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자료사진]


정부가 수도권 부동산 시장 과열 국면에 대응하고자 6·27 가계부채 관리 방안을 시행한 지 한 달이 지난 뒤, 매수심리 위축 양상이 뚜렷해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오늘(27일) 한국부동산원의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 조사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값 상승폭은 6월 넷째 주(6월 23일 기준) 0.43%에서 대책 시행 이후 첫 조사 결과인 6월 다섯째 주(6월 30일 기준) 0.40%로 둔화했습니다.

7월 첫째 주(7월 7일 기준)에는 상승폭이 0.29%로 눈에 띄게 축소됐고, 7월 둘째 주(7월 14일 기준) 다시 0.19%로 떨어진 데 이어 셋째 주(7월21일 기준)에는 0.16%로 4주째 상승세 둔화 흐름을 이어갔습니다.

부동산원의 주간 아파트 수급동향을 보면 6·27 대책 시행 한달을 앞둔 7월 셋째 주(7월21일 기준)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기준점(100)에 근접한 100.1이었습니다.

매매수급지수는 수요와 공급 비중을 점수화한 수치인데, 100을 기준으로 0에 가까울수록 시장에서 집을 팔려는 공급이 우위, 200에 가까울수록 집을 매수하려는 수요가 우위임을 뜻합니다.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6월 넷째 주(6월23일 기준) 104.2까지 올라 수요 우위가 강해졌다가 6·27 대책 시행 직후인 6월 다섯째 주(6월30일 기준) 꺾이기 시작해 4주 연속 하락했습니다.

거래량과 거래금액도 매수심리 위축 분위기가 뚜렷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부동산 전문 리서치업체 리얼투데이에 따르면, 6·27 대책 시행 전인 6월 1일부터 27일까지의 서울 아파트 매매 거래량은 1만221건이었으나 시행일인 6월 28일부터 이달 24일까지는 2,506건으로 75.5% 감소했습니다.

한편, 현금을 다량 보유한 이들이 가격 조정 추이를 관망하다 다시 매수에 뛰어드는 등 시장에 불안 심리가 재현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습니다.

#아파트 #매매 #거래 #가계부채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배시진(sea@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