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미국과의 관세 협상을 위해 국내 기업들과 1천억 달러(137조원) 이상의 현지 투자 계획을 세우고 미 측에 제안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오늘(24일) 통상업계에 따르면 한국 통상 대표단은 당초 오는 25일로 예정됐던 '한미 고위급 2+2 통상협의'에서 이러한 규모의 투자계획을 미국 정부 측에 제안할 계획이었던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다만 '2+2 협상'은 미국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의 긴급한 일정으로 인해 돌연 취소된 상황입니다.
앞서 한국과 산업·수출 구조가 유사한 일본은 5,500억 달러(약 757조원) 규모의 투자 펀드를 제안해 상호관세를 25%에서 15%로 낮추는 데 성공한 바 있습니다.
한국 정부는 관세 협상에 앞두고 삼성, SK, 현대차, LG 등 4대 그룹을 중심으로 국내 기업들과 접촉해 가용한 현지 투자 금액을 취합했고, 현재까지 기업들로부터 약속받은 투자 금액은 1천억 달러 규모로 전해집니다.
일본이 협상 과정에서 결정한 투자 금액보단 적지만 한일 경제 규모 격차를 고려하면 적지 않은 금액이라는 재계의 평가가 나옵니다.
이날 블룸버그 통신도 "한국 정부가 통상협상에서 미국에 투자하는 펀드 설립을 논의하고 있다"고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습니다.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 14일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15일에는 구광모 LG그룹 회장과 만나 만찬을 하며 대미 투자와 글로벌 통상 등에 관해 의견을 나눈 바 있습니다.
현대차그룹 등 국내 기업들은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에 맞춰 대규모 현지 투자 계획을 발표하기도 했습니다.
대한항공 또한 미국의 항공 제작사 보잉, 항공기 엔진 제작업체 GE에어로스페이스와 총 327억 달러(48조원) 규모의 공급계약을 체결했습니다.
삼성전자는 370억달러(약 54조원) 이상을, SK하이닉스는 38억7천만달러(약 5조6천억원을)를 각각 투자해 미국 현지 반도체 생산 거점 건설을 추진 중입니다.
#관세협상 #대미투자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장한별(good_star@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