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소비자원이 소비자공익네트워크와 주요 백화점 3사에 대한 소비자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브랜드와 상품 다양성에 대한 만족도는 높았지만 주차와 편의시설 등으로 불만을 경험한 소비자도 25%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백화점 3사의 종합 만족도는 평균 3.81점(5점 만점)이었으며, ‘현대백화점’이 3.85점으로 가장 높았고, ‘신세계백화점’ 3.83점, ‘롯데백화점’ 3.75점 순이었습니다.
[한국소비자원 제공][한국소비자원 제공]
핵심 서비스 중에서는 브랜드와 상품의 다양성 등을 평가한 ‘브랜드·상품’ 만족도가 4.00점으로 가장 높았고, ‘가격’과 ‘주차’ 만족도는 각각 3.66점, 3.77점으로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40.2%의 소비자가 백화점 이용 시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것으로 ‘브랜드 및 상품 다양성’을 꼽았고 '매장의 접근성’(23.0%), ‘다양한 혜택’(12.8%) 등의 답변이 그 뒤를 이었습니다.
[한국소비자원 제공][한국소비자원 제공]
조사대상 소비자 1,500명 가운데 24.9%는 백화점을 이용하면서 불만이나 피해를 경험한 적이 있다고 답했습니다.
이 중 ‘주차·편의시설 등 이용 불편’에 대한 불만이 52.4%(196명)로 가장 많았고 특화매장 및 팝업스토어 등의 ‘매장 혼잡·이동 동선 불편’에 대한 불만도 42.8%(160명)에 달했습니다.
한국소비자원은 해당 사업자에게 주차·휴게 공간 확보 및 위치 정보 안내 강화, 매장 이동 동선 분리 등 서비스 개선을 요청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백화점 #소비자원 #만족도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김준하(jjuna@yna.co.kr)
백화점 3사의 종합 만족도는 평균 3.81점(5점 만점)이었으며, ‘현대백화점’이 3.85점으로 가장 높았고, ‘신세계백화점’ 3.83점, ‘롯데백화점’ 3.75점 순이었습니다.

핵심 서비스 중에서는 브랜드와 상품의 다양성 등을 평가한 ‘브랜드·상품’ 만족도가 4.00점으로 가장 높았고, ‘가격’과 ‘주차’ 만족도는 각각 3.66점, 3.77점으로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40.2%의 소비자가 백화점 이용 시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것으로 ‘브랜드 및 상품 다양성’을 꼽았고 '매장의 접근성’(23.0%), ‘다양한 혜택’(12.8%) 등의 답변이 그 뒤를 이었습니다.

조사대상 소비자 1,500명 가운데 24.9%는 백화점을 이용하면서 불만이나 피해를 경험한 적이 있다고 답했습니다.
이 중 ‘주차·편의시설 등 이용 불편’에 대한 불만이 52.4%(196명)로 가장 많았고 특화매장 및 팝업스토어 등의 ‘매장 혼잡·이동 동선 불편’에 대한 불만도 42.8%(160명)에 달했습니다.
한국소비자원은 해당 사업자에게 주차·휴게 공간 확보 및 위치 정보 안내 강화, 매장 이동 동선 분리 등 서비스 개선을 요청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백화점 #소비자원 #만족도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김준하(jjuna@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