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1번지] 한 주간의 정치권 이슈 분석

<출연: 소종섭 전 시사저널 편집국장ㆍ유용화 정치평론가>

[앵커]

무공천 깃발을 접은 새정치민주연합 안철수 대표가 기초선거에선 개혁공천 깃발을 들겠다고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광역단체장 선거에선 제식구를 챙기는 듯한 행보를 보이고 있어 논란의 불씨가 되고 있는데요.

특히 경기지사 경선에 출마한 김진표 후보는 경선 방식에 불만을 제기하며 경선 보이콧 가능성까지 시사하고 나섰습니다.

한 주간의 정치권 소식을 깊이있게 분석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소종섭 전 시사저널 편집국장, 유용화 정치평론가 두 분 모셨습니다.

<질문 1> 무공천을 철회한 새정치민주연합에서 논란을 속히 수습하려는 듯 선대위를 발족시키며 지방선거를 향한 발걸음을 재촉하고 있는데요. 안철수 대표가 이번엔 개혁공천을 주장하고 나섰죠? 대규모 물갈이를 의미하는 것 같은데요. 어떻습니까? 이렇게 되면 기득권을 쥐고 있는 민주계의 반발이 클 것 같은데요. 안철수 대표가 꺼내든 개혁공천 카드 어떻게 평가하십니까?

<질문 2> 분란의 불씨는 기초선거 만이 아닙니다. 광역단체장인 경기지사 경선에서도 불만이 폭발했는데요. 김진표 후보가 경선 보이콧을 언급하고 나섰습니다. 경선방식에 대한 김상곤 후보의 주장을 지도부가 수용해 룰을 바꾸면서 이번엔 김진표 후보의 불만이 터진 거죠?

<질문 3> 새정치민주연합 지도부가 김상곤 후보의 주장을 받아들여 경선 룰을 고친 것을, 안철수 대표의 제식구 챙기기가 시작된 것으로 봐야 할까요? 무공천 논란을 끝내고 야당도 이제 본격적인 경선레이스가 시작될 텐데요.

<질문 4> 김진표 후보는 탈당 후 무소속 출마까지 언급하고 나섰습니다. 내일 오전까지 답을 달라고 했는데요. 김진표 후보의 요구는 여론조사에서 여당 지지자를 배제하는 대신 연령별 투표율 보정을 적용해달라는 거죠? 과연 새정치민주연합 지도부에서는 어떤 결정을 내릴까요? 김진표 후보의 요구를 받아들일까요? 그렇게 되면 각 지역마다 후보마다 자신들이 유리한 대로 룰을 바꿔달라는 요구가 봇물처럼 터지지 않을까요?

<질문 4-1> 만약, 지도부가 요구를 들어주지 않는다면 정말 김진표 후보는 경선을 보이콧할까요? 탈당 후 무소속 출마 이야기도 나오던데요. 어떻게 전망하십니까?

<질문 5> 문재인 의원까지 선대위원장에 합류한 이른바 무지개 선대위가 발족됐습니다. 이로써 문재인 의원이 선거 전면에 나서게 됐는데요. 이를 두고 무공천 철회로 안철수 대표는 지고 문재인 의원이 뜨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있습니다. 무공천 철회의 배경에는 친노의 힘이 많이 작용한 것 같은데요. 과연 친노의 부활로 볼 수 있을까요? 친노가 다시 부상하게 된다면 새정치민주연합의 역학구도는 어떻게 되리라고 전망하십니까?

<질문 5-1> 안철수 대표와 문재인 의원의 호흡에 대해서는 어떻게 전망하십니까? 어색한 행보를 보일까요? 아니면 의외의 환상의 호흡을 보일까요?

<질문 6> 만약 무공천을 철회하고도 6월 지방선거 성적표가 좋지 않다면 새정치민주연합의 역학구도에는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그 책임론은 무공천 철회를 관철시킨 친노쪽으로 갈까요? 아니면 여전히 안철수 대표와 김한길 대표쪽으로 갈까요?

<질문 7> 이제 새누리당쪽을 살펴보겠습니다. 어제 제주를 시작으로 30일 서울까지 본격적인 경선이 시작됐는데요. 어제 제주지사 본선 출마자로 원희룡 후보가 정해졌습니다. 예상된 결과였죠?

<질문 8> 문제는 우근민 지사의 선택입니다. 경선룰에 반발하며 경선에 불참했던 우근민 지사는 어떤 선택을 할까요? 원희룡을 지지하던지, 탈당 후 출마하던지 불출마하던지 여러 선택지가 있는데요. 어떤 선택지를 택할까요?

<질문 9> 오늘은 울산과 세종지역의 새누리당 후보가 확정됩니다. 특히 울산은 새누리당의 텃밭이라 할 수 있는 영남지역인데요. 여당인 새누리당은 영남에서, 야당인 새정치민주연합은 호남에서 집안싸움이 치열하죠? 어떻게 보고 계십니까?

<질문 10> 북한이 국방위원회 대변인 담화를 통해 박근혜 대통령의 드레스덴 선언을 비난하며 사실상 거부 의사를 밝혔습니다. 이제까지 언론매체를 통해 비난을 퍼붓던 북한이 이렇게 공식 기관을 통해 입장을 밝힌 것은 처음인데요. 박 대통령의 드레스덴 선언이 나온 지 보름만입니다. 이를 어떻게 봐야 할까요? 북한이 당분간 남북관계 개선의 의지는 없는 것으로 봐야 할까요?

지금까지 소종섭 전 시사저널 편집국장, 유용화 정치평론가였습니다.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