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1번지] 재보선 앞둔 정치권, 향후 정국 향배는?
<출연 : 미래경영연구소 황장수 소장ㆍ유용화 정치평론가>
[앵커]
승자도 패자도 없었던 6·4 지방선거가 끝났습니다.
이르면 내일 박 대통령의 총리 지명이 있을 것으로 알려지고 있는 가운데, 박근혜 대통령의 최측근 이정현 홍보수석의 사의 표명설도 흘러나오고 있습니다.
청와대 개편의 신호탄으로 봐야 할지... 분석하고 전망해보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미래경영연구소 황장수 소장, 유용화 정치평론가 자리했습니다.
<질문 1> 이정현 홍보수석이 사의를 표명했다는 보도가 일부 언론을 통해 나왔습니다. 이정현 수석이라면 그야말로 박 대통령의 복심으로 알려진 인물인데요.
<질문 2> 이정현 수석의 사퇴가 공식화된다면 향후 청와대 참모진 개편은 어느 정도의 폭으로 이뤄질까요? 개편 대상은 어떻게 예상하십니까?
<질문 3> 이목이 집중되는 건 김기춘 대통령 비서실장의 거취입니다. 야권에서도 인적쇄신의 중심인물로 지목하고 있는데요. 하지만 박 대통령의 두터운 신임으로 인해 김기춘 실장은 롱런할 것이란 전망도 있습니다. 두 분의 예상은 어떠십니까?
<질문 4> 이르면 내일 총리 지명이 이뤄질 것으로 전해지고 있는데요. 두 분의 생각도 그러십니까? 내일 총리 지명이 발표가 되려면 이미 박 대통령의 마음이 정해졌단 얘긴데요. 고심이 길어지면서 생각보다 늦어질 가능성은 없을까요?
<질문 5> 총리 지명과 관련해 박 대통령이 힌트로 준 건 두 가지입니다. 국가개혁의 적임자, 그리고 국민이 요구하는 분... 이라는 건데요. 박 대통령이 준 두 가지 힌트에 적합한 분으로는 누가 있을까요? 지금 하마평에 오르는 인물은 김문수 경기도지사, 김종인 전 새누리당 국민행복추진위원장, 김영란 전 국민권익위원장, 조무제 전 대법관 등이 있는데요. 의외의 인물이 될 가능성도 있다고 보십니까?
<질문 6> 이번 지방선거 결과가 박 대통령의 총리 지명에도 영향을 미칠까요? 청와대나 여당에서 주목할 표심이라면, 40대의 야권 몰표와 충청권의 참패라고 할 수 있을 것 같은데요.
<질문 7> 지난 4일 지방선거에서 나타난 수도권 표심에 대한 분석도 나오고 있습니다. 서울은 후보 효과, 인천은 친박 효과, 경기에서는 여촌야도 현상이 나타났다는 분석인데요. 동의하십니까?
<질문 8> 40대는 야권에 몰표를 줬다는 분석도 있습니다. 이는 어떻게 봐야 할까요? 40대라면 앵그리 맘과 가장들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 역시 세월호 참사 때문일까요? 아니면 기성세대들의 진보화로 봐야 할까요?
<질문 9> 6월 지방선거는 막을 내렸습니다. 이제 7월 재보선으로 시선이 움직이고 있는데요. 7월 재보선에는 거물급 정치인들의 대거 출마가 예상되면서 더욱 시선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7월 재보선... 어떻게 예상하십니까? 여야의 거물급 정치인들이 출사표를 던질까요? 이번에 경선이나 지방선거에서 탈락한 후보들도 재보선에 출마할까요? 여당에선 이혜훈 전 최고위원이나 김황식 전 총리, 야당에선 김상곤 전 교육감 등이 거론되고 있는데요.
<질문 10> 특히 동작을의 경우 새누리당 소속 김문수 지사와 새정치민주연합의 손학규 상임고문의 빅매치 가능성이 주목되고 있는데요. 이 빅매치가 성사될까요? 어떻게 예상하십니까?
-지금까지 미래경영연구소 황장수 소장, 유용화 정치평론가였습니다.
(끝)
<출연 : 미래경영연구소 황장수 소장ㆍ유용화 정치평론가>
[앵커]
승자도 패자도 없었던 6·4 지방선거가 끝났습니다.
이르면 내일 박 대통령의 총리 지명이 있을 것으로 알려지고 있는 가운데, 박근혜 대통령의 최측근 이정현 홍보수석의 사의 표명설도 흘러나오고 있습니다.
청와대 개편의 신호탄으로 봐야 할지... 분석하고 전망해보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미래경영연구소 황장수 소장, 유용화 정치평론가 자리했습니다.
<질문 1> 이정현 홍보수석이 사의를 표명했다는 보도가 일부 언론을 통해 나왔습니다. 이정현 수석이라면 그야말로 박 대통령의 복심으로 알려진 인물인데요.
<질문 2> 이정현 수석의 사퇴가 공식화된다면 향후 청와대 참모진 개편은 어느 정도의 폭으로 이뤄질까요? 개편 대상은 어떻게 예상하십니까?
<질문 3> 이목이 집중되는 건 김기춘 대통령 비서실장의 거취입니다. 야권에서도 인적쇄신의 중심인물로 지목하고 있는데요. 하지만 박 대통령의 두터운 신임으로 인해 김기춘 실장은 롱런할 것이란 전망도 있습니다. 두 분의 예상은 어떠십니까?
<질문 4> 이르면 내일 총리 지명이 이뤄질 것으로 전해지고 있는데요. 두 분의 생각도 그러십니까? 내일 총리 지명이 발표가 되려면 이미 박 대통령의 마음이 정해졌단 얘긴데요. 고심이 길어지면서 생각보다 늦어질 가능성은 없을까요?
<질문 5> 총리 지명과 관련해 박 대통령이 힌트로 준 건 두 가지입니다. 국가개혁의 적임자, 그리고 국민이 요구하는 분... 이라는 건데요. 박 대통령이 준 두 가지 힌트에 적합한 분으로는 누가 있을까요? 지금 하마평에 오르는 인물은 김문수 경기도지사, 김종인 전 새누리당 국민행복추진위원장, 김영란 전 국민권익위원장, 조무제 전 대법관 등이 있는데요. 의외의 인물이 될 가능성도 있다고 보십니까?
<질문 6> 이번 지방선거 결과가 박 대통령의 총리 지명에도 영향을 미칠까요? 청와대나 여당에서 주목할 표심이라면, 40대의 야권 몰표와 충청권의 참패라고 할 수 있을 것 같은데요.
<질문 7> 지난 4일 지방선거에서 나타난 수도권 표심에 대한 분석도 나오고 있습니다. 서울은 후보 효과, 인천은 친박 효과, 경기에서는 여촌야도 현상이 나타났다는 분석인데요. 동의하십니까?
<질문 8> 40대는 야권에 몰표를 줬다는 분석도 있습니다. 이는 어떻게 봐야 할까요? 40대라면 앵그리 맘과 가장들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 역시 세월호 참사 때문일까요? 아니면 기성세대들의 진보화로 봐야 할까요?
<질문 9> 6월 지방선거는 막을 내렸습니다. 이제 7월 재보선으로 시선이 움직이고 있는데요. 7월 재보선에는 거물급 정치인들의 대거 출마가 예상되면서 더욱 시선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7월 재보선... 어떻게 예상하십니까? 여야의 거물급 정치인들이 출사표를 던질까요? 이번에 경선이나 지방선거에서 탈락한 후보들도 재보선에 출마할까요? 여당에선 이혜훈 전 최고위원이나 김황식 전 총리, 야당에선 김상곤 전 교육감 등이 거론되고 있는데요.
<질문 10> 특히 동작을의 경우 새누리당 소속 김문수 지사와 새정치민주연합의 손학규 상임고문의 빅매치 가능성이 주목되고 있는데요. 이 빅매치가 성사될까요? 어떻게 예상하십니까?
-지금까지 미래경영연구소 황장수 소장, 유용화 정치평론가였습니다.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