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제공][연합뉴스 제공]


지난 상반기 미국의 대중국 제재로 반사이익을 누린 국내 조선업계가 수주 점유율 20%대를 회복했습니다.

오늘(29일) 한국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가 발간한 '해운·조선업 2025년 상반기 동향 및 하반기 전망' 보고서 등에 따르면 지난 1∼6월 한국의 수주 점유율은 25.1%(표준선 환산톤수 기준)로 나타났습니다.

지난해 같은 기간(17.2%)보다 8%포인트(p) 가까이 상승한 겁니다.

이로써 수주 점유율 1위인 중국과의 격차는 51.0%p에서 26.7%p로 좁혀졌습니다.

지난해 한국의 수주 점유율은 연간 기준 15.0%로 8년 만에 10%대를 기록했는데, 올해는 미국의 대중국 제재로 컨테이너선 건조 수요가 한국으로 이동한 흐름을 타 반등의 기회를 잡은 모습입니다.

앞서 미국무역대표부(USTR)는 중국 해운사, 중국산 선박을 운영하는 해운사 등에 미국 입항 수수료를 부과하기로 결정한 바 있습니다.

다만 보고서는 글로벌 불확실성 여파로 업황이 부진한 만큼 현 상황에 안주해선 안 된다고 지적했습니다.

실제로 1∼6월 글로벌 발주량은 지난해보다 54.5% 줄어든 1,939만CGT로 집계됐고, 특히 국내 주력 선종인 액화천연가스(LNG)선 발주량은 82.9% 감소한 105만CGT에 그쳤습니다.

한국의 수주량 역시 487만CGT로 33.5% 감소했고, 수주액은 31.8% 감소한 161억4천만 달러였습니다.

보고서는 "미국 관세 문제 등의 통상 마찰이 세계 경제와 교역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고 신조선 발주에도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습니다.

그러면서 "하반기에도 선주들이 적극 투자보다는 관망하는 경향이 더 강할 것"이라며 "올해 총 세계 발주량은 전년 대비 약 46% 감소한 4천만CGT 내외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아울러 국내 조선업계가 대중 제재 반사이익을 토대로 근본적인 경쟁력 강화에 나서야 한다고 제언했습니다.

#조선 #수주점유율 #미중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장한별(good_star@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