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1번지] 박근혜정부 2기 내각 발표…평가는?
<출연 : 신문명정책연구원 이사장 장기표>
절묘한 한 수가 판세를 뒤집기도 하고, 승부를 결정짓기도 합니다.
과연 정치 고수는 요동치는 최근의 정국을 어떻게 보고 있을까요?
정치 고수의 훈수를 들어봅니다.
오늘 고수는 신문명정책연구원 장기표 이사장입니다.
<질문 1> 오늘 오전 박근혜정부 2기 내각이 발표됐습니다. 7개 부처의 개각이 단행됐는데요. 경제 부총리에는 역시 예상대로 최경환 전 새누리당 원내대표가 내정됐습니다. 오늘 발표된 중폭의 개각 어떻게 평가하십니까?
<질문 2> 이번 세월호 참사의 주무부처라 할 수 있는 해양수산부는 이번 개각 명단에서 빠졌습니다. 아무래도 이주영 장관에 대한 평과 여론이 달라지고 있다는 것을 청와대에서 감지한 것 같은데요. 그래도 책임을 물었어야 했을까요? 오늘 검찰에서는 해양수산부를 압수수색했는데요.
<질문 3> 역할이 커질 것으로 보이는 교육부 장관에는 정치인이 아닌 교육자 출신인 김명수 전 한국교원대 교수가 내정됐는데요. 이는 어떻게 보십니까? 청와대 교육문화수석에도 교수 출신이 발탁됐는데요. 적절한 인선이라고 보십니까?
<질문 4> 어제 청와대 수석 4명의 교체와 함께 오늘 개각 역시 박 대통령 사람들이 중용됐는데요. 친정체제 강화라는 평이 많습니다. 이 부분은 어떻게 평가하십니까?
<질문 5> 어제 발표된 청와대 참모진 개편에서 가장 눈에 띄는 것은 정무수석에 여성인 조윤선 여성가족부 장관이 발탁된 겁니다. 이 부분은 어떻게 보십니까? 신의 한수라고 보십니까? 악수가 될 가능성이 높다고 보십니까?
<질문 6> 야당으로부터 사퇴 압력을 받고 있는 김기춘 대통령 비서실장은 유임됐습니다. 김기춘 실장의 유임에 대해서는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7> 문창극 총리 후보자의 역사 인식 논란이 확산되고 있는데요. 이에 대해서는 어떤 의견이십니까? 종교적인 관점에서의 언급이라고 이해할 수 있는 부분은 없을까요?
<질문 8> 문 총리 후보자는 어제 정식 사과가 아닌 유감을 표했습니다. 그리고 왜곡 보도한 언론에 대해 법적 대응을 하겠다고도 밝혔는데요. 이 부분은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9> 아무래도 문 후보자는 정면 돌파를 선택한 것 같습니다. 새누리당내에서는 의견이 엇갈리고 있는데요. 초선의원들을 중심으로 자진 사퇴해야 한다는 성명서가 나온 반면, 일부 의원들은 특정 부분만 부각시켜 매도하는 일종의 색깔론이란 주장을 하고 있습니다. 야당에서는 청문회 보이콧 이야기까지 나오고 있는데요. 잘잘못은 청문회에서 가려도 되지 않을까요?
<질문 10> 만약, 문 총리 후보자까지 낙마를 하게 된다면, 김기춘 비서실장도 자리를 지키기는 쉽지 않을 것 같은데요.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11> 도대체 왜 이런 검증 논란이 계속되는 걸까요? 문 총리 후보자까지 만약 낙마한다면, 박근혜정부들어 총리 후보자만 세 번째입니다. 청와대의 검증 시스템에 문제가 있는 걸까요? 아니면 검증을 담당하는 사람들의 인식이 국민 정서와 거리가 있는 것일까요?
(끝)
<출연 : 신문명정책연구원 이사장 장기표>
절묘한 한 수가 판세를 뒤집기도 하고, 승부를 결정짓기도 합니다.
과연 정치 고수는 요동치는 최근의 정국을 어떻게 보고 있을까요?
정치 고수의 훈수를 들어봅니다.
오늘 고수는 신문명정책연구원 장기표 이사장입니다.
<질문 1> 오늘 오전 박근혜정부 2기 내각이 발표됐습니다. 7개 부처의 개각이 단행됐는데요. 경제 부총리에는 역시 예상대로 최경환 전 새누리당 원내대표가 내정됐습니다. 오늘 발표된 중폭의 개각 어떻게 평가하십니까?
<질문 2> 이번 세월호 참사의 주무부처라 할 수 있는 해양수산부는 이번 개각 명단에서 빠졌습니다. 아무래도 이주영 장관에 대한 평과 여론이 달라지고 있다는 것을 청와대에서 감지한 것 같은데요. 그래도 책임을 물었어야 했을까요? 오늘 검찰에서는 해양수산부를 압수수색했는데요.
<질문 3> 역할이 커질 것으로 보이는 교육부 장관에는 정치인이 아닌 교육자 출신인 김명수 전 한국교원대 교수가 내정됐는데요. 이는 어떻게 보십니까? 청와대 교육문화수석에도 교수 출신이 발탁됐는데요. 적절한 인선이라고 보십니까?
<질문 4> 어제 청와대 수석 4명의 교체와 함께 오늘 개각 역시 박 대통령 사람들이 중용됐는데요. 친정체제 강화라는 평이 많습니다. 이 부분은 어떻게 평가하십니까?
<질문 5> 어제 발표된 청와대 참모진 개편에서 가장 눈에 띄는 것은 정무수석에 여성인 조윤선 여성가족부 장관이 발탁된 겁니다. 이 부분은 어떻게 보십니까? 신의 한수라고 보십니까? 악수가 될 가능성이 높다고 보십니까?
<질문 6> 야당으로부터 사퇴 압력을 받고 있는 김기춘 대통령 비서실장은 유임됐습니다. 김기춘 실장의 유임에 대해서는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7> 문창극 총리 후보자의 역사 인식 논란이 확산되고 있는데요. 이에 대해서는 어떤 의견이십니까? 종교적인 관점에서의 언급이라고 이해할 수 있는 부분은 없을까요?
<질문 8> 문 총리 후보자는 어제 정식 사과가 아닌 유감을 표했습니다. 그리고 왜곡 보도한 언론에 대해 법적 대응을 하겠다고도 밝혔는데요. 이 부분은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9> 아무래도 문 후보자는 정면 돌파를 선택한 것 같습니다. 새누리당내에서는 의견이 엇갈리고 있는데요. 초선의원들을 중심으로 자진 사퇴해야 한다는 성명서가 나온 반면, 일부 의원들은 특정 부분만 부각시켜 매도하는 일종의 색깔론이란 주장을 하고 있습니다. 야당에서는 청문회 보이콧 이야기까지 나오고 있는데요. 잘잘못은 청문회에서 가려도 되지 않을까요?
<질문 10> 만약, 문 총리 후보자까지 낙마를 하게 된다면, 김기춘 비서실장도 자리를 지키기는 쉽지 않을 것 같은데요.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11> 도대체 왜 이런 검증 논란이 계속되는 걸까요? 문 총리 후보자까지 만약 낙마한다면, 박근혜정부들어 총리 후보자만 세 번째입니다. 청와대의 검증 시스템에 문제가 있는 걸까요? 아니면 검증을 담당하는 사람들의 인식이 국민 정서와 거리가 있는 것일까요?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