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1번지] 북, 무인기 공동조사 주장…"김장수 실장 나와라"

<출연 : 북한망명센터 장해성 이사장ㆍ통일방송 임영선 대표>

무인기와 관련한 북한의 주장은 천안함 사건 때와 일치합니다.

자신들의 소행임을 부인하면서 공동 조사를 주장하고 나선 것인데요.

이번에는 청와대 김장수 안보실장을 남측 대표로까지 지목하고 있습니다.

또한 오늘은 북한의 최대 명절인 태양절인데요.

이와 관련해서도 살펴보겠습니다.

전 조선중앙TV기자였던 북한망명센터 장해성 이사장, 전 인민군 간부였던 임영선 통일방송 대표 자리했습니다.

<질문 1> 북한이 국방위 검열단 이름으로 진상공개장을 발표했습니다. '무인기 사건의 북 소행설은 철두철미 천안호 사건의 복사판'이라는 제목인데요. 먼저 국방위 검열단은 어떤 곳인가요? 지난 2010년 천안함 피격사건 때도 북한은 국방위 검열단 파견을 주장했었는데요.

<질문 2> 북한은 국방부가 제시하고 있는 북한제 추정 근거에 대해서도 조목조목 반박하고 나섰는데요. 우리 군이 무인기를 북한제로 추정하는 근거 중의 하나인 '기용날자'라는 북한 말에 대해서도 북한에서는 애당초 '기용'이라는 말을 쓰지 않는다고 반박하고 있습니다. 사실인가요? 조선말대사전에는 '기용'이라는 단어의 해석조차 없다고 하던데요. 맞습니까?

<질문 3> 지금 군에서는 GPS 좌표 해독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이 분석 결과만 나오면 무인기가 어디서 날아왔는지 확실히 나온다고 하던데요. 그런데도 이렇게 자신들의 소행임을 부인하고 나서는 북한…어떻게 봐야 할까요? 혹시 여기에도 암호를 걸어놔서 해독을 불가능하게 만들어놓은 것은 아닐까요?

<질문 4> 그렇다면 두 분의 생각이 궁금합니다. 지금 우리 사회 일각에서도 천암함 사태 때처럼 북한의 소행이 아닐 수 있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는데요. 동호회 사람들조차도 핵미사일을 만드는 북한이 만들었다고 하기에는 너무 조악한 수준이라고 지적하고 있습니다. 두 분은 최근에 추락한 무인기…북한의 소행이라고 보십니까? 아니면 아닐 가능성도 있다고 보십니까?

<질문 5> 무인기가 북한의 소행이라면 북한에서는 이 무인기 사태를 작전 성공으로 보고 있을까요? 아니면 실패로 보고 있을까요? 천안함 피격의 경우에는 훈장 수여도 있었다면서요?

<질문 6> 또한 북한은 지난 천안함 때와 마찬가지로 공동 조사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이 부분은 어떻게 봐야 할까요? 왜 북한은 공동 조사를 요구한다고 보십니까? 어차피 우리 측에서 공동조사를 받아들일리 만무하니까 그냥 던지는 말일까요? 아니면 우리 측에서 공동 조사를 받아들일 수도 있다고 북한은 보고 있는 것입니까? 혹은 공동 조사를 통해 뭔가 노리는 목적이 따로 있는 것은 아닐까요?

<질문 7> 게다가 북한은 남측 대표로 청와대 김장수 안보실장을 지목했습니다. 또 청와대를 지목한 것인데요. 이 부분은 어떻게 봐야 할까요?

<질문 8> 오늘은 북한의 최대 명절인 태양절입니다. 김일성 주석의 생일인데요. 언제부터 태양절이 북한 최대 명절이 된 것인가요?

<질문 9> 최대 명절이라면 연휴도 있나요? 그리고 어떤 행사들이 주로 치러집니까? 올해는 열병식 소식도 들리지 않는데요. 그건 왜 그런 것인가요?

<질문 10> 김정은 제1위원장의 김일성 따라하기는 계속되고 있습니다. 헤어스타일과 복장 모두 김일성 주석을 따라하는 것이라 하던데요. 왜 김정은은 아버지인 김정일이 아닌 할아버지인 김일성을 따라하는 것인가요? 북한 주민들에게는 김정일보다 김일성에 대한 향수가 더 강한가요? 어떻습니까?

<질문 11> 그렇다면 김정은 제1위원장의 김일성 흉내내기는 효과가 있나요? 북한내 상황은 어떻습니까? 이 모든 것이 여동생인 김여정의 아이디어라고 하던데요. 맞습니까?

<질문 12> 북한은 태양절 때면 무력 도발을 하곤 했는데요. 이번에는 어떨까요? 4차 핵실험이 임박했다는 관측도 있긴 한데요. 과연 북한은 핵실험을 감행할까요?

<질문 13> 오늘이 태양절이고 오는 18일이면 한미훈련이 끝납니다. 북한이 이후 대화로 돌아설 가능성에 대해서는 어떻게 보십니까? 무인기 공동조사를 요구하면서 청와대를 지목한 것은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요? 청와대와 다시 대화를 할 수 있다는 함의가 있는 것은 아닙니까?

지금까지 북한망명센터 장해성 이사장, 통일방송 임영선 대표였습니다.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