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용 시술 시장에서 진료비를 미리 내고 여러 차례 시술받는 '선납진료' 관행이 확산되면서 소비자 피해가 크게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최근 4년간 관련 피해 구제 신청은 1,150건에 달했으며, 소비자의 절반 이상은 계약서조차 받지 못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오늘(19일) 한국소비자원은 전국 체인형 피부·성형 의료기관 17곳을 대상으로 거래조건과 광고 실태를 조사한 결과, 76.5%(13곳)에서 소비자에게 불리한 약관을 사용하고 있었다고 밝혔습니다.
계약해제·해지를 제한하거나 위약금을 과도하게 부과한 의교기관이 64.7%(11곳)에 달했습니다. 주소 이전이나 공사 등 의료기관 사정으로 진료가 불가능해도 중도 해지를 제한하는 사례도 있었습니다.
소비자원에 접수된 선납진료 피해구제 신청 중 83.1%(956건)는 위약금 분쟁 때문이었습니다.
진료 분야별로는 피부과·성형외과가 66.3%(762건)로 가장 많았습니다.
피해 사례를 보면, 중도 해지 시 정상가를 기준으로 비용을 차감해 환급액이 거의 없거나, 부작용 발생에도 책임을 면제하는 조항을 적용해 환불을 거절하는 경우 등이 포함됐습니다.
선납진료 경험이 있는 소비자 501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응답자의 64.7%가 선납 조건으로 금액 할인을 받았다고 답했지만, 환불 기준을 안내받았다는 응답은 29.0%에 불과했습니다.
특히 계약시 계약서를 작성·교부받지 못했다는 응답도 52.3%에 달했습니다.
소비자들이 의료기관 선택 시 가장 고려하는 요소는 ‘시술 비용’(52.9%)이었고, 이어 후기·평판(35.9%), 의료진 전문성(32.3%) 순이었습니다.
또한 조사대상 의료기관 92.9%(13곳)는 상시 할인 이벤트를 진행했는데, 매월 이벤트 기간을 갱신하면서도 마치 기간 한정 혜택인 것처럼 광고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소비자원은 이번 조사 결과를 관계 부처에 공유하고, 관리·감독 강화를 요청할 방침입니다.
소비자원 관계자는 "소비자들은 반드시 계약서를 받아두고 환불 기준을 확인해야 한다"며 "‘특별 할인’이나 ‘서비스 이벤트’ 광고에 현혹돼 충동 계약을 해서는 안 된다"고 당부했습니다.
#소비자원 #미용시술 #의료기관 #선납 #피해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오주현(viva5@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