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관광객을 포함해 한국을 찾은 중국인 수가 1년 전보다 1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면세점 쇼핑 즐기는 중국 관광객 '유커'[연합뉴스 자료사진][연합뉴스 자료사진]
오늘(9일) 법무부에 따르면 지난달 입국한 중국인은 52만5,396명으로, 작년 같은 달(45만1,496명)보다 16.4% 증가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습니다.
다만 지난달 한국을 찾은 중국인은 휴가철을 맞아 외국인 방한 관광객이 많았던 지난 8월(61만3,177명)보다는 적었습니다.
한국관광공사의 한국관광통계 최신 수치를 보면 지난 8월 기준 외국인 방한 관광객 3명 중 1명은 중국인이었습니다.
또 지난 8월 한국을 찾은 중국인 관광객은 60만5천명으로, 지난 1월(36만4천명)의 1.7배로 늘었고, 코로나19 유행 전인 2019년 8월(57만8천명)보다 많았습니다.
이번 추석 연휴 기간에도 'K관광 1번지' 명동 등 주요 관광지는 중국의 국경·중추절 '황금연휴'(10월 1∼8일)를 맞아 방한한 중국인 관광객으로 북적이는 모습입니다.
최근 중국인 단체 관광객 유치를 위한 정부 시범 사업이 진행되면서 유통·관광업계는 방한 관광객이 더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우선 올해 '관광상륙허가제'가 시범 시행되면서 크루즈 선사가 모객한 3인 이상 중국인 단체 관광객은 비자 없이 입국할 수 있게 됐습니다.
이에 더해 정부는 지난 달 29일부터 내년 6월 30일까지 중국인 단체 관광객 무비자 입국을 한시 허용하기로 했습니다.
다만 제도 시행 초기여서 무비자 입국을 신청한 중국인 단체 관광객 수는 아직 많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제도 시행 첫날인 지난 달 29일 기준으로 오는 12일까지 한국을 찾겠다고 무비자 입국을 신청한 중국인 단체 관광객은 329명이었습니다.
이중 중국의 국경절 연휴인 지난 1∼8일 방한을 신청한 무비자 입국 중국인 단체 관광객은 135명이었습니다.
한국관광공사 관계자는 "보통 여행 계획은 수개월 전에 세우는데 무비자 제도 시행이 이제 막 시작된 만큼 입국 관광객이 늘어나려면 시간이 필요하다"며 "중국 정부도 무비자 시행을 긍정적으로 보고 있는 만큼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습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오주현(viva5@yna.co.kr)
면세점 쇼핑 즐기는 중국 관광객 '유커'[연합뉴스 자료사진][연합뉴스 자료사진]오늘(9일) 법무부에 따르면 지난달 입국한 중국인은 52만5,396명으로, 작년 같은 달(45만1,496명)보다 16.4% 증가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습니다.
다만 지난달 한국을 찾은 중국인은 휴가철을 맞아 외국인 방한 관광객이 많았던 지난 8월(61만3,177명)보다는 적었습니다.
한국관광공사의 한국관광통계 최신 수치를 보면 지난 8월 기준 외국인 방한 관광객 3명 중 1명은 중국인이었습니다.
또 지난 8월 한국을 찾은 중국인 관광객은 60만5천명으로, 지난 1월(36만4천명)의 1.7배로 늘었고, 코로나19 유행 전인 2019년 8월(57만8천명)보다 많았습니다.
이번 추석 연휴 기간에도 'K관광 1번지' 명동 등 주요 관광지는 중국의 국경·중추절 '황금연휴'(10월 1∼8일)를 맞아 방한한 중국인 관광객으로 북적이는 모습입니다.
최근 중국인 단체 관광객 유치를 위한 정부 시범 사업이 진행되면서 유통·관광업계는 방한 관광객이 더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우선 올해 '관광상륙허가제'가 시범 시행되면서 크루즈 선사가 모객한 3인 이상 중국인 단체 관광객은 비자 없이 입국할 수 있게 됐습니다.
이에 더해 정부는 지난 달 29일부터 내년 6월 30일까지 중국인 단체 관광객 무비자 입국을 한시 허용하기로 했습니다.
다만 제도 시행 초기여서 무비자 입국을 신청한 중국인 단체 관광객 수는 아직 많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제도 시행 첫날인 지난 달 29일 기준으로 오는 12일까지 한국을 찾겠다고 무비자 입국을 신청한 중국인 단체 관광객은 329명이었습니다.
이중 중국의 국경절 연휴인 지난 1∼8일 방한을 신청한 무비자 입국 중국인 단체 관광객은 135명이었습니다.
한국관광공사 관계자는 "보통 여행 계획은 수개월 전에 세우는데 무비자 제도 시행이 이제 막 시작된 만큼 입국 관광객이 늘어나려면 시간이 필요하다"며 "중국 정부도 무비자 시행을 긍정적으로 보고 있는 만큼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습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오주현(viva5@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