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1번지] '사과'의 정치

<출연 : 안형환 전 새누리당 의원>

진실된 한마디의 사과가 갖은 힘은 대단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실수나 잘못에 어떻게 반성하고 사과하느냐에 따라 그 결과는 확연히 달라지는데요.

정치에서 '사과'는 과연 어떤 힘을 발휘할까요?

오늘 여의도 프리즘에서는 사과의 정치에 대해 들여다보겠습니다.

이와 관련해 안형환 전 새누리당 의원과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질문 1> 박근혜 대통령이 이번 세월호 사고 합동분향소에 다녀온 이후 국무회의를 통해 대국민사과를 했습니다. 어떻게 보셨나요?

<질문 2> 이런 대통령의 사과에도 유족들은 인정할 수 없다고 반발했는데요. 대통령의 사과가 공감을 얻지 못한 주된 이유는 무엇이라고 보십니까?

<질문 3> 세월호 참사 뿐 아니라 우리 사회는 서해훼리호, 성수대교, 삼풍백화점, 씨랜드 사건 등 많은 참사를 겪어왔는데요. 당시에도 대통령의 사과가 있었나요? 역대 대통령은 대형 사건에 대해 국민에게 언제 어떤 사과를 했습니까?

<질문 4> 그렇다면 우리나라뿐 아니라 외국을 통틀어 사람들의 마음을 움직인 이렇게 표현하면 어떨지 모르겠지만 '성공한 사과'를 뽑는다면 어떤 사과가 있을까요?

<질문 5> 반대로 역효과를 일으킨 정치인의 사과는 없었나요? 역효과를 가져온 이유는 무엇이었나요?

<질문 6> 사과는 그 타이밍도 중요하죠? 부시 전 대통령의 허리케인 카트리나 피해 당시 뒤늦은 사과로 구설수에 올랐었는데요. 우리나라에서도 이 타이밍을 놓쳐 더 분노를 일으킨 경우가 있었죠?

<질문 7> 이런 사과에 따라 정치인의 미래가 결정되기도 하나요? 정치 생명과도 연결이 됩니까?

<질문 8> 미국 부시 전 대통령의 경우 9·11 테러에 대한 사과는 없었지만 지지율이 더 높아졌다고 하는데요. 당시 국민적 분노가 상당히 컸었을 텐데도 국민들은 대통령에게 사과를 요구하는 대신 지지를 보낸 이유는 무엇이었습니까?

<질문 9> 우리나라나 일본과 같은 경우에는 대통령이나 총리같은 국가수반에게 사과를 요구하는 경우가 많지만 그 외 다른 나라들은 국가 정상에게 사과를 요구하는 경우가 그리 많지 않다고 합니다. 그건 왜 그런 것일까요? 국민성의 차이로 봐야 할까요?

<질문 10> 박근혜 대통령은 국가적 재난에 대응하기 위해 총리실 산하에 국가안전처 신설을 밝혔는데요. 이에 대해서는 어떻게 보십니까? 실효성이 있으리라고 보십니까?

지금까지 안형환 전 의원의 여의도 프리즘이었습니다.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