수들이 한국땅을 밟는 것은 1년 2개월 만인데요. 북한의 아시안게임 참가에 대해서는 어떻게 보십니까? 남북관계가 경색돼 있는 때의 참가라 관심이 모아지는데요. 응원단도 파견할까요?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